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중심학습(PBL)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Strategies (PBL) on Problem Solving Skill: A Meta-Analysi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0, 2019년, pp.197 - 205  

박일수 (공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BL)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일반화된 결론을 도출하고, 이와 관련된 조절변인을 발견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1998년부터 2017년까지 발행된 석사학위 논문과 국내 학술지 논문 41편을 분석하고, 41개의 개별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PBL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평균 효과 크기는 .753이었으며, 이것은 PBL이 문제해결능력에 유의미한 교수-학습 방법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은 교과, 유형, 학교급이었다. PBL의 문제해결능력 효과는 수학(d=.922), 예술(d=.916), 실과(d=.827), E-PBL(d=.791), 중학교(d=.972)에서 더 높았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 신장을 위하여, PBL 학습 환경을 유의미하게 조성할 필요가 있었다. PBL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학습 환경 변화에 따른 학생들의 고차원적인 문제해결능력을 신장하는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되기를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examining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strategies(PBL) on problem solving skill conducted in Korea, using meta-analysis technique. This meta-analysis reviewed the results of 41 studies published between 1998 and 2017 in Korea. The overall weighted mean effec...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셋째, 연구대상은 초·중·고등학생으로 한다. 이 연구는 미래 사회 변화에 따른 교수방법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따라서 유치원과 대학생 대상의 연구는 제외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PBL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국내의 모든 문헌을 수집하였다. 그러나 출판되지 않은 문헌의 자료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 이 연구에서는 PBL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일반화된 결론을 도출하고,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조절변인을 발견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1998년부터 2017년까지 발행된 PBL의 문제해결능력의 효과를 양적으로 검증한 총 41편의 문헌을 수집하여, 총 41개의 개별 효과 크기를 산출한 후 평균 효과 크기를 계산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PBL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41편의 연구물을 분석하여 평균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된 연구물에 대한 기술 통계량은 Table 1과 같다.
  • 따라서 PBL의 문제해결능력 효과를 검증한 개별 연구물을 종합 및 분석하여, PBL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에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는지, 어떠한 상황과 맥락에서 보다 효과가 높은지를 종합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PBL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개별 연구물들의 연구결과를 종합 분석함으로써, PBL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일반화된 결론을 도출하고, PBL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조절변인을 발견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즉 출판 편의 문제와 책상 서랍의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안정성 계수를 산출하여 해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Hattie가 제안한 프로그램 자체 효과의 기준점 .
  • 후속 연구에서는 PBL의 문제해결능력의 효과를 검증한 국내외 문헌을 종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PBL의 효과로서 문제해결능력을 살펴보았다. PBL의 학습효과가 문제해결능력 뿐만 아니라 창의성, 대인관계능력, 자아개념 등과 같은 변인에서 어느 정도 있는 효과가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가설 설정

  • 1. PBL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크기는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BL이란 무엇인가? 최근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은 미래사회의 불확실성과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교수방법으로 더욱 주목받고 있다[2,3]. PBL은 실생활과 유사한 비구조화된 문제를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문제해결능력, 간학문적 지식 및 기능을 습득하는 데 효과적인교수-학습 방법이다[4]. 학생들은 개방형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지식 획득, 협력학습, 자기주도적인 개별 학습, 의사소통활동 등에 참여함으로써,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는 추론과 성찰을 배우게 된다[5].
문제중심학습의 장점은 무엇인가? PBL은 실생활과 유사한 비구조화된 문제를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문제해결능력, 간학문적 지식 및 기능을 습득하는 데 효과적인교수-학습 방법이다[4]. 학생들은 개방형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지식 획득, 협력학습, 자기주도적인 개별 학습, 의사소통활동 등에 참여함으로써,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는 추론과 성찰을 배우게 된다[5]. PBL은 교과에서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실제 문제 상활을 해결하는 경험을 제공한다.
메타분석은 어떠한 연구방법인가? 학생참여형 교수방법이 강조됨에 따라, 이들 교수방법에 대한 메타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메타분석은 일련의 선행 연구결과들을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특정 현상에 대한 종합적인 결론, 즉 프로그램의 실질적인 효과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연구방법이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 H. Im. (2012). An Idea on the future school.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0(4), 459-476. 

  2. B. J. Kim. (2015).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in University Business English Clas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2), 91-103. DOI : 10.14400/JDC.2015.13.2.91 

  3. O. H. Cho1 & K. H. Hwang. (2019).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with Problem-based Learning on Information Litera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4), 239-247. DOI : 10.14400/JDC.2019.17.4.239 

  4. R. Delisle. (1997). How to us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lassroom. Alexandria, VA: ASCD. 

  5. I. A. Kang. (1998). Problem based learning: Constructive teaching method.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2, 153-179. 

  6. S. S. Oh. (2002). Meta-analysis: Theory and practice. Konkuk University Press. 

  7. I. S. Park. (2009).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 meta-analysis.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2(1), 73-101. DOI : 10.29221/jce.2009.12.1.73 

  8. D. H. Yoo & J. Y. Choi. (2013). A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project metho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9(2), 23-48. http://dx.doi.org/10.17055/jpaer.2013.19.2.23 

  9. I. S. Park. (2012).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discussion/debate teaching method.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5(3), 153-178. DOI : 10.29221/jce.2012.15.3.153 

  10. J. Y. Park & A. J. Woo. (2017). A meta-analysis on the learning effects in problem based learning(PBL).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1), 69-93. DOI : 10.22251/jlcci.2017.17.11.69 

  11. H. S. Barrows. (1996). Problem based learning in medicine and beyond: A brief overview.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12. D. R. Woods. (1994). Problem-based learning: How to gain the most from PBL.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13. Y. S. Jo & M. J. Lee. (2017). Theory & Practice of PBL: Form problem development to classroom application. Hakjisa. 

  14. A. K. Kim. (1996). The effects of metacognition training on children's attributional style, self-efficacy and ability of solving mathematical problem.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Jeon-buk. 

  15. O. S. Lee & S. W. Lee. (2006). A study on the designing of PBL instruction model and the effect of its application on living technology of practical art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9(1), 143-158. 

  16. J. P. Guilford. (1967).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NY: McGraw-Hill Book Co. 

  17. B. G. Davis. (2009). Tools for teaching (2nd ed.). San Francisco, CA, US: Jossey-Bass. 

  18. K. C. Hong. (2008).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9(3), 79-110. 

  19. H. Hedges & I. Olkin. (1985).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Orlando, FL: Academic Press. 

  20. S. D. Hwang. (2014). Meta analysis. Hakjisa. 

  21. R. Rosenthal. (1979). The "File Drawer Problem" and tolerance for null results. Psychological Bulletin, 86, 638-641. DOI : 10.1037//0033-2909.86.3.638 

  22. R. G. Orwin. (1983). A fail-safe N for effect size. Journal of Educational Statistics, 8, 157-159. DOI : 10.2307/1164923 

  23. J. Hattie. (2009). Visible learning: A synthesis of meta-analyses relating to achievement. Routledge. 

  24. M. B. Miles & A. M. Huberman.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2nd ed.).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25. N. R. Kim. (2012). The effect of CPS based PBL model on secondary informatics gifted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potential. Masters dissertation. KNUE University, Chung-Buk. 

  26. S. L. Finkle & L. L. Torp. (1995). Introductory documents. Illinois Math and Science Academy. Aurora, Illinois. 

  27. J. R. Savery. (2006). Overview of problem-based learning: Definitions and distinctions.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Problem-Based Learning, 1(1), 9-20. DOI : 10.7771/1541-5015.1002 

  28. S. Pedersen & M. Liu. (2002). The transfer of problem-solving skills from a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the effect of modeling an expert's cognitive processes.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35(2), 303-320. DOI : 10.1080/15391523.2002.10782388 

  29. G. P. Wiggins & J. McTighe. (2005). Understanding by design(2nd ed.). Alexandria, VA: ASCD. 

  30. I. S. Park. (2018). Design of elementary moral unit based on backward desig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9), 863-885. DOI : 10.22251/jlcci.2018.18.9.863 

  31. H. J. Kim, S. D. Kim & S. K. Lee. (2009). The effect of e-PBL in the earth science class of the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2(1), 23-32. 

  32. K. Illeris. (2009). Contemporary theories of learning: Learning theorists: In their own words(ed.). Routledg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