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명상숲 조성·운영에 관한 인식 및 요구도 분석
Perceptions and Demands Analysis on the Creation and Management of School Forests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8 no.2, 2019년, pp.259 - 268  

정성엽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이연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초록

본 연구는 명상숲 조성 운영에 대한 학교와 지자체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명상숲 우수사례로 선정된 학교의 교사 45명과 명상숲이 조성되어 있는 전국 지자체 담당공무원 15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학교교사는 명상숲 조성의 필요성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환경미화를 위한 필요성을 가장 높게 꼽았다. 명상숲 조성 면적, 명상숲 조성 후 학교환경, 명상숲 활용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는 결과를 보였지만 명상숲 유지관리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높지 않았다. 또한 명상숲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지속적인 유지관리의 필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프로그램을 진행할 전문인력에 대한 요구도 높게 나타났다. 지자체 담당공무원도 명상숲 조성 효과로 학교환경 개선을 가장 높게 인식했으며 명상숲 조성 및 운영 활성화를 위한 지자체 역할로 관련 부처 기관과의 협력, 유지관리 지원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명상숲의 조성 및 운영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학교와 지자체의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유지관리 방안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schools and local governments were aware of the creation and operation of school forests. A survey was conducted of 45 teachers of schools selected as having the best practices in the school forest and 153 local government officials within the dis...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동반하여 학교교사 및 지자체 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명상숲 조성 및 운영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은 명상숲 운영현황 및 인식 분석과 관련된 선행연구(Cho, 2005; Forest for Life, 2007; Jang, 2009; Korea Forest Service, 2013)와 관련 연구진 및 산림청 정책입안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구성하였다.
  •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다중응답분석,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분석은 설문 항목 중에서 리커트(Likert) 척도를 사용한 항목에 대해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항목에 대한 신뢰도는 Cronbach’s α 계수를 통해 확인하였다.
  •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명상숲 조성 및 운영에 실질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학교교사와 지자체 담당공무원의 인식 및 요구도를 분석함으로써 명상숲 조성과 활용⋅관리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청에서 명상숲을 조성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그렇기에 사람은 누구나 숲에 대한 동경과 그리움을 갖고 있으며 자연의 품에서 가장 큰 평화를 느낀다(Shin, 2000). 하지만 최근 현대사회는 자연을 도외시한 채 추진된 경제개발로 인하여 우리에게 친숙한 자연공간이 점점 축소되고 있으며, 점차 아이들은 인공적인 환경 속에서 자연을 보고 듣고 만지고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해졌다(Park, 2008). 또한 과도한 과외학습 및 전자오락이나 컴퓨터 등으로 공동체적인 활동보다는 개인주의적 활동이 늘어나면서 학생들의 사회성 및 정서가 메말라 가고 있다(Bea, 2006).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산림청은 학생들이 일상생활의 절반을 보내는 학교에 나무를 심고 숲을 조성함으로써 학생들이 가까이에서 자연을 체험하고 자연과 친숙해질 수 있도록 명상숲1) 조성을 전역에 확대하고 있다.
명상숲이란 무엇인가? 명상숲이란 학교 안에 다양한 초본류, 목본류 등 식물이 어우러져 소음방지, 기후조절, 방풍 등의 환경적 기능을 수행하고 자연학습, 관찰 및 환경교육 등 교육적 기능과 신체 및 정신적 건강 기능을 제공하는 숲을 말한다(Ryu, 2003). 산림청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 5항에서는 「초⋅중등 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와 그 주변지역에서 국민들에게 쾌적한 생활환경과 아름다운 경관의 제공 및 자연학습교육 등을 위하여 조성⋅관리하는 산림 및 수목을 명상숲으로 정의하고 있다.
명상숲은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 또한 학생들의 기질에도 중요한 영향을 끼쳐 숲이 있는 학교의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일반학교 학생보다 주의집중성, 지속성이 높게 나타나 학업 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Shin and Ryu, 2004; Nawaz and Blackwell, 2014). 학생들의 명상숲에 대한 만족은 전반적인 학교 행복감, 즉 환경에 대한 만족, 친구 및 교사와의 관계, 심리적 안정 등의 증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e, Y.M. 2006. Study of change of friendly environment attitude and action through school forest experience studying. (Dissertation). Busa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 Byeon J.S., Yun, H.J. and Kim, I.H. 2008,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achievement of school fores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1): 49-61. 

  3. Cho, B.H. and Park, B.W. 2006. A study on the school forest recognition of the school community and a desirable process for making the school forest: focused on the case schools of the "Forest for Life" in the Kangwon Youngseo region.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9(2): 96-104. 

  4. Cho, B.W. 2005. A study on the school forest recognition of the school community and proper formation of the school forest: Focused on the case of the forest for life. (Dissertation). Chunche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5. Chong, H.M. 2001.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chool forest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9(2): 125-137. 

  6. Forest for Life. 2007. School forest performance and economic valuation. Forest for Life. 

  7. Jang, J.S. 2009. An analysis of present state of school forest and satisfaction degree. (Dissertation).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8. Jang, J.S., Jung, S.G., Lee, W.S., You, J.H. and Kim, K.T. 2011. An analysis of planting status and awareness on school forest. Journal of Korea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4(3): 33-45. 

  9. Kim, J.H., Lee, S.H. and Yoon, Y.H. 2018. A comparative study on teacher-student perception of forest function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7(7): 519-529. 

  10. Kim, J.H., Tae, Y.L., Jang, J.Y. and Kim K.M. 2010. Study on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environmental governance around urban forest in Korea: With a focus on the recognition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4): 580-590. 

  11. Kim, S. 2015. Effect of the school forest satisfaction on school happ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Dissertation). Cheongju.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2. Korea Forest Service (KFS). 2013. Survey of the people's consciousness about the school forest. Korea forest Service. 

  13. Korea Forest Service (KFS). 2018.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Korea Forest Service. 

  14. Lim, J.I. 2005. An study on the use and cultivating garden of school. (Dissertation).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5. Ministry of education. 2018.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16. Nawaz, H. and Blackwell, S., 2014. Perceptions about forest schools: Encouraging and promoting Archimedes Forest Schools. Academic Journals 9(15): 498-503. 

  17. O'Brien, L. and Murray, R. 2007. Forest school and its impacts on young children: case studies in Britain.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6(4): 249-265. 

  18. Park, H.S. 2008.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Experiential Learning in a School Forest on the Students' Sensitivity: With a focus on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Dissertation). Cheongju.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 Ryu, J.H. 2003. Influence of school forest on student temperament. (Dissertation). Cheongju.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 Shin, W.S. 2000. Psychological benefits of school forests for students and teacher. Forest and Culture 8(1):19-21. 

  21. Shin, W.S. and Ryu, J.H. 2004. Influence of school forest on student temperament.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7(2): 74-82. 

  22. Son, J.W. and Ha, S.Y. 2013. Examining the influence of school forests on attitudes towards forest and aggress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7(4): 49-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