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중심 디자인 기반 교실 공간 설계
A Classroom Space Design based on User Centered Design 원문보기

커뮤니티교육시설 :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 Community Education Facilities, v.26 no.6, 2019년, pp.19 - 27  

최호순 (Dept. of Architecture, Keimyung Univ.)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sign educational space that will respond to changing educational curriculum and creative educational activ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user centered design method in which students and teachers who actually use space participate directly in space design, moving away from ...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황동호(2019)는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한 ‘문화로 행복한 학교만들기’ 사업에 참여한 6개교 초·중학교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교육공간 리노베이션 이후의 교사와 학생들의 사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만족도 조사에 있어 공간 리노베이션에 참여한 그룹과 참여하지 않은 공간 사용자들을 구분하여 리노베이션 이후의 교육공간에 대한 각각의 만족도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리노베이션 디자인에 참여하는 것이 사후 공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으나, 현재의 교육공간이 가진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공간’이라는 특정 주제로 새로운 공간을 계획한 공간의 만족도를 분석한다는 것은 사용자들의 문화공간 선호도에 대한 편차가 클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연구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교육공간의 주체인 학생들과 교사들이 참여하는 ‘사용자 중심’의 교육공간을 계획 및 디자인 하고자 한다.
  • 하지만 오늘날 교육공간은 변화하는 교육과정에 대응하지 못하고 60년대의 학교 시설 기준에 머무르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연구는 변화하는 교육과정에 대응하는 새로운 교육공간을 계획하는 것을 가장 큰 목표로 하였고, 또한 새로운 교육 공간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공간을 리노베이션 하고자 하였다.
  • 마지막으로 내부 실내 마감재료를 자연소재로 선택하여 교실공간을 환경친화적 공간으로 디자인하였다. 이러한 실내 마감재료를 통해 사용자들의 심리적 안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이유로 부채꼴 모양의 2단의 일체식 계단 강의실을 제안하여 25명의 최대한으로 많은 학생을 수용하고자 하였고, 또한 중앙의 무대로 학생 들의 집중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또한 한 교실내에 작은 공간이 생김으로서 학생들과 교사들의 다양한 학업활동을 가능하게할 것이다. 특히 본 공간은 빔 프로젝터, 모니터 그리고 충분한 전기설비 구축으로 향후 첨단기기를 활용한 미래 지향적 교육이 가능하도록 계획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용자 중심 디자인을 교육공간을 리노베이션하는 과정에서 찾아볼 수 있는 이유는? 사용자 중심 디자인에 의한 구체적인 교육공간 디자인 사례는 기존의 교육공간을 리노베이션하는 과정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기존의 공간에 익숙한 사용자들이 현재 공간이 가진 문제점 그리고 향후 자신들이 사용할 교육공간의 높은 관심도로 인해 적극적으로 공간 디자인에 참여하기 때문이다.
헨리 샤노프가 제시한 참여 디자인 개념이란? 로렌스 할프린에 의해 시작된 참여 디자인 개념이 건축및 도시계획분야에서 구체적으로 실행된 것은 헨리 샤노프(Henry Sanoff)에 의해서이다. 헨리 샤노프가 제시한 참여 디자인 개념은 디자이너와 도시 계획가가 계획의 과정에 있어서 단지 중재자의 입장을 취하고, 실제 사용자들로 구성되는 여러 위원회들에 의한 활동의 과정을 통해 도시및 경관디자인을 수행하는 것이다.8) 이와같은 헨리 샤노프의 참여 디자인 개념은 환경디자인 계획에 있어 기존에 진행되어왔던 공간 디자이너에 의한 상향식 계획이 아닌 사용자들로 구성되는 여러 위원회들로 대표되는 시스템에 의해 디자인이 수행되었다는 점과 사용자들이 더 잘 알고 있는 자신들의 주변 환경을 디자인함으로서 성공적인 공간 계획이 가능하도록 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Top-down 방식의 교육시설 계획이 지양되어야 하는 이유는? 1955년 1차 교육과정의 탄생부터 오늘날 첨단기술 도입의 교육 환경속에서 여전히 교육공간은 구 시대적인 형태로 유지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변화할 교육법 그리고 무엇보다도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할 유연하고 학생들의 창의적 교육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공간 계획은 매우 필요 하다. 또한 교육기관이 제시하는 ‘매뉴얼’에 의해 진행되는 Top-down 방식의 교육시설 계획은 교육의 창의성 주제 저변에 사용자인 학생들과 교사의 자율성과 의견교류가 없다는 점에서 반드시 지양되어야 할 점이며, 미래의 창의적 교육공간계획은 교육시설을 가장 오래 사용하는 주체인 학생들과 교사들의 의견이 중심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교육공간의 주체인 학생들과 교사들이 참여하는 ‘사용자 중심’의 교육공간을 계획 및디자인 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Robert Sommer, Barbara Sommer, A Practical Guide to behavioral Research, Oxford University Press, pp.63-67, 2002. 

  2. Ok, Il-Nam, A Study on the time-periodic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m,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 pp.57-86, 2017. 

  3. Park, In-Woo, A Study on Technology-Based Future School,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09. 

  4. Kim, Hyun-Jin, Development of Future School Establishment and Operation Model,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17. 

  5. Lee, Kyung-Hoon, An, Eun-Hee, 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 of Multi-purpose Space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rough Utilization of User Participation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17(2), 2010. 

  6. Kim, Hee-Chul, Human Computer Interaction, Scitech, p.216, 2006. 

  7. Lawrence Halprine, Modern Architects Series, International Publication, p.205, 1983. 

  8. Henry sanoff, Design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pp.7-15, 1990. 

  9. Jong, Jung-Won, A Study for the Design of Technology- Enhanced Future Classroom,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pp.33-34, 2009. 

  10. Kim, Hye-Jung, Lee, Moon-Sun, Song, Na-ri, Khan, Ji-Ha, User Participant Design for the Remodeling of Existing High Schoo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0(1), 2010. 

  11. Yoon, Suk-Hoon, 4th Industrial Revolution & Future School Facil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24(3), 2017. 

  12. Hwang, Dong-Ho,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after Improvement of School Space through Participatory Space Desig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4(2), 2019. 

  13. Choi, Joo-Young, Park, Sung-Jun, A Classroom Design Plan based on the Biophilic-Desig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26(3), 2019.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