$\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Walker와 Avant 방법에 근거한 허약 노인 개념 분석
Concept Analysis of Frail Elderly based on Walker and Avant's Method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5, 2019년, pp.394 - 405  

김재현 (전주비전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허약노인에 대한 개념의 명확한 속성 규명과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Walker와 Avant(2005)의 개념분석을 위한 기본 원리에 근거하여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 허약노인에 대한 개념 사용의 연구결과는 허약노인은 건강과 질병의 중간상태에 있다. 허약노인은 신체적으로 근감소증, 염증, 인슐린 저항성에서 신체적으로 취약하고, 진행된 질병의 결과로 입원, 낙상, 장애,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생활습관, 경제적 요인과 관련된 다면적 속성을 가지며, 일상생활에 제한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하여 의존적이며, 회복시간과 회복의 정도가 저하되는 것과 소진(exhaustion)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역동적 과정(dynamic process), 다면적 요소(multidimensional factors), 의존성(dependency), 취약성(vulnerability)이다. 허약노인은 건강과 질병의 중간 상태로 변화 가능성을 내포한 역동적 과정이며, 신체적, 정신적, 인지적, 사회 환경적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노인으로, 신체적 취약성과 함께 적응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노인을 의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허약노인의 개념분석과 이해를 통해 노인의 허약 수준을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장기요양상태에 이르지 않도록 지역사회 방문간호를 포함한 보건의료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 of the frail elderly and to obtain theoretical evidence.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using the basic principles for conceptual analysis of Walker and Avant(2005). As a Result of a review of the literature about how to utilize the concept of a...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2005)의 개념분석을 위한 기본 원리를 활용하여 허약노인을 정의하고 비허약 노인이 허약상태로 진행되는 것을 막고, 허약상태의 노인이 장애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허약노인에 대한 개념 분석을 통하여 개념의 속성과 특성을 규명하였다
  • 본 연구는 허약노인 개념을 분석, 개발하여 그 속성을 파악하기 위한 개념분석 연구이며, 개념 분석은 기본 개념들이 어느 정도 개발된 단계에서 필요하다고 제시한 Walker와 Avant(2005)의 개념분석 원리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허약노인에 대한 명확한 개념의 속성을 규명하고,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을 파악하여 허약노인 개념을 보건의료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명확하게 정의된 개념을 통해 현상에 대한 이론개발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고, 개념 분석을 통해 개념에 대한 속성과 정확한 정의를 확보할 수 있으며[13], 허약 사정 도구 개발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본개념들이 어느 정도 개발된 단계에서 개념분석이 필요하다고 제시한 Walker 와 Avant(2005)의 개념분석 틀에 근거하여 허약 노인의 개념분석과 이해를 통해 허약 수준을 파악하고, 지역사회 노인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의 개발을 위하여 활용되며,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장기요양상태에 이르지 않도록 보건의료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하고자 한다.
  • 허약노인 개념이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범위의 문헌을 고찰한 결과 다음의 잠정적인 기준목록과 속성을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첫째,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환경적 요소를 고려한 다면적 개념이다. 둘째, 개념은 반드시 나이와 관계되는 것은 아니다. 셋째, 개인적 맥락과 주관적 인식을 통합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허약노인에 대한 개념은? 연구방법은 Walker와 Avant(2005)의 개념분석을 위한 기본 원리에 근거하여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 허약노인에 대한 개념 사용의 연구결과는 허약노인은 건강과 질병의 중간상태에 있다. 허약노인은 신체적으로 근감소증, 염증, 인슐린 저항성에서 신체적으로 취약하고, 진행된 질병의 결과로 입원, 낙상, 장애,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허약노인의 장기요양 상태가 발생시키는 문제점은? 일상생활기능 장애로 인하여 의존성을 보이는 만성질환 노인은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치료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질병을 방치함으로써 건강상태는 더욱 악화 되어 장기요양상태로 진행될 수 있다. 장기요양상태는 노인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사망률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국가보건의료비의 상승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장기요양 상태로 진행되지 않도록 일상생활에 필요한 신체적, 정신적 기능의 유지 및 향상을 목적으로 한 보건의료서비스가 필요하다[3].
허약노인의 문제점은? 허약노인에 대한 개념 사용의 연구결과는 허약노인은 건강과 질병의 중간상태에 있다. 허약노인은 신체적으로 근감소증, 염증, 인슐린 저항성에서 신체적으로 취약하고, 진행된 질병의 결과로 입원, 낙상, 장애,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생활습관, 경제적 요인과 관련된 다면적 속성을 가지며, 일상생활에 제한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하여 의존적이며, 회복시간과 회복의 정도가 저하되는 것과 소진(exhaustion)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2017 Statistical Office Prospective Population Estimation,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PA002&vw_cd&list_id&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K1[updat ed 2017 Jau. 26; accessed Mar. 13, 2019] 

  2. Population and Prospects of the World and Korea, Korea Statistics, 2015. available from: kostat.go.kr/smart/news/file_dn.jsp?aSeq347102&ord1 

  3. D. Sunwoo, H. J. Song, Y. H. Lee, & D. J. Kim, Health service development and effective system for frail elderl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4. 

  4. K. H. Jung, Y. H, Oh, Y. K. Lee, C. K. Son, B. M. Park. 2011 National Survey on Older Adult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 Korea, 2012. 

  5. A. Clegg, J. Young, S. Iliffe, M. O. Rikkert, & K. Rockwood, Frailty in elderly people, The Lancet, Vol.381, No.9868, pp.752-62, 2013. DOI: https://doi.org/10.1016/S0140-6736(12)62167-9 

  6.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Caring for frail elderly people: Policies in evolution, Social Policy Studies, Paris: OECD; June, No.19, pp.57-58, 1996. Available from: https://aspe.hhs.gov/basic-report/caring-frail-elderly-people-policies-evolution 

  7. A. Attard, The federal council on aging: New priorities, Gerontologist, Vol.23, No.2, pp.117-119, 1983. DOI: https://doi.org/10.1093/geront/23.2.117 

  8. k. Bandeen-Roche, Q. L. Xue, L. Ferrucci, J. Walston, J. M. Guralnik, P. Chaves, S. L. Zeger, & L. P. Fried, Phenotype of frailty: characterization in the women's health and aging studie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Vol.61, No.3, pp.262-266, 2006. 

  9. L. P. Fried, L. Ferrucci, J. Darer, J. D. Williamson, & G. Anderson, Untangling the concepts of disability, frailty, and comorbidity: implications for improved targeting and care,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Vol.59, No.3, pp.255-63, 2004. 

  10. K. Rockwood, S. E. Howlett, C. MacKnight, B. L. Beattie, H. Bergma, R. Hebert, D. B. Hogan, C. Wolfson, & I. McDowell, Prevalence, attributes, and outcomes of fitness and frail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report from the Canadian study of health and aging,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Vol.59, No.12, pp.1310-1317, 2004. 

  11. K. H. Chang. Effects of elderly people's Frail prevention program on 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physical fitness and quality of life for in Senior Center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5 pp.47-58,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5.47 

  12. E. M. Oh, G. R. Son. The Evaluation of Feasibility and Predictive Validity of Comprehensive Korean Frailty Instrument: Using the 2008 and 2011 Living Profiles of Older People Survey in Korea,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Vol. 28 No. 2, pp.206-215, June 2017. DOI: https://synapse.koreamed.org/DOIx.php?id10.12799/jkachn.2017.28.2.206 

  13. L. O. Walker, & K. C. Avant,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4th ed.), Norwalk, Conn.: Appleton & Lange, 2005. 

  14. G. H. Song, A Study on the Status and Gates of Teacher Librarians' Frail Vocational Presence in Kore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orea, Vol.41, No.2, pp.317-337, 2010. 

  15. S. P. Park, A Comparative Analysis of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to NGOs in Korea,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Vol.39, No.4, pp.129-155, 2001. 

  16. Y. J. Choe, The political economy of petty thieves and big players: Why is South Korea's political economy is fragile, Trees and forest, 2002. 

  17. S. K. Jung, S. A. Lyu, & S. Y. Lee, The Correlation Study between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Weak Symptoms, J Korean Orient Pediatr , Vol.26, No.2, pp.25-34, 2012. 

  18. J. H. Hwang, S. H. Park, Y, G, Yun, B, S, Koo, & G, W, Kim, A Case Report of Unspecified Tremor Treated by the Way of Reinforcing Weakness of the Spleen and Stomach(脾胃虛弱), The Korean Society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ol.21, No.3. pp.115-127, 2010. 

  19. J. H. Yoo, B. S. Koo, G. W. Kim, A Case Report of Wi syndrome(위證) Treated by the Way of Reinforcing Weakness of the Spleen and Stomach(脾胃虛弱), The Korean Society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ol.18, No.2, pp.133-142, 2007. 

  20. Y. Y. Cha, A Clinical Study for the Influence of Bigiheo Herbal Acupuncture Therapy on Abdominal Obesity, Journal of Society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Vol.4 No.1, pp.61-65, 2004. 

  21. S. Y. Gok, S. K. Jung, S. A. Lyu, S. Y. Lee, Effects of the Gagam-Bopyeyangyeongjeon on the Lung Weakness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Pediatrics, Vol.24, No.2, pp.88-98, 2010. 

  22. M. J. Jung, J. H. Lim, B. M. Hwang, Y. J. Yun, & K. B. Kim, Set the Cut Off Values for Diagnosing Heart Weak Children; By Using K-CBCL Total Behavior Problems Score, J Korean Orient Pediatr, Vol.24, No.3, pp.58-67, 2010. 

  23. K. J. Oh, E. H. Ha, H. R. Lee, & G. Y. Hong, K-CBCL in Outpatient Children, Seoul:(Ltd) Hyuno Consulting, 2007. 

  24. J. Walston, M. A. McBurnie, A. Newman, R. P. Tracy, W. J. Kop, & C. H. Hirsch, Frailty and activation of the in ammation and coagulation systems with and without clinical comorbidities: results from the Cardiovascular Health Study, Arch Intern Med , Vol.162, No.20, pp.2333-2341, 2002. 

  25. D. T. Villareal, M. Banks, C. Siener, D. R. Sinacore, & S. Klein, Physical frailty and body composition in obese elderly men and women, Obes Res, Vol.12, No.6, pp.913-20, 2004. DOI: https://doi.org/10.1038/oby.2004.111 

  26. A. M. Abbatecola, & G. Paoliss,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insulin resistance and frailty syndrome? Curr Pharm Des, Vol.14, No.4, pp.405-410, 2000. 

  27. I. P. Fried, C. M. Tangen, J. Walston, A. B. Newman, C. Hirsch, & J. Gottdiener, Frailty in older adults: Evidence for a phenotype,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Vol.56, No.3, pp.146-56, 2001. DOI: https://doi.org/10.1093/gerona/56.3.M146 

  28. N. Ahmed, R. Mandel, & M. J. Fain, Frailty: an emerging geriatric syndrome, Am J Med, Vol.120, No.9, pp.748-753, 2007. DOI: https://doi.org/10.1016/j.amjmed.2006.10.018 

  29. E. S. Yim, K. H. N,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Frail Elderly Resident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Health Statu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Vol.21, No. 1, pp.12-20, 2010. 

  30. D. B. Hogan, H. Bergman, & C. MacKnight, Models, definitions, and criteria of Frailty, Aging Clin Exp Res, Vol.15, No.3, pp.1-29, 2003. 

  31. P. O. Lang, J. P. Michel, D. Zekry, Frailty syndrome: a transitional state in a dynamic process. Gerontology, Vol.55, No.5, pp.539-49, 2009. DOI: https://doi.org/10.1159/000211949 

  32. K. Rockwood, & A. Mitnitski, Frailty in relation to the accumulation of deficit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Vol.62, No.7, pp.722-7, 2007. 

  33. I. Brwon, R. Renwick, & D. Raphael, Frailty: Constructing a common meaning, definition, and conceptual Framework, Int J Rehabil Res, Vol.18, No.2, pp.93-102, 1995. 

  34. H. Y. Kim, M. H. Park, Physical Function and Ego-Integrity in Frail and Non-frail Elders in a Local Community. J Korean Gerontol Nurs, Vol. 16, No. 1, pp.27-37, 2014. 

  35. S. M. Kwon, J. S. Park.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frail elderly resident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health statu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5, No. 2, pp.194-206, 2013.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3.25.1.194 

  36. J. K. Park. Experience of Frailty in Korean Elderly: A Phenomenological Study Utilizing the Colaizzi Method, J Korean Acad Nurs Vol.47 No.4, pp.562-574. 2017. DOI: https://doi.org/10.4040/jkan.2017.47.4.562 

  37. J. H. Kim, H. M. Yang, P. R. Kang, J. E. Choi. Self-rated Health of Frail Elders, J Korean Gerontol Nurs Vol.17 No.2, pp.98-107. 2015. DOI: http://dx.doi.org/10.17079/jkgn.2015.17.2.98 

  38. M. Markle-Reid, & G. Browne, Conceptualizations of frailty in relation to older adults, J Adv Nurs, Vol.44, No.1, pp.58-68, 2003. 

  39. R. J. Gobbens, K. G. Luijkx, M. T. Wijnen-Sponselee, & J. M. Schols, Toward a conceptual definition of frail community dwelling older people, Nurs Outlook, Vol.58, No.2, pp.76-86, 2010. DOI: https://doi.org/10.1016/j.outlook.2009.09.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