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기의 어휘력과 신체적 공격성 간의 상호 영향: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한 종단연구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Vocabulary Ability and Physical Aggression: A Longitudinal Study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5 no.5, 2019년, pp.23 - 45  

한세영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주지영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vocabulary ability and physical aggression in young children. Methods: Two waves of panel data(2013/2015)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were analyzed in this study by using...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높은 교육수준은 자녀와의 긍정적 접촉 추구를 높여 자녀의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송영화, 2011), 자녀의 언어 능력 향상(김연수, 곽금주, 2010)과 낮은 수준의 외현화 문제행동(이수향, 김수진, 홍경훈, 2018)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 유아의 내적요인인 성과 가정환경변인인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육수준을 연구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통제변인으로 투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만 5세와 만 7세 사이의 2년 간격에서 측정된 유아의 어휘력과 신체적 공격성 간의 종단적 상호교류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23.
  • 본 연구는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해 만 5세와 만 7세를 대상으로 종단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유아기 어휘력(수용어휘/표현어휘)과 신체적 공격성 간의 종단적 변화 추이와 상호 인과관계를 파악하였다는 특징을 갖는다. 본 연구 결과를 해석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측정모형에서 확보된 측정동일성 모형을 기반으로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자기회귀계수 및 교차지연계수가 동일한지를 검증하고 유아의 어휘력과 신체적 공격성의 상호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먼저 유아의 수용어휘 발달과 신체적 공격성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데이터에 적용시킨 결과 양호한 수준의 적합성을 나타냈다(NFI = .
  • 본 연구에서는 모형의 적합도를 판단하기 위해 χ2 값과 절대적합지수인 RMSEA와 증분적합지수인 NFI, TLI, CFI를 확인하였다.
  • 각 문항별로 유아의 응답이 맞으면 1점, 틀리면 0점으로 채점되고, 총점이 높을수록 어휘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령 집단별로 수용어휘능력과 표현어휘능력 점수를 산출한 백분위 점수를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수용/표현어휘력 검사의 신뢰도 Cronbach’s α 계수는 .
  • 후속연구에서는 유아의 공격성에 대한 교사 평정을 통하여, 각각 다른 환경에서의 공격성을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유아의 어휘력과 신체적 공격성과의 관계에서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배제하고자, 유아의 성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교육수준만을 통제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언어발달과 긍정적 관련을 갖고 있는 유아의 인지능력, 기질과 어머니의 언어능력을 통제함으로써, 보다 명확히 이들의 관계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 , 1999) 서로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으므로 장기적인 측면에서 이들의 안정성과 상호적 영향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언어발달과 공격성의 발달에 있어 만 5세와 7세 두 시점에 걸친 안정성을 살펴보고, 언어발달과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각 변인이 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 그러나 언어 발달과 공격성과의 관계를 살펴본 대부분의 경험적 연구는 언어 능력이 공격성을 예측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검증해 온 경향이 있다(박이심, 2003; 안순조, 2002; Achenbach & Edelbrock, 1983).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언어발달과 공격성의 상호 영향 관계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 부모의 우울과 자녀의 신체적 공격성 간의 종단적 상호교류관계를 살펴본 연구(김동하, 2016)에서도 신체적 공격성은 부모의 우울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초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는 경향이 더 크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처럼 유아의 어휘력과 신체적 공격성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안정적 특성과 앞서 살펴본 어휘력과 신체적 공격성 간의 상호교류관계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유아기 어휘력과 신체적 공격성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안정성과 상호교류관계를 자기회귀교차지연 모델을 적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종합하면, 본 연구는 앞서 살펴본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유아의 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교육수준을 통제한 후, 어휘력(수용어휘/표현어휘)과 신체적 공격성 간의 인과관계 방향을 살펴보는데 유용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사용하여 어휘력과 신체적 공격성의 시간의 변화에 따른 양상과 두 변인의 종단적 상호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측정모형에서 확보된 측정동일성 모형을 기반으로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자기회귀계수 및 교차지연계수가 동일한지를 검증하고 유아의 표현어휘 발달과 신체적 공격성의 상호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먼저 유아의 표현어휘 발달과 신체적 공격성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데이터에 적용시킨 결과 양호한 수준의 적합성을 나타냈다(NFI = .
  • 유아에게 있어 언어는 자신의 정서와 감정을 표출하고 통제하는 정서적 도구이며(Piaget, 1954), 타인의 생각과 의도를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의사소통의 수단이 된다(주영희, 1982). 특히, 본 연구에서는 언어능력 중 어휘력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고자 한다. 어휘력은 언어의 뿌리로서 언어발달의 지표가 되고(Nelson, O’Neil, & Asher, 2008), 언어 영역의 다양한 측면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Scarborough, 199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용어휘와 표현어휘의 의미는? 어휘력은 크게 수용어휘와 표현어휘로 구분된다(Jeanne, 2010). 수용어휘는 타인이 말하는 단어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고, 표현어휘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단어나 구문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Werker & Tees, 2005). 수용어휘는 타인의 말을 듣고 그 말에 쓰인 어휘나 구문을 상황에 따라 이해하는 능력으로 생애초기부터 발달하는 반면, 표현어휘는 어휘가 급속도로 발달하는 2세경부터 빠르게 발달한다(Hoff, 2006).
유아가 문제 해결 방편으로 공격성을 나타내는 이유는? 이 접근에서는 언어는 사회적 표현의 주요한 도구이며, 유아가 또래와 원만하게 소통하고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언어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언어를 이해하고 사용할 능력이 부족하면 적절한 사회적 관계를 맺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되어 문제해결의 방편으로 공격성을 나타내게 된다는 것이다. Qi와 Kaiser(2004)는 언어적 기술이 부족하면 사회적 상황에서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되어 공격적 행동이 증가한다고 주장하였고, McConnell과 Odom(1999) 또한 언어능력이 부족한 유아의 경우 다양한 상황에서 좌절되고 위축되는 경우가 많아 공격적 행동을 보일 확률이 높다고 강조하였다.
수용어휘와 표현어휘를 비교 분석한 내용은 무엇인가? 수용어휘는 타인이 말하는 단어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고, 표현어휘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단어나 구문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Werker & Tees, 2005). 수용어휘는 타인의 말을 듣고 그 말에 쓰인 어휘나 구문을 상황에 따라 이해하는 능력으로 생애초기부터 발달하는 반면, 표현어휘는 어휘가 급속도로 발달하는 2세경부터 빠르게 발달한다(Hoff, 2006). 이는 수용어휘의 경우 소리를 듣고 이해하여 단어에 내포된 의미를 지각할 수 있지만, 표현어휘는 주어진 어휘와 관련된 음운들의 형태와 의미를 목소리로 표출해야 하기 때문에 어린 연령의 경우 표현어휘 발달이 더딘 경향이 있다(고인숙, 2013; Owens, 2005). 특히, 언어 능력이 정교하게 다듬어지는 5세 유아의 경우, 수용 언어영역이 발달하게 되면 단순한 구조의 이야기를 이해하고, 문법적 기능을 이해하고, 타인의 입장을 고려하는 대화가 가능해진다(김영태,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5)

  1. 고인숙 (2013). 만 2세 유아의 언어발달이 또래유능성 및 교사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동하 (2016). 빈곤가구와 비빈곤 가구의 청소년 공격성 발달궤적 잠재계층 비교: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하여. 보건사회연구, 36(1), 89-117. doi:10.15709/hswr.2016.36.1.89 

  3. 김둘아 (2008). 유아의 언어능력, 자아개념 및 공격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수진, 이수향, 홍경훈 (2017). 말늦은 아동의 말소리 발달 종단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9(4), 115-122. doi:10.13064/KSSS.2017.9.4.115 

  5. 김애화, 유현실, 황민아, 김의정, 고성룡 (2010). 초등학생의 읽기이해 능력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15(3), 357-380. 

  6. 김연수, 곽금주 (2010). 영아기 어머니의 언어적 반응성 및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 소통능력과 아동 초기 언어능력 간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7(1), 191-207. 

  7. 김영태 (2003).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서울: 학지사. 

  8. 김영태, 홍경훈, 김경희 (2009). 수용,표현어휘력 검사(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의 개발연구: 문항개발 및 신뢰도 분석을 중심으로.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14(1), 34-45. 

  9. 김은주, 홍세희, 김주환 (2006). 자기결정성이 내재동기를 매개로 학업성취도 및 협동학습 선호도와 경쟁학습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44(4), 271-300. 

  10. 김지현, 박경자 (2009). 아동의 성과 공격성 유형에 따른 사회정보처리과정: 해석단계와 반응결정단계를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7(1), 105-113. 

  11. 박낭자, 조인숙 (2001). 유아의 구어발달에 관한 연구: 표현언어와 문장이해력, 어휘력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27, 189-207. 

  12. 박영희, 김신곤 (2017).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언어능력 간의 관계: 또래 놀이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21(5), 219-238. 

  13. 박이심 (2003). 대리양육자 교체 수에 따른 취업모 자녀의 언어발달 및 공격성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서희선, 이승환 (1999). 2-5세 정상 아동의 연결어미 발달.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4, 1-19. 

  15. 송영화 (2011). 가정형태 및 어머니 관련변인이 애착행동 및 영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심리행동연구, 3(1), 81-93. 

  16. 신유림 (2008). 유아기의 신체적 및 관계적 공격성: 성차 및 언어, 사회적 능력과의 관련성. 유아교육연구, 28(2), 95-111. doi:10.18023/kjece.2008.28.2.005 

  17. 안순조 (2002). 유아의 격리불안과 공격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지각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오경자, 김영아 (2010). ASEBA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매뉴얼. 서울: (주) 휴노컨설팅. 

  19. 오경자, 김영아 (2009). CBCL 1.5-5 유아행동평가척도부모용. 서울: (주) 휴노컨설팅. 

  20. 윤혜련, 김영태 (2004). 성별에 따른 영유아 언어발달의 특성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9(1), 30-44. 

  21. 이기숙, 김순환, 김민정 (2011). 유아기의 기본적인 언어능력이 초등학교 1학년 국어학력과 어휘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5), 299-322. doi:10.18023/kjece.2011.31.5.013 

  22. 이은주, 정익중 (2012). 청소년기 일탈적 자아개념의 예측요인과 성별차이: 잠재상태-특성 자기회귀모델(latent state-trait autoregressive model)의 적용. 사회복지연구, 43(1), 5-29. doi:10.16999/kasws.2012.43.1.5 

  23. 이수향, 김수진, 홍경훈 (2018). 말늦은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 종단연구. 언어치료 연구, 27(1), 155-163. doi:10.15724/jslhd.2018.27.1.012 

  24. 정진나 (2019). 5세 언어능력과 7세 외현화 문제행동의 관계: 성별 차이 및 자기통제의 종단적 매개효과 검증. 아동학회지, 40(3), 27-38. 

  25. 조복희, 이진숙, 이홍숙, 권희경 (1999). 한국 부모의 자녀 양육방식에서 의 차원과 평가.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7(10), 123-133. 

  26. 주영희 (1982). 유아교육프로그램을 위한 언어 및 사고능력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지성애, 김성현 (2014). 유아의 행동문제와 인지능력 및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분석. 유아교육연구, 34(3), 197-219. doi:10.18023/kjece.2014.34.3.010 

  28. 황혜신, 황혜정 (2001). 유아의 인지능력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9(3), 25-34. 

  29. 홍혜정 (2017). 아동의 언어발달 특성과 공격성 및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만2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2(3), 17-32. 

  30. Achenbach, T. M., & Edelbrock, C. S. (1983).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behavior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31. Achenbach, T. M., & Rescorla, L. A. (2001). Manual for the ASEBA school-age forms and profiles.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32. Achenbach, T. M., & Rescorla, L. A. (2000). Manual for the ASEBA preschool forms & profiles; An integrated system of multi-informant assessment;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1/2-5; Language development survey; Caregiver-teacher report form.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33. Barnett, M. A., Gustafsson, H., Deng, M., Mills-Koonce, W. R., & Cox, M. (2012). Bidirectional associations among sensitivity parenting, language development, and social competence.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21(4), 374-393. doi: 10.1002/icd.1750 

  34. Baron-Cohen, S. (2008).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The facts.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35. Bates, E., & Snyder, L. (1987). The cognitive hypothesis in language development. In I. C. Uzgiris & J. M. Hunt (Eds.), Infant performance and experience: New findings with the ordinal scales (pp.168-204). Champaign, IL: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36. Bornstein, M. H., Hahn, C. S., & Suwalsky, J. T. D. (2013). Language an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al adjustment: Developmental pathways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5(3), 857-878. doi:10.1017/S0954579413000217 

  37. Breedlove, S. M., & Watson, N. V. (2013). Biological psychology: An introduction to behavioral. Cognitive and clinical neuroscience(7th Edition). Sunderland, MA: Sinauer. 

  38. Bronfenbrenner, U. (1986). Ecology of the family as a context for human developm ent: Research perspectives. Developmental Psychology, 22(6), 723-742. doi:10.1037/0012-1649.22.6.723 

  39. Brownlie, E. B., Beitchman, J. H., Escobar, M., Young, A., Atkinson, L., & Johnson, C. et al. (2004). Early language impairment and young adult delinquent and aggressive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2(4), 453-467. doi:10.1023/B:JACP.0000030297.91759.74 

  40. Bub, K. L., McCartney, K., & Willett, J. B. (2007). Behavior problem trajectories and first-grade cognitive ability and achievement skills: A latent growth curve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9(3), 653-670. doi:10.1037/0022-0663.99.3.653 

  41. Campbell, S. B., Spieker, S., Burchinal, M., & Poe, M. D. (2006). Trajectories of aggression from toddlerhood to age 9 predict academic and social functioning through age 12.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7(8), 791-800. doi:10.1111/j.1469-7610.2006.01636.x 

  42. Chomsky, N. (1980). On Binding. Linguistic Inquiry, 11(1), 1-46. 

  43. Cole, K. N., Dale, P. S., & Mills, P. E. (1992). Stability of the intelligence quotient-language quotient relation: is discrepancy modeling based on a myth? American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97(2), 131-143. 

  44. Cooney, K., & Hay, I. (2005). Internet-based literacy development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Literacy Learning: The Middle Years, 13(1), 36-44. 

  45. Di Giunta, L., Pastorelli, C., Eisenberg, N., Gerbino, M., Castellani, V., & Bombi, A. S. (2010).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physical aggression: prediction of overt and covert antisocial behaviors from self- and mothers' reports. European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19(2), 873-882. doi:10.1007/s00787-010-0134-4. 

  46. Dionne, G., Tremblay, R., Boivin, M., Laplante, D., & Perusse, D. (2003) Physical aggression and expressive vocabulary in 19-month-old twins. Developmental Psychology, 39(2), 261-273. doi:10.1037/0012-1649.39.2.261 

  47. Dodge, K. A., Pettit, G. S., McClaskey, C. L., Brown, M. M., & Gottman, J. M. (1986).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1(2), 1-85. doi: 10.2307/1165906 

  48. Dunn, L. M., & Dunn, L. M. (1997).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Third Edition. Circle Pines, MN: American Guildance Service. 

  49. Estrem, T. L. (2005). Relational and physical aggression among preschoolers: The effect of language skills and gender.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6(2), 207-232. doi:10.1207/s15566935eed1602_6 

  50. Feshbach, S. (1970). Aggression. In P. H. Mussen (Ed.), Carmichael's manual of child psychology (pp. 159-259). New York: Wiley. 

  51. Frodi, A., Macaulay, J., & Thome, P. R. (1977). Are women always less aggressive than men? A review of the experimental literature. Psychological Bulletin, 84(4), 634-660. doi:10.1037/0033-2909.84.4.634 

  52. Fujiki, M., Brinton, B., Morgan, M., & Hart, C. H. (1999). Withdrawn and sociable behavior of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30(2), 183-195. doi:10.1044/0161-1461.3002.183 

  53. Geiser, C., & Lockhart, G. (2012). A comparison of four approaches to account for method effects in latent state-trait analyses. Psychological Methods, 17(2), 255-283. doi:10.1037/a0026977 

  54. Girard, L. C., Pingault, J. B., Falissard, B., Boivin, M., Dionne, G., & Tremblay, R. E. (2014). Physical aggression and language ability from 17 to 72 months: Cross­lagged effects in a population sample. PloSOne, 9(11), e112185. doi:10.1371/journal.pone.0112185 

  55. Guralnick, M. J., Connor, R. T., Hammond, M. A., Gottman, J. M., & Kinnish, K. (1996). Immediate effects of mainstreamed settings on the social interactions and social integration of preschool children.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100(4), 359-377. 

  56. Hall, P. K., & Tomblin, J. B. (1978). A follow-up study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language disord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3(2), 227-241. doi:10.1044/jshd.4302.227 

  57. Hart, B., & Risley, T. R. (1992). American parenting of language-learning children: Persisting differences in family-child interactions observed in natural home environments. Developmental Psychology, 28(6), 1096-1105. doi:10.1037/0012-1649.28.6.1096 

  58. Hoff, E. (2006). How social contexts support and shape language development. Developmental Review, 26(1), 55-88. doi:10.1016/j.dr.2005.11.002 

  59. Hoff-Ginsberg, E. (1998). The relation of birth order and socioeconomic status to children's language experience and language development. Applied Psycholinguistics, 19(4), 603-629. doi:10.1017/S0142716400010389 

  60. Qi, C. H., & Kaiser, A. P. (2004). Problem behaviors of low-income children with language delays: An observation stud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7(3), 595-609. doi:10.1044/1092-4388(2004/046) 

  61. Huesmann, L. R., & Eron, L. D. (1984). Cognitive processes and the persistence of aggressive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10(3), 243-251. doi:10.1002/1098-2337(1984)10:3 3E3.0.CO;2-6 

  62. Jeanne, M. M. (2010). Early childhood experiences in language arts: Early literacy (9th ed.). Belmont, CA: Wadsworth. 

  63. Johnson, C. J., Beitchman, J. H., Young, A., Escobar, M., Atkinson, L., & Wilson, B. et al. (1999). Fourteen-year follow-up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ech/language impairments: Speech/language stability and outcom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3), 744-760. doi:10.1044/jslhr.4203.744 

  64. Kinderman, P., Read, J., Moncrieff, J., & Bentall, R. P. (2013). Drop the language of disorder. Evidence-based Mental Health, 16(1), 2-3. doi:10.1136/eb-2012-100987 

  65. Kovas, Y., Hayiou-Thomas, M. E., Oliver, B., Dale, P. S., Bishop, D. V. M., & Plomin, R. (2005). Genetic influences in different aspects of language development: The etiology of language skills in 4.5 year-old twins. Child Development, 76(3), 632-651. doi:10.1111/j.1467-8624.2005.00868.x 

  66. Kupersmidt, J. B., & Patterson, C. J. (1991). Childhood peer rejection, aggression, withdrawal, and perceived competence as predictors of self-reported behavior problems in preadolescenc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9(4), 427-449. doi:10.1007/BF00919087 

  67. Leung, C., Lo, S. K., & Leung, S. S. L. (2012). Validation of a questionnaire on behaviour academic competence among Chinese preschool children.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3(5), 1581-1593. doi:10.1016/j.ridd.2012.03.024 

  68. Lochman, J. E., Lampron, L. B., & Rabiner, D. L. (1989). Format differences and salience effects in the social problem-solving assessment of aggressive and nonaggressive boy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3), 230-236. doi:10.1207/s15374424jccp1803_5 

  69. McConnell, S. R., & Odom, S. L. (1999). Performance-based assessment of social competence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Development and initial evaluation of a multi-measure model.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9(2), 67-74. 

  70. McKee, L., Roland, E., Coffelt, N., Olson, A. L., Forehand, R., & Massari, C. et al. (2007). Harsh discipline and child problem behaviors: The roles of positive parenting and gender. Journal of Family Violence, 22(4), 187-196. doi:10.1007/s10896-007-9070-6 

  71. Nelson, D. G. K., O'Neil, K. A., & Asher, Y. M. (2008). A mutually facilitativ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names and learning concepts in preschool children: The case of artifacts. Journal of Cognition and Development, 9(2), 171-193. doi:10.1080/15248370802022621 

  72. Owens, R. E. (2005). Language development: An introduction. Boston: Pearson Allyn & Bacon. 

  73. Park, J. H., Essex, M. J., Zahn-Waxler, C., Armstrong, J. M., Klein, M. H., & Goldsmith, H. H. (2005).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in middle childhood: Early child and family risk factor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6(2), 233-258. doi:10.1080/10409289.2005.10472869 

  74. Penfield, W., & Roberts, L. (1959). Speech and brain-mechanism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75. Pesonen, A. K., Raikkonen, K., Paavonen, E. J., Heinonen, K., Komsi, N., & Lahti, J. et al. (2009). Sleep Duration and regularity are associated with behavioral problems in 8-year-old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17(4), 298-305. doi:10.1007/s12529-009-9065-1 

  76. Piaget, J. (1954). The construction of reality in the child. New York: Basic Books. 

  77. Posner, M. I., & Rothbart, M. K. (2000). Developing mechanisms of self-regulatio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2(3), 427-441. doi:10.1017/S0954579400003096 

  78. Pungello, E. P., Iruka, I. U., Dotterer, A. M., Mills-Koonce, R., & Reznick, J. S. (2009).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race, and parenting on languag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Developmental Psychology, 45(2), 544-557. doi:10.1037/a0013917 

  79. Ribeiro, L. A., Zachrisson, H. D., Schjolberg, S., Aase, H., Rohrer-Baumgartner, N., & Magnus, P. (2011). Attention problems and language development in preterm low-birth-weight children: Cross-lagged relations from 18 to 36 months. BMC Pediatrics, 11(1), 59. doi:10.1186/1471-2431-11-59 

  80. Scarborough, H. S. (1998). Early identification of children at risk for reading disabilities: Phonological awareness and some other promising predictors. In B. K. Shapiro, P. J. Accardo, & A. J. Capute (Eds.), Specific reading disability: A view of the spectrum (pp. 75-119). Timonium, MD: York Press. 

  81. Schoemaker, K., Mulder, H., Dekovic, M., & Matthys, W. (2013). Executive functions in preschool children with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 meta-analysi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41(3), 457-471. doi:10.1007/s10802-012-9684-x 

  82. Serketich, W. J., & Dumas, J. E. (1996). The effectiveness of behavioral parent training to modify antisocial behavior in children: A meta-analysis. Behavior Therapy, 27(2), 171-186. doi:10.1016/S0005-7894(96)80013-X 

  83. Tremblay, R. E., Gervais, J., & Petitclerc, A. (2008). Early childhood learning prevents youth violence. Montreal, QC: Centre of Excellence for Early Childhood Development. 

  84. Tremblay, R. E., Nagin, D. S., Seguin, J. R., Zoccolillo, M., Zelazo, P. D., & Boivin, M., et al. (2004). Physical aggression during early childhood: Trajectories and predictors. Pediatrics, 114(1), e43-e50. doi:10.1542/peds.114.1.e43 

  85. Werker, J. F., & Tees, R. C. (2005). Speech perception as a window for understanding plasticity and commitment in language systems of the brain. Development Psychobiology, 46(3), 233-251. doi:10.1002/dev.2006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