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호흡곤란 사례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실습과 동영상 시청교육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Simulation Practice and Video Watching Educational Experience Using Dyspnea Case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6, 2019년, pp.287 - 296  

김미선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정현철 (삼육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실습과 동영상 시청교육을 받은 경험에 관한 의미와 본질적인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질적 연구이다. 대상자는 이론적표본추출을 통해 6명을 선정하여 동전 던지기를 통해 3명씩 2팀으로 나눠 포커스그룹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방법 중 Colaizzi의 방법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뮬레이션실습은 3개의 범주(간호의 임상을 미리 경험해봄, 시뮬레이션 실습의 이로움, 시뮬레이션 실습의 한계)와 14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동영상 시청교육은 3개의 범주(교육의 편리성, 교육효과 증대, 지식 전달의 부족)와 6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시뮬레이션실습과 동영상 시청교육을 효과적으로 간호교육과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반영하여 운영하기를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attempted to understand meaning and essential structure of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who received simulation training and video watching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laizzi method amo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s. The results of ...

주제어

표/그림 (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뮬레이션 교육은 무엇인가? 시뮬레이션 교육은 재현된 임상환경에서 구조화된 시나리오에 따라 구체화된 학습기회를 제공하는 교육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생리반응을 일으키는 실제 사람 크기의 인간모형을 통해 실제 임상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실질적인 경험을 제공하여 상황에 맞는 적절한 간호 중재 능력과 비판적 사고 및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키는 교육을 말한다[1]. 또한 시뮬레이션 교육은 환자에게 직접 수행하지 않아 안전하다[2].
시뮬레이션 교육의 장점은? 시뮬레이션 교육은 재현된 임상환경에서 구조화된 시나리오에 따라 구체화된 학습기회를 제공하는 교육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생리반응을 일으키는 실제 사람 크기의 인간모형을 통해 실제 임상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실질적인 경험을 제공하여 상황에 맞는 적절한 간호 중재 능력과 비판적 사고 및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키는 교육을 말한다[1]. 또한 시뮬레이션 교육은 환자에게 직접 수행하지 않아 안전하다[2]. 따라서 학습자는 임상과 유사한 환경에서 수행되는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 간호 업무에 익숙해질 뿐 아니라, 수행자신감도 향상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4].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학습자에게 좋은 점은? 또한 시뮬레이션 교육은 환자에게 직접 수행하지 않아 안전하다[2]. 따라서 학습자는 임상과 유사한 환경에서 수행되는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 간호 업무에 익숙해질 뿐 아니라, 수행자신감도 향상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4]. 그러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은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학습 집단의 크기의 제한과 많은 실습교육 시간과 다수의 교육인력 및 고가의 실습 장비 등에 대한 비용부담 등으로 교육의 접근성 및 활용성에 제한이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 Reilly & C. Spratt. (2007). The perceptions of undergraduate student nurses of high fidelity sumulation-based learning: A Case report from the University of Tasmania, Nurse Education Today, 27(6), 542-550. 

  2. P. G. Sanford. (2010).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 a review or the research, The qualitative report, 15(4), 1006-1011. 

  3. H. C. Jeong. (2015). Analyze of Nursing Performance Ability Using a Simulation-Based Program, International Journa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7(6), 1107-114. 

  4. M. S. Yoo. (2001). Development of Standardized Patient Managed Instruction for a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Seoul. 

  5. G. E. Joo, K. Y. Sohng & H. J. Kim. (2015). Effects of a standardized patient simul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on nursing competence, communication skill,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for blood transfu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2(1), 49-58. DOI : https://doi.org/10.7739/jkafn.2015.22.149. 

  6. K. S. Hyun, H. S. Kang, W. O. Kim, S. H. Park, J. A. Lee & S. H. Sok. (2009). Development of a multimedia learning DM diet education program using standardized patients and analysis of its effects on clinical competency and learning satisfaction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2), 249-258. DOI : http://dx.doi.org/10.4040/jkan.2009.39.2.249 

  7. Y. H. Kim. (2010). Effects of utilizing animation prior to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o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ness in student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2), 240-248. 

  8. I. H. Park & S. J. Shin. (2015). The effects of video-based peer assisted learning in standardized patients simulation: Pre and post operative car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7(1), 73-82. DOI : http://dx.doi.org/10.7475/kjan.2015.27.1.73 

  9. S. Kang. (2018). A Convergence Study about the Effects of Pre-learning and Role Learning Using Video on Self-regulate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5), 247-256. DOI : http://dx.doi.org/10.15207/JKCS.2018.9.5.247 

  10. E. M. Ozer & A. Bandura. (1990). Mechanism governing empowerment effects: A self-efficacy analysis, Journal of Pers Social Psychology, 58(3), 472-486. 

  11. J. Y. Kim. (2012). Development of a simulation and analysis of the effect of debriefing : focused on case of cerebral hemorrhage patients, Master dissertation. Eulji University, Daejeon. 

  12. Y. K. Kim, P. H. Kim, S. H. Jang & Y. S. Cho. (2016).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Adapting to Simulation Class: An Approach with a Grounded Theory,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17(2), 99-110. DOI : 10.22284/qr.2016.17.2.99 

  13. H. W. Kim & E. Y. Seo. (2012). Nursing Student's Immersion Experience in a Comprehensive Simulation Scenario Using-Fidelity Human Patient Simulator among Nursing Students: A Phenomenological Study,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30(1), 89-99. 

  14. P. H. Kim & K. N. Kim. (2018). A Phenomenological study to the Simulation class of adult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11), 541-550. DOI : http://dx.doi.org/10.21742/AJMAHS.2018.11.02 

  15. H. Y. Kang, E. Y. Choi & H. R. Kim. (2013).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 Team Based Simulation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1), 5-15. 

  16. J. H. Lee, S. S. Kim, K. S. Y, S. J. Cho & H. L. Kim. (2009). Experience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n High-fidelity Simulation Education - A Focus Group Study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2), 183-193. 

  17. D. L. Morgan & R. A. Krueger. (1998). Focus Group Kit. London : SAGE Publications. 

  18. M. N. Lee, H. S. Kim, H. C. Jeong, Y. H. Kim & K. A. Kang. (2013).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cenario for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children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9(1), 1-11. DOI : http://dx.doi.org/10.5468/CHNR.2013.19.1.1 

  19. F. U. Colaizzi.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R.S. Valle, and M.King (Ed.).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48-71.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 S. E. Chung & S. H. Lee. (2010).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Education using Simulatio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11(1), 50-59. 

  21. C. S. Kim. (2012). Simulation-Use Learning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Health Service Management Review, 6(3), 35-43. 

  22. Y. S. Lincoln & E. Guba. (1985). Naturalistic inquiry. California : Sage Publications. 

  23. D. H. Koh. (2017). Participation of new nurses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Master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4. S. Boet, D. Bould, H. R. Bruppacher, F. Desjardins, D. B. Chandra & V. Naik. (2011). Looking in the mirror: self-debriefing versus instructor debriefing for simulated crisis, Critical Care Medicine, 39(6), 1377-13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