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고령자 대상 농한기 마을 공동식사 프로그램 참여 조리자원봉사자의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인식과 과정 평가
Operation and Process Evaluation of a Community Meal Program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s during Agricultural Off-Season Perceived by Cooking Volunteer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4 no.4, 2019년, pp.277 - 289  

배정숙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성솔비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장소망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유창희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임영숙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영미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혜련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경은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practices of a community meal program for older adults in rural areas during the agricultural off-season.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2 to December 22, 2016.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50 cooking volunteers, who had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조리자원봉사자들은 마을밥상 당일 오전 9시 전후로 출근하여 배송된 식재료를 확인하고 조리 작업을 시작하였다. 본 사업에서 쌀과 기본 양념류, 김치는 마을에서 확보하고, 주 2회 공동식사 조리를 위한 주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식재료는 주로 당일 아침에 배달되거나 식사 전날 오후에 배달되었는데, 조리자원봉사자 들은 제공된 식재료 품질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스러워 하였다.
  • 본 연구는 농한기 농촌 고령자의식생활 개선을 위한 마을공동식사 프로그램 ‘마을밥상’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조리자원봉사자 설문조사를 통해 사업의 과정 평가를 실시하여 향후 농촌 고령자 대상 식생활·건강 개선 사업의 확대 운영 방안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농촌 지역 농한기 고령자 대상 공동식사 사업인 ‘마을 밥상’ 사업에 참여한 조리자원봉사자를 조사 대상으로 선정 하여 공동식사 사업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자원봉사자들이 인식하는 사업의 효과를 평가하여, 향후 농촌 고령자 대상 공동식사 사업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농한기 농촌 고령자의 식생활 개선을 위한 마을 공동식사 프로그램 ‘마을밥상’ 사업의 운영 실태와 과정을 서비스 제공자 관점에서 평가하여 농촌 고령자 대상 식생활·건강 개선 사업의 확대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 본 프로그램에서는 주 2회 마을밥상 운영을 위한 식단과 레시피를 제공하였는데, 조리자원봉사자들은 지원된 식단에 대해 전문가들의 영양적 고려가 잘 이루어진 식단으로 신뢰 하였다. 그러나 단백질 섭취 기회가 적은 혼자 사는 고령자 들을 위해 육류와 생선류 메뉴가 더 제공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와 농촌 고령자의 식생활 행태 및 영양소 섭취상태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도시와 농촌 고령자의 식생활 행태 및 영양소 섭취상태를 비교한 결과 농촌 고령자는 도시 고령자에 비해 곡류 섭취량은 많으나 과일류, 우유 및 유제품류 섭취가 적어 다양하게 식품을 섭취하지 못하고 있었다[6]. 농촌 고령자가 다양한 식품을 충분하게 섭취하지 못하는 이유 중 경제적인 어려움이 큰 원인으로 보고되었다[4].
마을 공동식사 프로그램(명칭:마을밥상)이 어떤 프로그램인가요? 농한기 농촌 고령자 대상 마을 공동식사 프로그램(명칭:마을밥상)은 정부와 민간 기업의 지원을 받아 주 2회 마을고령자가 함께 식사를 하는 프로그램으로, 전국 50개 마을에서 2016년 10월~12월 동안 운영되었다. 마을밥상의 운영 실태와 효과 평가를 위해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경기도 양평군, 강원도 횡성·인제군, 충청남도 청양·태안군, 전라남도 장성군, 경상남도 통영·고성군에 있는 50개 마을의 조리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어떤 내용이 있나요? 응답자의 일반사항으로 성별, 연령, 지역 등을 조사하였고, 본 사업에 참여하게 된 동기와 식사횟수, 식사 제공시간, 공동식사수혜 인원, 식사제공방법 등 마을밥상 운영 실태를 조사하였다. 사업 운영 평가는 ‘제공된 레시피가 도움이 되었다’, ‘식재료 보관 공간이 적절하였다’, ‘배송된 식재료 양이 적당하였다’ 등 14개 문항으로 조사하였고, 각 문항은 5점 척도(1점: 전혀 그렇지 않다, 5점: 매우 그렇다)로 평가하였다. 또한 조리자원봉사자들이 인식하는 고령자들의 식생활 문제는 ‘다양한 식품을 골고루 먹지 못한다’, ‘짠 음식(장아찌, 김치류) 위주로 식사를 한다’, ‘음식을 직접 조리하는 것이 어렵다’ 등 14개 문항을 5점 척도(1점: 전혀 그렇지 않다, 5점: 매우 그렇다)로 평가하였다. 설문지는 우편으로 발송하였고, 자기기입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기입 후 연구진에게 반송하도록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tatistics Korea. Statistics list [Internet]. Statistics Korea. 2018. cited 2019 May 10. Available from: https://www.kostat.go.kr/ 

  2. Korean J Food Nutr Kang 18 4 357 2005 

  3. J Korean Diet Assoc Heo 14 1 23 2008 

  4. Korean J Nutr Kim 45 3 252 2012 10.4163/kjn.2012.45.3.252 

  5.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Kim 20 3 423 2009 

  6. J Nutr Health Lee 50 2 171 2017 10.4163/jnh.2017.50.2.171 

  7.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Chun 38 3 182 2013 10.5393/JAMCH.2013.38.3.182 

  8. J Community Health Byker Shanks 42 3 511 2016 10.1007/s10900-016-0283-6 

  9. J Agric Ext Community Dev Chae 16 1 1 2009 

  10.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Yoon 25 2 163 2014 10.7856/kjcls.2014.25.2.163 

  11. J Korean Soc Food Sci Nutr Kim 38 10 1381 2009 10.3746/jkfn.2009.38.10.1381 

  12. J Korean Soc Food Sci Nutr Chung 36 11 1399 2007 10.3746/jkfn.2007.36.11.1399 

  13. J Korean Soc Food Sci Nutr Lee 38 5 618 2009 10.3746/jkfn.2009.38.5.618 

  14. Food Eng Prog Cha 20 1 35 2016 10.13050/foodengprog.2016.20.1.35 

  15.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Kim 34 1 113 2009 10.5393/JAMCH.2009.34.1.113 

  16. J Korean Acad Nurs Park 35 5 943 2005 10.4040/jkan.2005.35.5.943 

  17. Korean J Community Nutr Park 13 1 34 2008 

  18. Korean J Food Cult Park 22 1 127 2007 

  19. Korean J Food Cult Choi 40 3 270 2007 

  20. Korean J Food Cult Park 22 1 149 2007 

  21. Korean J Nutr Kim 44 6 537 2011 10.4163/kjn.2011.44.6.537 

  22. J Korean Soc Hypertens Kawano 18 2 53 2012 10.5646/jksh.2012.18.2.53 

  23. Korean J Community Nutr Lee 19 5 448 2014 10.5720/kjcn.2014.19.5.448 

  24. Korean J Community Nutr Han 9 5 615 2004 

  25. J Aging Health Ye 29 4 620 2017 10.1177/0898264316641080 

  26. Korean J Soc Welf Res Lim 38 217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