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의 '촉진자(facilitator)' 개념분석
A Concept Analysis of 'Facilitator' in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4 no.1, 2018년, pp.39 - 49  

김지영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define the concept of a facilitator and specific attributes for providing basic data on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Methods: Using Walker and Avant's (2005) criteria that identify the attribute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facilitators in simulation n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 (2005)의 개념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 촉진자(facilitator)에 대한 개념분석을 시도한 연구이다. 개념분석을 위한 여러 방법론들이 있지만, 촉진자(facilitator) 개념이 촉매자(catalyst), 조정자(coordinator, mediator), 조언자(counsellor), 전달자(deliver), 교수자(instructor), 진행자(moderator) 등 다양한 역할과 명확한 구분 없이 사용됨에 따라, Walker와 Avant (2005) 방법을 활용하여 유사한 개념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이해하고 명확하게 개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관찰을 필요로 하지 않았으며, 기존의 관련 문헌에서 촉진자(facilitator)의 개념 정의, 목적, 준거, 근거, 관계 및 과정 등이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 (2005)의 개념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 촉진자(facilitator)에 대한 개념분석을 시도한 연구이다. 개념분석을 위한 여러 방법론들이 있지만, 촉진자(facilitator) 개념이 촉매자(catalyst), 조정자(coordinator, mediator), 조언자(counsellor), 전달자(deliver), 교수자(instructor), 진행자(moderator) 등 다양한 역할과 명확한 구분 없이 사용됨에 따라, Walker와 Avant (2005) 방법을 활용하여 유사한 개념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이해하고 명확하게 개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Walker와 Avant (2005)는 가능한 개념을 활용한 많은 자료를 분석할 것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전적 의미는 국외출판 영영사전, 국내출판 영한사전, 한글사전, 검증된 논문들,제목이나 내용에서 검색어를 포함하고 있는 단행본들을 검색하여 살펴보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촉진자(facilitator)의 개념을 사용한 문헌들을 분석하여 개념의 속성의 의미를 규명하고 이를 조직화하여 촉진자(facilitator)의 역할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는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 촉진자(facilitator)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 (2005)의 단계에 따라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의 촉진자(facilitator)에 대한 개념적 속성,주요 선행요인, 결과 확인, 경험적 준거 확인을 도출하였다. 이에 개념적 속성, 결과 확인을 중점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개념분석은 결정적 속성들을 확인하고 개념을 정의하는 것을 도와주는 방법으로, 간호의 지식체 발전에 기본이 되며,비판적인 사고와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 필수적이다(Walker& Avant, 2005). 이에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 촉진자(facilitator) 개념의 속성을 파악하고 정의하고자 한다. 이는 학습자 중심의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을 수행함에 있어 촉진자(facilitator)라는 개념을 명확히 제공하고, 질 높은 시뮬레이션 교육을 위한 촉진자(facilitator) 역량 강화 지침과 체계적인 평가 마련에 근거가 될 것이다.

가설 설정

  • 셋째, 촉진자(facilitator)는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상황을 이해하고 성찰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 학생들과 디브리핑 때만이 아니라 시뮬레이션 시작 단계부터 학생들에게 안내하고 있는데 질문이 있으면 질문 받고 추가적으로 자세히 설명해주고 있어요. 제가 전달하는 내용이 시뮬레이션 교육 전체에 엄청난 영향을 주더라고요. 낯선 환자 모형 시뮬레이터 사용 방법이나 학습 목표, 시뮬레이션 진행 과정 같은걸 정확하게 알려 주면 학생들이 덜 긴장하게 되고 아무래도 흥미를 가지고 누구 하나 빠짐없이 잘 참여하게 되요.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이란 무엇인가?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은 임상현장과 유사한 경험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교육 전략으로(Moulton,Lucas, Monaghan, & Swoboda, 2017), 간호대학생은 반복적인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 자신감이 향상되었으며, 긍정적인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aillie & Curzio, 2009). 특히 학습자 중심의 시뮬레이션 교육은 지식 전달 방식의 교육보다 효율적이며, 역동적인 임상상황을 모의 경험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간호 및 의학 교육에서 점차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Shin, 2014).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촉진자의 역할은 무엇인가? , 2009).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촉진자(facilitator)는 전문성을 갖추고 신뢰관계를 구축하여, 전문 지식을 공유해야 하며(Boese et al., 2013;Mayville, 2011), 디브리핑 시 학습자의 행동을 관찰하고 이에 대한 근거를 확인하기 위한 질문 사용이 권장되고 있다(Mayville, 2011). 즉, 사회과학에서와 달리 시뮬레이션 간호 교육에서 촉진자(facilitator)는 토론 촉진의 기술과 더불어 내용의 전문성이 요구된다고 사료된다.
구성주의 학습이론에서 교수자의 역할을 어떻게 설명하는가? 이 중 구성주의 학습이론에서 facilitation은 매일 방대한 양의 새로운 정보와 지식이 나오는 상황에서 구체적이고 단편적인 지식을 암기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점에서 착안하게된 것으로, 교육의 목적을 학습의 촉진(facilitation of learning)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Ahn, 2013).학습의 주체, 중심과 책임은 교수자에서 학습자로 전이되었으며, 교수자는 강의를 하지만 더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어 지식을 전달하는 사람이 아니라, 학습자가 최대한 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조성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지식을 구조화하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보고하였다(Ahn, 2013). 특히 액션러닝이 도입되면서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facilitation 기법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전문적으로 실행하게 되었는데,촉진자(facilitator)는 조원들의 지식 차이를 인식하고, 그 차이를 대화와 상호 학습을 통해 채워 나아간다는 점을 조원들에게 이해시켜야 하며, 혼자가 아닌 조원들과의 협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해야 한다(Yum & Park,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ICT and English education in the global age Ahn 501 2013 

  2. 백희정. 방문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운영과 간호학생의 경험.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27, no.1, 40-49.

  3. 10.26857/jlls.2012.12.8.3.59 

  4. Baillie, Lesley, Curzio, Joan. Students’ and facilitators’ perceptions of simulation in practice learning. Nurse education in practice, vol.9, no.5, 297-306.

  5. Barnhart 1988 

  6. Bland, Andrew J., Topping, Annie, Wood, Barbara. A concept analysis of simulation as a learning strategy in the education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vol.31, no.7, 664-670.

  7. Boese, T., Cato, M., Gonzalez, L., Jones, A., Kennedy, K., Reese, C., Decker, S., Franklin, A.E., Gloe, D., Lioce, L., Meakim, C., Sando, C.R., Borum, J.C.. Standards of Best Practice: Simulation Standard V: Facilitator.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vol.9, no.6, S22-S25.

  8. 최은진. 시뮬레이션 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메타인지, 문제해결과정, 디브리핑 경험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6, no.1, 459-469.

  9. Collins 2008 

  10. The first research consensus summit of the society for simulation in healthcare conduction and a synthesis of the results Dieckmann s1 2011 

  11. Problem-based learning tutors' conceptions of their development as tutors Dolmans 145 2009 

  12. Gilley 2002 

  13. Hansen, Jamie, Bratt, Marilyn. Competence Acquisition Using Simulated Learning Experiences: A Concept Analysis :.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vol.36, no.2, 102-107.

  14. The effects of mechanical ventilation simulation on the clinical judgment and self-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Ha 119 2012 

  15. 2010 

  16. Analysis of problem based learning based on the self-reflection journals and class evaluation of nursing students Kim 438 2009 

  17. 10.22251/jlcci.2017.17.23.333 

  18. Measuring effectiveness of facilitation program-focusing on agricultural facilitators Lee 27 2014 

  19. Lekalakala-Mokgele, E, Du Rand, PP. A model for facilitation in nursing education. Curationis, vol.28, no.2, 22-29.

  20. Mayville, Mary Latina. Debriefing: The Essential Step in Simulation.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 NAINR, vol.11, no.1, 35-39.

  21. Moulton, M.C., Lucas, L., Monaghan, G., Swoboda, S.M.. A CLEAR Approach for the Novice Simulation Facilitator. Teaching and learning in nursing : official journal of the National Organization for Assciate Degree Nursing, vol.12, no.2, 136-141.

  22. Roh, Young Sook, Kelly, Michelle, Ha, Eun Ho. Comparison of instructor‐led versus peer‐led debriefing in nursing students. Nursing & health sciences, vol.18, no.2, 238-245.

  23. Rosen, Michael A., Salas, Eduardo, Silvestri, Salvatore, Wu, Teresa S., Lazzara, Elizabeth H.. A Measurement Tool for Simulation-Based Training in Emergency Medicine: The Simulation Module for Assessment of Resident Targeted Event Responses (SMARTER) Approach. Simulation in healthcare : journal of the Society for Simulation in Healthcare, vol.3, no.3, 170-179.

  24. Schwarz 2002 

  25. Simulation based education and current learning theories Shin 15 2014 

  26. Walker 2005 

  27. Webster 2003 

  28. Yang 2008 

  29. 2017 

  30. 염지환, 박상현. 액션러닝을 활용한 D기업의 학습조직 적용과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0, no.11, 3390-33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