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료평가를 활용한 실습교육평가방법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학습태도, 비판적사고 및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actice Education Evaluation using Peer Evaluation on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mpetency, Learning Attitude, Critical thinking and Self-Leadership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9, 2019년, pp.351 - 361  

김영희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동료평가를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의 실습교육평가방법이 졸업반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학습태도, 비판적사고 및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핵심기본간호술 교과목 수강자 4학년 학생으로 총 326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8년 한 학기동안 실시하였다. 자료는 AMOS 20.0과 SAS 9.3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동료평가를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의 평균평점은 3.77(${\pm}.62$)점, 학습태도 3.17(${\pm}.47$)점, 비판적 사고는 3.44(${\pm}.41$)점, 셀프리더십은 3.60(${\pm}.49$)점으로 나타났다.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은 성별, 간호학 전공만족도, 핵심기본간호술 실습만족도, 동료평가 전 사전학습여부, 동료평가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은 학습태도(r=.295, p<.001)와, 비판적사고는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r=.384, p<.001), 학습태도(r=.623, p<.001)와, 셀프리더십은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r=.353, p<.001), 학습태도(r=.529, p<.001), 비판적사고(r=.690, p<.001)와 유의한 순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비판적사고, 셀프리더십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학습태도, 비판적사고 및 셀프리더십을 고려한 핵심기본간호술 실습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peer evaluation method on the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mpetency, learning attitude, critical thinking and self-leadership of graduating nursing students. A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326 nursing students. Th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졸업반 간호학생에게 동료평가를 활용한 실습 교육평가를 통해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학습태도,비판적사고 및 셀프리더십 정도, 이들의 관계 및 이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실습교육의 효율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 목적은 4학년 1학기에 개설된 핵심기본간호술 교과목 수강생 대상으로 동료평가를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평가방법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학습 태도, 비판적사고 및 셀프리더십 정도, 변수들 간의 관계 및 이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간호 수기술 습득을 위한 다양한 교육방법 중의 일환으로 동료평가를 활용한 실습교육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각 변수들의 정도와 그 상호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그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일 대학 4학년 전공필수 pass 교과목인 핵심기본간호술 수강학생 대상으로 동료평가를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평가방법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학습태도, 비판적사고 및 셀프리더십 정도, 변수들간의 관계 및 이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졸업학년 4학년 간호학생 326명을 대상으로 핵심기본간호술 실습교육평가방법의 일환으로 동료평가 학습방법을 적용하여 핵심기본간호술수행능력, 학습 태도, 비판적사고 및 셀프리더십 정도와 상관관계 및 이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정확한 가이드라인과 루브릭과 같은 도구 사용이 필요하다고 하였다[6]. 본 연구에서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핵심기본간호술 항목별 체크리스트와 이를 다시 지식, 기술, 태도로 통합한 루브릭을 이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최대한 확보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동료평가를 위한 익명성은 보장하지 못하였으므로 추후에는 익명성을 보장한 동료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료평가의 역할은? 따라서핵심기본간호술 술기능력 평가는 협업 테스트가 개인 테스트보다는 오히려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비판적인 분석을 통해 심층적인 학습이 이루어져서 성과 향상에 도움이 되므로[23], 다면적인 방법을 활용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평가방법으로서의 실습교육 표준화를 이루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동료평가 과정은 간호학생의 대인관계 기술과 전문성을 향상시키므로 간호사의 실무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동료평가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6]. 의과대학생 대상의 동료평가 연구에서 동료는 서로 자주 상호작용하므로 행동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제공하는 독특한 위치에 있어서 의과대학생의 71%에서는 동료를 평가하는 것이 편안하다고 하였으며[5], 동료평가는 학업의 질적 향상과 전문성을 평가하는데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고 하였다[7].
간호학생의 실기능력 저하가 문제점으로 대두된 이유는? 간호학생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는 전공지식과 간호술의 통합적용능력, 문제해결을 위한 비판적사고 능력, 리더십 능력 등으로 이것은 향후 간호사로서의 정체감을 형성하고 임상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기본역량 증진에 필수적인 사항이다[1]. 그러나 간호학 실습 교육은 주로 관찰(37.4%)과 구두설명(32.4%)으로 진행이 되면서 학생들의 실기능력 저하가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2]. 이에 환자를 안전하게 간호하는 임상수행능력의 부각으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이 필수적으로 대두되기시작했으며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의 하나가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이다[3].
간호학생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간호학생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는 전공지식과 간호술의 통합적용능력, 문제해결을 위한 비판적사고 능력, 리더십 능력 등으로 이것은 향후 간호사로서의 정체감을 형성하고 임상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기본역량 증진에 필수적인 사항이다[1]. 그러나 간호학 실습 교육은 주로 관찰(3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Y. H. Kim, "Learning Motivations, Academic Self-Efficacy, and Problem Solving Processes after Education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5, No.10, pp.6176-6186. 2014. DOI:http://dx.doi.org/10.5762/KAIS.2014.15.10.6176 

  2. K. S. Chung,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News, www.nursenews.co.kr/main/main.asp (accessed July.14, 2019) 

  3. Y. H. Kim, "The Effects of Core Fundamental Nursing Program on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mpetency, Clinical Competenc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 No.9, pp.362-373. 2018. DOI:http://dx.doi.org/10.5762/KAIS.2018.19.9.362 

  4. H. S. Park, J. Y. Han,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20, No.4, pp.438-448, 2013. DOI:http://dx.doi.org/10.7739/jkafn.2013.20.4.438 

  5. R. A. Kovach, D. S. Resch, S. J. Verhulst, "Peer Assessment of Professionalism:A Five-Year Experience in Medical Clerkship",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Vol.24, pp.742-746. 2009. DOI:https://doi:10.1007/s11606-009-0961-5 

  6. Y. S. Han, D. H. James, R. H. McLain,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peer and faculty evaluations of clinical performance:A pilot stud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Vol.3, No.8, pp.170-178, 2013. DOI:http://dx.doi.org/10.5430/jnep.v3n8p170 

  7. B. S. Kam, M. J. Kim, S. I. Joo, S. J. Yune, S. U. Im, S. Y. Lee, S. Yoon, S. Y. Baek, "Relationship of Peer-and Self Assessments in the Anatomy Laboratory and Academic Performance of Gross Anatomy",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Anthropologists, Vol. 31, No.1, pp.1-7, 2018. DOI:https://doi.org/10.11637/kjpa.2018.31.1.1 

  8. J. Tornwall, "Peer assessment practices in nurse education: An integrative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Vol.71, pp.266-275, 2018. DOI:https://doi.org/10.1016/j.nedt.2018.09.017 

  9. Y. J. Bae, The Effects of Self-evaluation and Peer-evalu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Kook min, Seoul, Korea, pp.1-20, 2009. 

  10. S. P. O'Kell,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 Readiness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Teaching Preference of Learner Nurses in one Health District", Nurses Education Today, Vol.8, pp. 197-204, 1988. DOI:https://dx.doi.org/10.1016/0260-6917(88)90149-9 

  11. S. J. Psung,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Learning Attitud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Infant Care,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onnam, Kwang Ju, Korea, pp.1-43,2014. 

  12. C. Y. Cheng, H. M. Tsai, C. H. Chang, S. R. Liou, "New Graduate Nurses' Clinical Competence, Clinical Stress, and Intention to Leave: A Longitudinal Study in Taiwan", The Scientific World Journal, 2014. DOI:http://dx.doi.org/10.1155/2014/748389 

  13. E. S. Jung, A Study on High-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nd Interest through Peer-evaluation and gSelf-evaluation Comparison and Analysis ,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hung-Ang, Seoul, Korea, pp.1-18, 2013. 

  14. S. Gray, M. Wheat, M. Christensen, J. A. Craft, "Peer-to-peer and academic support in developing clinical skills excellence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An exploratory study", Nurses Education Today, Vol.73, pp.7-12, 2019. DOI:http://dx.doi.org/10.1016/j.nedt.2018.10.006 

  15. S. S. Bang, Relationship among essentials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performance, stress from work and work capability of new clinical nurse,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ahmyook, Seoul, Korea, pp.5-14, 2014. 

  16. H. A. Alharbi, A. F. Almutairi, E. M. Alhelih, A. S. Alshehry, "The Learning Preferences among Nursing Students in the King Saud University in Saudi Arabia: A Cross-Sectional Survey" Nursing Research and Practice, Vol.2017, pp.1-7, 2017. DOI:https://dx.doi.org/10.1155/2017/3090387 

  17. S. Y. Hwang,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Knowledge Achievement, Critical Thinking Ability, Attitude and Motivation towar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onnam, Gwangju, Korea, pp.5-14, 2003. 

  18. Z. Ghazivakili, R. N. Nia, F. Panahi, M. Karimi, H. Gholsorkhi, Z. Ahmadi. "The role of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learning style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Advances in Medical Education & Professionalism. Vol.2, No.3, pp.95-102, 2014. 

  19. J. Yoon.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tholic, Seoul, Korea, pp.3-32, 2004. 

  20. V. L. Silva, S. H. Camelo, M. I. Soares, Z. M. Resck, L. D. Chaves, F. C. Santos, L. A. Leal, "Leadership Practices in Hospital Nursing: A Self of Manager Nurses", Revista da Escola de Enfermagem da USP, 2017. DOI:http://dx.doi.org/10.1590/s1980-220x201609950320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