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SI(사회경제적 영향)에 관한 K대학의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Economic and Social Impact of K-University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17 no.4, 2019년, pp.95 - 102  

박태영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  신호균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학은 교육과 연구라는 본연의 목적과 함께 지역사회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기여가 요구된다. 최근 대학의 지속가능성 측정도구인 사회경제적 영향(Economic and Social Impact: ESI)이 강조되고 있으나, 이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대학의 ESI 지표를 고찰하여 K대학에 적용한 ESI 개발사례를 소개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ESI 문헌조사, 국내외 사례분석 및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을 수행하였고, K대학에 적용한 사례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수요와 공급 측면의 효과를 모두 포함한 ESI 지표를 개발하였고, 대학의 영향력과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분한 ESI 산출방법을 제안함으로써 대학이 어떻게 ESI를 측정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지를 탐색한 사례라는데 그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연구는 대학의 ESI 산출 방법론의 고도화, 대학에 적절한 승수개발, ESI 종합 지수화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iversities need to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ir communities, with a primary purpose of education and research. Recently, the Economic and Social Impact(ESI), a measure of sustainability of universities, has been emphasized,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is. Therefore,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ESI 지표를 제안하고, 대학 전체 차원의 ESI를 산출하는 방법을 탐색적으로 정립하 는 것이다.
  • 본 절에서는 ESI 평가지표에 관한 이론 및 실무적인 발전 동향과 표준화된 지표개발에 관해 탐색하고자 한다. 우선, 해외의 경우, 지역에 미치는 영향력을 영국고등교육위원회(Higher Education Funding Council for England: HEFCE)에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는데, HEFCE는 러셀그룹(Russel Group) 보고서, 대학의 제 3의 영향력과 시민대학(civic university)의 개념을 활용 하여 대학이 산업 및 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표준화 된 지표를 [Table 1]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일부 해외대학의 평가지표를 고찰, 분 석하여 ESI 방법론을 K 국립대학에 적용한 사례를 제 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ESI 개념을 “대학의 직접적 인 소비지출로 인한 경제적 영향력, 교육‧연구로 인한 파급효과와 함께 지속가능성에 공헌하는 사회적‧문화적 파 급효과를 포괄한 대학의 활동”으로 정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EFCE의 영향지표에서 강조하는 것은 무엇인가? HEFCE의 영향지표는 대학의 영향력을 경제적인 영향, 연구, 교육, 사회문화적 활동의 4가지로 구분하였다. 이 평가지표는 경제적 영향력과 지역적 영향력을 구분하고, 경제적 영향력 평가 비중을 강조하고 있다. 사회경제적 영향지표는 대학이 지역사회에 제공하는 사회, 문화적 측면의 활동을 제시함으로써 대학의 사회경제적 활동을 균형 있게 평가하는데 적합하다.
제3의 활동은 무엇인가? 사회가 요구하는 대학에 관한 패러다임 변화는 대학이 보유한 인적‧물적‧사회적 자본의 활용에 영향을 끼쳐 왔으며, 유럽의 학자들은 새롭게 부상한 대학의 역할을 ‘제3의 의무(third mission)’로 명명하고, 제3의 활동 및 역할로 분류하였다. 제3의 활동은 지식의 이용, 활용 및 적용 활동과 이해관계자 협업을 통한 사회경제적 참여를 뜻한다. 오늘날 대학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논의는 ‘참여대학(the engaged university)’ 개념이 나 ‘지역혁신체계’, ‘개방적 혁신모델’ 및 ‘클러스터모델’ 등과 같은 사회 네트워크 개념을 포함한 다양한 이론적 틀이 있다[2-4].
HEFCE의 영향지표에서 대학의 영향력을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HEFCE의 영향지표는 대학의 영향력을 경제적인 영향, 연구, 교육, 사회문화적 활동의 4가지로 구분하였다. 이 평가지표는 경제적 영향력과 지역적 영향력을 구분하고, 경제적 영향력 평가 비중을 강조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Y. M. Lee, J. W. Park & T. J. Shin. (2015). Recommendations for the University Strategy on Sustainable Management. Korean Institute of Ethical Business, 15(2), 77-109. 

  2. E. Hil & I. Lendel. (2007). The impact of the reputation of bio-life science and engineering doctoral programs on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21, 223-243. 

  3. Y. J. Ahn. (2017). Regional Economic Effects of University: A Case Study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focusing on the Knowledge Transfer. Korean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23(1), 227-238. 

  4. J. H. Lee & C. W. Lee. (2015). The Dynamic Evolution of the Cambridge Cluster and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Korean Geographical Society, 21(3), 489-502. 

  5. K. S. Hwang. (2007). Impact of University on Regional Economy. Kangwon Research Institute. 

  6. K. H. Park. (2009). Economic Effects of the Investment on the Education.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17(3), 253-269. 

  7. J. H. Lee, D. H. Oh & J. E. Kim. (2012). Macroeconomic Performance Analysis of R&D Investment. The Journal of Korean Public Policy, 14(2), 3-31 

  8. M. S. Park & Y. H. Noh. (2019). Improving Economic and Social Impacts Measurement for K-University: A Study Employing the SROI Framework.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23(2), 181-199. 

  9. J. Y. Shin & J. H. Lee. (2017). An Exploratory Research on Measuring the Local and Regional Impacts of Universities. Korean Geographical Society, 23(3), 437-449. 

  10. G. Conlon & P. Patrignani. (2011). The returns of higher education qualifications. London Economics, UK. 

  11. B. Daranee. (1976). The impact of the growth center on regional area: A case study in the north of Thailand. AIT, Bangkok, 11-15. 

  12. T. K. Kim, D. H. Kwon & J. Y. Choi. (2012). An Analysis of Regional Economic Impacts by University Invitation. Gyeonggi Research Institute. 

  13. K. H. Nam. (2003). The Economic Impac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14. C. Y. Hong. (2018). Regional Ripple Effects of R & D Investment Using Regional Industry Association Table. Korea Institute of S&T Evaluation and Planning. 

  15. A. Mas-Collell, M. Whinston & J. Green. (1995). Microeconomic theory. Newyork: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6. J. Haskel, A. Hughes & E. Bascavusoglu-Moreau. (2014). The economic significance of the UK science base: a report for the Campaign for Science and Engineering. UK Innovation Research Centre. 

  17. J. Haskel & G. Wallis. (2010). Public support for innovation, intangible investment and productivity growth in the UK market sector. IZA, Discussion Paper No. 4772. 

  18. C. W. Baek, K. J. Lee & M. S. Noh. (2016). Spillover Effect of Partnership between Industry and University in Local Universities. Korean Society of Local Administration, 13(1), 167-185. 

  19. I. Lendel. (2010). The impact of research universities on regional economies: The concept of university products.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24(3), 210-230. 

  20. Y. J. Ahn. (2010). Regionalwirtschaftliche Effekte der Hochschule: Dargestellt am Beispiel der Deutschen Hochschulen. Korean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13(4), 529-547. 

  21. K. Christophersen, T. Nadreau & A. Olanie. (2013). The rights and wrongs of economic impact analysis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EMSI.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