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 구강건강정보 이용에 대한 환자와 치과위생사의 인식비교
Perceptual differences in internet oral health information use between dental hygienists and patient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9 no.5, 2019년, pp.825 - 834  

김선영 (광주여자대학교 치위생학과) ,  이보람 (광주여자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perceptual differences in internet oral health information use between ordinary people who underwent dental treatments and dental hygienists. Second, the study aimed to analyze related issues, and, third, to find a developmental direction to provide funda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인터넷을 통한 구강건강에 관련한 정보의 습득에서 환자 인식과 치과위생사의 객관적 인식차이를 확인하고, 또한 상대의 관점에서 인식 차이의 추정과 그 추정된 인식이 얼마나 정확한지를 알아봄으로써 긍정적인 부분과 부정적인 부분의 확인과 정보의 신뢰성과 전문성에 근거한 인터넷 구강건강정보의 보급과 활용 및 상호인식비교를 위한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상호지향성 모델을 이용하여 치과 진료를 경험한 일반인과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인터넷 구강건강정보 이용에 대한 환자와 치과위생사의 상호인식을 파악하고 발전 방향 모색을 통한 환자 맞춤형 웹사이트 발전 및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치과서비스 향상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건강관리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구강건강관리는 단순한 정보의 습득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으며, 일상적인 구강관리의 의지를 통한 수기의 실천이 반드시 필요할 뿐만 아니라 치과위생사의 지속적인 지도관리 및 교육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에 인터넷구강건강정보의 활용 및 접근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구강보건전문 인적자원인 치과위생사가 그 역할의 중심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환자가 구강건강관리에 적용하기 위해 습득한 구강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에 대한 조언 및 교육도 치과위생사의 예방 및 환자교육업무에 관련 있으며, 인터넷 구강건강정보에 관련한 다각적인 연구접근과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 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상호지향성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어떠했는가? 1. 객관적 일치도를 분석한 결과, 인터넷 구강건강정보 이용에 대한 상호인식은 치과위생사와 환자는 비슷한 결과였다. 2. 주관적 일치도에서 인터넷 구강건강정보 이용에 대하여 치과위생사 자신의 인식보다 환자의 인식을 과대 추정하였고, 환자들은 치과위생사의 인식을 과소 추정하였다. 3. 정확도에서는 치과위생사와 환자간의 인터넷 구강건강정보 이용에 대한 상호인식은 일치하지 않아 정확도는 다소 낮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Poushter J, Stewart R. Smartphone ownership and internet usage continues to climb in emerging economies but advanced economies still have higher rates of technology use. Washington, DC USA: Pewresearchcenter; 2016: 1-45. 

  2. Kim SY, Kim YJ. Evaluation of dental web site usability in Korea. J Korean Soc Dent Hyg 2016;16(2):241-8.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2.241 

  3. Jacob J. Consumer access to health care information: its effect on the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 Alaska Med 2002;44(4):75-82. 

  4. Biermann JS, Golladay GJ, Peterson RN. Using the internet to enhance physicianpatient communication. J Am Acad Orthop Surg 2006;14(3):136-44. 

  5. Kim SY, Kim NS. A study on quality assessment of dental office websites. J Korean Soc Dent Hyg 2012;12(5):963-71. 

  6. Jang JY. Correlation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oral health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J KoCon A 2019;19(3):357-64. https://doi.org/10.5392/JKCA.2019.19.03.357 

  7. Baek SH, Kim JH. A convergence study on association of internet use time with perceived status in adolescents. J Korea Conv Soc 2018;9(11):153-9. https://doi.org/10.15207/JKCS.2018.9.11.153 

  8. Lee KH.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symptoms and internet use among Korean adolescents -based on Korea Youth Heath Behavior Online Survey in 2015. J Korean Soc Dent Hyg 2018;18(4):597-605. https://doi.org/10.13065/jksdh.20180046 

  9. Kim MJ, Yang HJ. Research on internet counselling for oral health. Korean J Heal Serv Manag 2013;7(3):251-60. https://doi.org/10.12811/kshsm.2013.7.3.251 

  10. Kim SY, Kim YJ, Moon SE. Comparison of dental information websites in some nations. J Korean Soc Dent Hyg 2014;14(2):261-7.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2.261 

  11. Chaffee SH, Mcleod JM. Sensitization in panel design: A coorientational experiment. Journal Mass Commun Q 1968;45:661-9. https://doi.org/10.1177/107769906804500406 

  12. Kim BC, Choi MI, Jang JY. Perceptual differences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use between physicians and patients: Empirical test of coorientation model. J Adver 2012;23(5):63-84. 

  13. Kim JE, Kim SW, Shin YJ. Survey on the physicians views of the effects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on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J Cybercommun Acad Soc 2007;21:279-3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