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폴리에테르설폰-폴리페닐렌설파이드설폰 블렌딩 고분자를 이용한 음이온교환막의 제조
Preparation of an Anion Exchange Membrane Using the Blending Polymer of Poly(ether sulfone) (PES) and Poly(phenylene sulfide sulfone) (PPSS)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9 no.3, 2019년, pp.155 - 163  

이경한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그린에너지공학과) ,  한주영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그린에너지공학과) ,  유철휘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그린에너지공학과) ,  황갑진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그린에너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폴리에테르설폰(PES)과 폴리페닐렌설파이드설폰(PPSS)을 블렌딩한 고분자를 이용하여 음이온교환막을 제작하였다. EDXS와 FT-IR 분석으로부터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이 음이온교환기인 -N-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 mol/L의 황산용액에서 이온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은 0.015~0.083 S/cm의 이온전도도를 가졌으며, 시판의 음이온교환막인 AFN과 APS의 값과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값을 가졌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격막으로 사용한지를 평가하기 위해 각 바나듐 이온의 투과를 측정하였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각 바나듐 이온의 투과도는 시판의 양이온교환막인 Nafion 117과 시판의 음이온교환막인 AFN과 비교하여 낮은 값을 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ion exchange membrane using the blending polymer of poly(ether sulfone) and poly(phenylene sulfide sulfone) was prepared. It was confirmed by EDXS and FT-IR analysis that the prepared anion exchange membrane had the -N- as an anion exchange group. The ionic conductivity in 1 mol/L $H_2SO_...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막의 유효면적은 40 cm2이었다. 5, 15, 30, 60 및 180 min에 5 mL의 샘플을 황산용액이 있는 삼각 플라스크로부터 채취하였다. 채취한 샘플에 있는 바나듐은 ultraviolet-visible (UV-vis) 분광 광도계를 이용 하여 분석했다.
  • 각 바나듐 이온( V2+, V3+, VO2+, VO2+ )의 투과도는 시판의 양이온교환막인 Nafion 117, 시판의 음이온교환막인 AFN과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인 PAME-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 Quantax EDS system)를 활용하여 20 keV에서 막 내부의 원소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Jacso Co., 4100 model)를 이용하여 600~4,000 cm-1 의 파장범위에서 음이온교환기의 도입여부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내산화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에테르설폰(PES, poly(ether sulfone))과 폴리페닐렌설파이드설폰(PPSS, poly(phenylene sufide sulfone))을 블렌딩한 폴리머(PES-PPSS)를이용하여 클로로메틸화와 아민화에 의해 음이온교환막을 제작하였다. 또한 제작한 AEM의 이온전도도, 이온교 환용량, 함수율과 같은 막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각 바나듐 이온의 투과도를 측정하여 VRFB용 음이온교환막 으로 사용가능한지를 평가하였다.
  • 블렌딩이 완료되는 시점에 반응정지제인 3-chloro-2-methyl-1-propene (CMP) 를 서서히 주입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이 정지된후 생성된 NaCl, 미 반응물과 과량의 반응정지제를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와 메탄올을 이용하여 세척하였으며, 세척한 반응물은 메탄올에 24 hr 이상 침적시켜 남은 미반응물 및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침적물은 50°C에서 30 min 건조한 후 실온에서 12 hr 이상 건조하여 PES-PPSS 블렌딩 고분자를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내산화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에테르설폰(PES, poly(ether sulfone))과 폴리페닐렌설파이드설폰(PPSS, poly(phenylene sufide sulfone))을 블렌딩시킨 폴리머(PES-PPSS)를 활용하여 클로로메틸화와 아민화에 의해 음이온교환막 (AEM)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AEM의 이온전도도와 이온교환용량과 같은 막 특성과 각 바나듐 이온의 투과도를 측정하여 VRFB용 음이온교환막으로 사용가능한지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내산화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에테르설폰(PES, poly(ether sulfone))과 폴리페닐렌설파이드설폰(PPSS, poly(phenylene sufide sulfone))을 블렌딩한 폴리머(PES-PPSS)를이용하여 클로로메틸화와 아민화에 의해 음이온교환막을 제작하였다. 또한 제작한 AEM의 이온전도도, 이온교 환용량, 함수율과 같은 막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각 바나듐 이온의 투과도를 측정하여 VRFB용 음이온교환막 으로 사용가능한지를 평가하였다.
  • 아민화된 용액을 닥터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캐스팅한 후 드라이 오븐을 이용하여 110 °C에서 1 hr 동안 건조하여 Fig. 1과 같은 분자구조를 갖는 음이온교환막을 얻었다.
  • 이온교환용량 측정이 끝난 막을 24 hr 동안 증류수에 침적시키고, 막을 꺼내 휴지로 표면의 물기를 가볍게 제거한 후, 적은 상태에서의 막의 질량을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이 막을 드라이 오븐을 이용하여 60°C에서 막의 중량이 변하지 않을 때까지 건조하였다.
  • 01M HCl 수용액에 24 hr 동안 침적시켰다. 이온교환용량은 이 용액을 산-염기 적정함으로써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내산화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에테르설폰(PES, poly(ether sulfone))과 폴리페닐렌설파이드설폰(PPSS, poly(phenylene sufide sulfone))을 블렌딩시킨 폴리머(PES-PPSS)를 활용하여 클로로메틸화와 아민화에 의해 음이온교환막 (AEM)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AEM의 이온전도도와 이온교환용량과 같은 막 특성과 각 바나듐 이온의 투과도를 측정하여 VRFB용 음이온교환막으로 사용가능한지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은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FFI Co., Quanta 200 model)을 이용하여 표면과 단면을 분석하였으며,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XS, Bruker Co., Quantax EDS system)를 활용하여 20 keV에서 막 내부의 원소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Jacso Co.
  • 제조한 PES-PPSS 블렌딩 고분자에 음이온교환기인 아민기를 도입하기 위해 클로로메틸화(chloromethylation) 를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 5, 15, 30, 60 및 180 min에 5 mL의 샘플을 황산용액이 있는 삼각 플라스크로부터 채취하였다. 채취한 샘플에 있는 바나듐은 ultraviolet-visible (UV-vis) 분광 광도계를 이용 하여 분석했다.

대상 데이터

  • 1 M H2SO4 수용액에서의 막 저항은 실온과 1~100kHz의 주파수에서 LCR메터(Furuka Co. PM-6304)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막 저항은 식 (1)로부터 계산하였다.
  • 3가(V3+)와 5가(VO2+) 바나듐 이온 수용액은 4가 바나듐 이온 수용액을 전해-환원하여 제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EM의 용도는? 연료전지, 수전해, 레독스 흐름 전지와 같은 에너지 전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에 사용되는 AEM은 음이온을 선택투과시킴과 동시에 양극 반응과 음극 반응을 분리하는 역할을 담당하여야 하며 장치의 장기적 안정성을 위해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져야 한다[18,19]. 일반적 으로 높은 이온교환용량(IEC, ion exchange capacity)을갖는 AEM은 높은 이온 전달 속도를 달성할 수 있지만, 물의 팽윤에 따른 기계적 물성이 감소하게 된다[1].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의 필요성은?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발전은 에너지 밀도가 낮고, 간헐적이기 때문에 원활한 전력의 공급 및 운전을 위해 대용량 전력저장 기술이 필요하며, RFB는 그중의 하나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활물질로 바나듐을 사용하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VRFB, vanadium redox flow battery)는 재생에너지의 원활한 전력공급과 부하 평준화, 비상용 전력을 위한 전력저장 시스템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4,25].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란 무엇인가?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발전은 에너지 밀도가 낮고, 간헐적이기 때문에 원활한 전력의 공급 및 운전을 위해 대용량 전력저장 기술이 필요하며, RFB는 그중의 하나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활물질로 바나듐을 사용하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VRFB, vanadium redox flow battery)는 재생에너지의 원활한 전력공급과 부하 평준화, 비상용 전력을 위한 전력저장 시스템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4,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G.-J. Hwang and H. Ohya, “Preparation of anion exchange membrane based on block copolymers. Part I: Amination of the chloromethylated copolymers”, J. Membr. Sci. , 140, 195 (1998). 

  2. 10.1016/j.desal.2016.09.019 M. Khan, C. Zheng, A. N. Mondal, Md. Masem Hossain, B. Wu, K. Emmanuel, L. Wu, and T. Xu, “Preparation of anion exchange membrane from BPPO and dimethylethanolamine for electrodialysis”, Desalination , 402, 10 (2017). 

  3. 10.1016/j.memsci.2018.10.011 Y. Liu, S. Yang, Y. Chen, J. Liao, A. Sotto, and J. Shen, “Preparation of water-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from PVA for antifouling in the electrodialysis process”, J. Membr. Sci. , 570, 130 (2019). 

  4. S. Doi, M. Yasukawa, Y. Kakihana, and M. Higa, “Alkali stack on anion exchange membranes with PVC backing and binder: Effect on performance and correlation between them”, J. Membr. Sci. , 573, 85 (2019). 

  5. 10.1016/j.eurpolymj.2018.10.020 X. Zheng, S. Song, J. Yang, J. Wang, and L. Wang, “4-formyl dibenzo-18-crown-6 grafted polyvinyl alcohol as anion exchange membranes for fuel cell”, Euro. Poly. J. , 112, 581 (2019). 

  6. 10.1016/j.memsci.2019.03.046 J. Liu, X. Yan, L. Gao, L. Hu, X. Wu, Y. Dai, and X. Ruan, “Long-branched and densely functionalized anion exchange membranes for fuel cells”, J. Membr. Sci. , 581, 82 (2019). 

  7. 10.1016/j.memsci.2018.12.049 Q. Ge, X. Liang, L. Ding, J. Hou, J. Miao, B. Wu, Z. Yang, and T. Xu, “Guiding the self-assembly of hyper-branched anion exchange membranes utilized in alkaline fuel cells”, J. Membr. Sci. , 573, 595 (2019). 

  8. 10.1016/j.jpowsour.2017.03.146 M. Irfan, E. Bakangura, N. U. Afsar, Md. Masem Hossain, J. Ran, and T. Xu, “Prepar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novel alkaline stable anion exchange membranes”, J. Power. Soc. , 355, 171 (2017). 

  9. 10.1016/j.ijhydene.2018.12.185 B. Eriksson, H. Grimler, A. Carlson, H. Ekstrom, R. W. Lindstrom, G. Lindbergh, and C. Lagergren, “Quantifying water transfer in ani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Int. J. Hydrogen Energy , 44, 4930 (2019). 

  10. 10.1016/j.memsci.2016.07.020 J. Hou, X. Wang, Y. Liu, Q. Ge, Z. Yang, L. Wu, and T. Xu, “Witting reaction constructed an alkaline stable anion exchange membrane”, J. Membr. Sci. , 518, 282 (2016). 

  11. 10.14579/MEMBRANE_JOURNAL.2016.26.6.407 C.-H. Woo, “Current patents and papers research trend of fuel cell membrane”, Membr. J. , 26(6), 407 (2016). 

  12. 10.14579/MEMBRANE_JOURNAL.2017.27.2.109 J.-P. Hwang, C.-H. Lee, and Y.-T. Jeong, “Research trends and prospects of reverse electrodialysis membranes”, Membr. J. , 27(2), 109 (2017). 

  13. G. Shukla and V. K. Shahi, “Amine functionalized graphene oxide C16 chain grafted with poly(ether sulfone) by DABCO coupling: Anaion exchange membrane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y”, J. Membr. Sci. , 575, 109 (2019). 

  14. L. Zeng, T. S. Zhao, L. Wei, H. R. Jiang, and M. C. Wu, “Anion exchange membranes for aqueous acid-based redox flow batteries: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Applied Energy , 233, 622 (2019). 

  15. 10.14579/MEMBRANE_JOURNAL.2017.27.5.415 J.-M. Lee, M.-S. Lee, K.-S. Nam, J.-D. Jeon, Y.-G. Yoon, and Y.-W. Choi, “A study on the effect of different functional groups in anion exchange membranes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ies”, Membr. J. , 27(5), 415 (2017). 

  16. D.-J. Kim and S.-Y. Nam, “Research trend of polymeric ion-exchange membrane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y”, Membr. J. , 22(5), 285 (2012). 

  17. 10.1016/j.ces.2019.02.033 J. Hou, Y. Liu, Y. Liu, L. Wu, Z. Yang, and T. Xu, “Self-healing anion exchange membrane for pH 7 redox flow batteries”, Chem. Eng. Sci. , 201, 167 (2019). 

  18. 10.1016/j.jiec.2017.11.023 G.-J. Hwang, S.-W. Kim, D.-M. In, D.-Y. Lee, and C.-H. Ryu, “Application of the commercial ion exchange membrane in the all-vanadium redox flow battery”, J. Ind. Eng. Chem. , 60, 360 (2018). 

  19. 10.1016/j.jtice.2014.08.032 H.-S. Choi, Y.-H. Oh, C.-H. Ryu, and G.-J. Hwang, “Characteristics of the all-vanadium redox flow battery using anion exchange membrane”, J. Taiwan Inst. Chem. Eng. , 45, 2920 (2014). 

  20. 10.1007/s11814-015-0005-2 G.-J. Hwang, S.-G. Lim, S.-Y. Bong, C.-H. Ryu, and H.-S. Choi, “Preparation of anion exchange membrane using polyvinyl chloride (PVC) for alkaline water electrolysis”, Korean J. Chem. Eng. , 32(9), 1896 (2015). 

  21. 10.1016/j.ijhydene.2018.07.143 H. Ito, N. Kawaguchi, S. Someya, T. Munakata, N. Miyazaki, M. Ishida, and A. Nakano,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electrolytic solution for anion exchange membrane water electrolysis”, Int. J. Hydrogen Energy , 43, 17030 (2018). 

  22. L. Wang and M. A. Hickner, “Highly ordered ion-conducting block copolymers by hydrophobic block modification”, J. Mater. Chem. A , 4, 31 (2016). 

  23. 10.1016/j.memsci.2016.06.036 X. Dong, S. Hou, H. Mao, J. Zheng, and S. Zhang, “Novel hydrophilic-hydrophobic block copolymer based on cardo poly(arylene ether sulfone)s with bis-quaternary ammonium moieties for anion exchange membranes”, J. Membr. Sci. , 518, 31 (2016). 

  24. 10.1016/0376-7388(96)00135-4 G.-J. Hwang and H. Ohya, “Preparation of cation exchange membrane as a separator for the all-vanadium redox flow battery”, J. Memb. Sci. , 120, 55 (1996). 

  25. 10.1016/S0376-7388(97)00040-9 G.-J. Hwang and H. Ohya, “Crosslinking of anion exchange membrane by accelerated electron radiation as a separator for the all-vanadium redox flow battery”, J. Memb. Sci. , 132(1), 55 (1997). 

  26. 10.1016/j.jiec.2010.07.007 J.-G. Kim, S.-H. Lee, S.-I Choi, C.-S. Jin, J.-C. Kim, C.-H Ryu, and G.-J. Hwang, “Application of Psf-PPSS-TPA composite membrane in the all-vanadium redox flow battery”, J. Ind. Eng. Chem. , 16, 756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