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은 침투이행성 살균제로 배추, 고추 등의 농산물에 무름병, 줄기속마름병에 효과가 있다. 본 연구는 농산물 중 기준신설 예정농약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이 농산물 대하여 등록되지 않아 이에 대한 공정시험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의 잔류물의 정의는 미국, 일본의 경우 농산물 대상으로 모화합물로 설정되어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농산물 중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의 잔류물의 정의 및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있지 않고, 국내 농산물(고추 등)에 대한 잔류허용기준 신설이 최초 요청되었으며 국내 유통 농산물 중 잔류량에 대한 안전관리 확보를 위해 잔류물의 정의를 모화합물로 규정하고 적부판정을 위한 공정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QuEChERS법을 이용한 추출 및 정제법을 최적화하여 LC-MS/MS에 의한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수용성 유기용매인 메탄올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pH 조절 및 염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추출법을 최적화하고, d-SPE 흡착제를 이용하여 간섭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정제법을 확립하였다.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의 결정계수($r^2$)는 0.99 이상으로 높은 직선성을 보여주었고,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의 시험법 정량한계(LOQ)는 0.01 mg/kg이며, 대표 농산물 5종(현미, 감자, 대두, 감귤, 고추)에 대하여 LOQ (0.01 mg/kg), $10{\times}LOQ$ (0.1 mg/kg), $50{\times}LOQ$ (0.5 mg/kg) 수준으로 회수율 실험한 결과 평균 회수율(n=5)은 80.0~108.2%이었으며 상대표준편차는 11.4%이하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험실간 검증 결과 두 실험실간 회수율 결과에 따른 평균값은 83.5~103.2%이며 변이계수는 14.1% 이하로 조사되어, 본 연구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 가이드라인(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GL 40)의 잔류농약 분석 기준 및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식품등 시험법 마련 표준절차에 관한 가이드라인(2016)'에 적합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험법은 농산물 중 잔류할 수 있는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의 안전관리를 위한 공정시험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analytical method was developed for the determination of oxytetracycline in agricultural products using the QuEChERS (Quick, Easy, Cheap, Effective, Rugged and Safe) method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After the samples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the extract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5 mg/kg4)으로 설정되었다. 국내의 경우 2019년 이후 잔류허용기준을 신설할 예정으로 이에 따른 공정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시험법에 관한 연구로는 saksit 등8)이 새우 중 55종의 항생제를 아세토니트릴과 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로 추출한 후 LC-MS/MS를 이용하여 동시 분석한 연구가 있으며, 그 외 벌꿀에서 oxytetracycline과 tetracycline의 잔류량을 LC-MS/MS를 이용하여 동시 분석한 연구가 있다9).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기준 신설 예정인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의 농산물 중 잔류가능성에 대한 안전관리와 국내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검사를 위해 곡류(현미), 서류(감자), 두류(대두), 과일류(감귤), 채소류(고추)를 대상으로 한 공정 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은 침투이행성 살균제로 배추, 고추 등의 농산물에 무름병, 줄기속마름병에 효과가 있다. 본 연구는 농산물 중 기준신설 예정농약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이 농산물 대하여 등록되지 않아 이에 대한 공정시험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의 잔류 물의 정의는 미국, 일본의 경우 농산물 대상으로 모화합물로 설정되어 있다.
  •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의 잔류 물의 정의는 미국, 일본의 경우 농산물 대상으로 모화합물로 설정되어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농산물 중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의 잔류물의 정의 및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있지 않고, 국내 농산물(고추 등)에 대한 잔류허용기준 신설이 최초 요청되었으며 국내 유통 농산물 중 잔류량에 대한 안전관리 확보를 위해 잔류물의 정의를 모화합물로 규정하고 적부판정을 위한 공정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QuEChERS법을 이용한 추출 및 정제법을 최적화하여 LC-MS/MS에 의한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 잔류동물용의약품시험법의 옥시테트라사이클린에 관한 분석법의 문제점은? 11911)에서는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외 9성분을 벌꿀에 적용하여 HLB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정제 후 LC-MS/MS로 분석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시험법 적용범위가 벌꿀과 축·수산물에만 한정되어 있어 국내 및 수입 농산물에서의 잔류성 시험에 적용될 수 없으므로 분석대상 품목을 확대 적용한 시험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미국 EPA에서는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의 독성에 대해 어떻게 보고하였는가?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의 독성은 미국 EPA (United Stat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6)에서는 마우스 경구 투여에 대해 낮은 급성독성(Category IV)을 가지고, 인체에서 위해발암성은 없다고 보고하였다. 개(dog) microbial study를 독성종말점(toxicological end point)으로 NOAEL (The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을 0.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은 어떤 작용을 하는가? 옥시테트라사이클린(Oxytetracycline)은 테트라사이클린 (tetracycline)계 항생제로써, Treptomyces rimosus의 발효에 의해 생성되었고, 소, 돼지, 닭 등 가축 및 가금류에 동물용의약품으로 허가되었다.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은 30S와 50S 리보솜 sub unit에 결합하여 리보솜 A site에 amino acyl tRNA와 termination factors RF1과 가 결합하여 세균의 단백질 생합성을 저해하고, 닭의 만성호흡기질환(chronic respiratory disease, CRD) 등을 조절한다1). 또한 농약으로써 침투이행성 살균제로 배추, 담배, 고추, 복숭아 등의 농산물에 무름병, 줄기속마름병에 사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acBean, C.: A world compendium the pesticide manual, 16th edition (2012). 

  2. Chemicalize, Oxytetracycline. Available at https://chemicalize.com/#/calculation (accessed March 2, 2019). 

  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MRLs in Veterinary drugs (2019). 

  4. The Electronic Code of Federal Regulations. Available at https://www.ecfr.gov/cgi-bin/retrieveECFR?gp1&SID9ac8127ddce252beb81bbcf4a1eb720b&tyHTML&hL&mctrue&rSECTION&nse40.26.180_1665 (accessed March 2, 2019). 

  5. The Japan Food Chemical Rresearch Foundation. Available at http://db.ffcr.or.jp/front/pesticide_detail?id36950 (accessed March 2, 2019). 

  6.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revention, Report of the Food Quality Protection Act (FQPA) Tolerance Reassessment Progress and Risk Management Decision (TRED) for Oxytetracycline (2006). 

  7. JMPR(Joint FAO/WHO Meeting on pesticide Residues) Review, Oxytetracycline (2002). 

  8. Saksit, S., Saranya, P., Chanat, C., Phanwimol, T., Jana, H., Mario, G., Kanista, S., Zhaowei, Z., Amnart, P.: Multiclass analysis of antimicrobial drugs in shrimp muscle by ultr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J. Food Drug Anal, 27, 118-134 (2019). 

  9. Pena, A., Pelantova, N., Lino, C. M., Silveira, M.I.N., Solich, P.: Validation of an Analytical Methodology for Determination of Oxytetracycline and Tetracycline Residues in Honey by HPLC with Fluorescence Detection. A. J. Agric. Food Chem., 53, 3784-3788 (2005). 

  10. Kamal, M.K., Amgad, M.R., Lamia, R., Nermine, G.: Validation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tetracycline by using QuEChERS method and LC-MS/MS in liver of buffalo. N Y Sci J., 10(6), (2017). 

  1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Korea food code (2019). 

  12.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Guidelines on good laboratory practice in residue analysis (2003). 

  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Guidelines on standard procedures for preparing analysis method (2016). 

  14. Claude, R. Mallet, Z.L. and Jeff, R.M.: A study of ion suppression effects in electrospray ionization from mobile phase additives and solid-phase extracts. Rapid Commun. Mass Spectrom., 18, 49-58 (2004). 

  15. Wilkowska, A., Biziuk, M.: Determina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food matrices using the QuEChERS methodology. Food Chem., 125, 803-812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