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스마트 학습관리시스템 수용에 대한 연구 - 블랙보드 도입과 활용 -
College student adoption of smart learning management system - Implementing Blackboard learn -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7 no.5, 2019년, pp.512 - 523  

이규혜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김지연 (한국패션유통정보연구원 전략기획팀) ,  서현진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temporary University students are considered the Z generation who were born after 1995. They are more tech savvy than millennials. To target the generation, traditional class management platforms have evolved to smart LMS that is more customized and accessible for smart devices. Global level in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스마트 학습관리 시스템인 블랙보드가 새로이 도입되는 시점에 학습자의 관점에서 어떠한 인지적 과정과 평가를 통하여 이를 수용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테크놀로지 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스마트 학습관리시스템인 블랙보드의 최초 도입 학기에 학습자의 시스템 수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블랙보드 도입 이전에 학생들이 사용해왔던 기존 온라인 학습지원시스템을 사용해본 경험의 수준과, 블랙보드 도입 이후 여러 기능에 대한 사용경험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블랙보드 도입 이전에 학생들이 사용해왔던 기존 온라인 학습지원시스템을 사용해본 경험의 수준과, 블랙보드 도입 이후 여러 기능에 대한 사용경험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탐색적인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통해 학습자의 사용 후기를 분석하여 시스템의 활용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보고자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 학습환경에서 스마트 학습관리시스템인 블랙보드가 도입된 최초 학기에 학습자들의 수용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접근하여 보았다. 한 학기 동안 블랙보드를 사용해본 후 온라인 설문과 사용 후기를 통하여 실증적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스마트 학습관리 시스템인 블랙보드가 새로이 도입되는 시점에 학습자의 관점에서 어떠한 인지적 과정과 평가를 통하여 이를 수용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테크놀로지 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스마트 학습관리시스템인 블랙보드의 최초 도입 학기에 학습자의 시스템 수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학습관리시스템의 전격적인 도입환경에서 1986년 Davis에 의해 개발된 테크놀로지 수용모델의 여러 요소를 접목하고자 한다. 이에 따르면 이용자의 정보기술 수용 및 사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특정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자신에게 이익이 발생할 것이라고 믿는 정도를 의미하는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과 특정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이 자신에게 쉽다고 믿는 정도를 의미하는 지각된 편리성(perceived ease of use)이라는 두 가지 신념 요인이다.
  • 더불어 테크놀로지 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스마트 학습관리시스템인 블랙보드의 최초 도입 학기에 학습자의 시스템 수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블랙보드 도입 이전에 학생들이 사용해왔던 기존 온라인 학습지원시스템을 사용해본 경험의 수준과, 블랙보드 도입 이후 여러 기능에 대한 사용경험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탐색적인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통해 학습자의 사용 후기를 분석하여 시스템의 활용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보고자한다.
  • 연구문제 2. 스마트 학습관리도구 도입 후 각 콘텐츠 사용경험이 지각된 유용성과 편리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본다.
  • 연구문제 1. 스마트 학습관리도구(Blackboard learn) 도입 전 학습자의 기존 시스템 사용경험이 블랙보드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가설 설정

  • H4-1. 블랙보드 사용의도는 블랙보드 사용빈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2. 블랙보드 사용의도는 성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블랙보드에 대한 태도는 블랙보드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3. 블랙보드의 지각된 유용성은 블랙보드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1. 블랙보드의 지각된 유용성은 블랙보드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 블랙보드의 지각된 편리성은 블랙보드 사용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2. 블랙보드의 지각된 편리성은 블랙보드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l-Busaidi, K. A., & Al-Shihi, H. (2010). Instructors' acceptance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s: A theoretical framework. Communications of the IBIMA, 2010(2010), 1-10. 

  2. Beatty, B., & Ulasewicz, C. (2006). Faculty perspectives on moving from blackboard to the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TechTrends, 50(4), 36-45. 

  3. Chin, W. W. (1998). Issues and opinion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IS Quarterly, 22(1), 7-16. 

  4. Cigdem, H., & Topcu, A. (2015). Predictors of instructor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 Turkish vocational college exampl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2, 22-28. doi:10.1016/j.chb.2015.05.049 

  5.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nd the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8-339. doi:10.2307/249008 

  6. Davis, F. D., Bagozzi, R. P., & Warshaw, P. R. (1989).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35(8), 982-1003. doi:10.1287/mnsc.35.8.982 

  7. Findik-Coskuncay, D., Alkis, N., & Ozkan-Yildirim, S. (2018). A structural model for students' adoption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s: An empirical investigation in the higher education context.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21(2), 13-27. 

  8. Gamble, C. (2018). Exploring EFL university students' acceptance of e-learning using TAM. Kwansei Gakuin University Humanities Review, 22, 23-37. 

  9.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 Anderson, R. E. (2010). Multivariate data analysis: A global perspective. NJ: Prentice Hall. 

  10. Hanif, A., Jamal, F. Q., & Imran, M. (2018). Extend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use of e-learning systems by digital learners. IEEE Access, 6, 73395-73404. doi:10.1109/ACCESS.2018.2881384 

  11. Hanyang University Blackboard Support Center (2018). Blackboard user manual: For instructors. Seoul: Hanyang University. 

  12. Jordan, M. M., & Duckett, N. D. (2018). Universities confront 'tech disruption': Perceptions of student engagement online using two learning management systems. The Journal of Public and Professional Sociology, 10(1), 1-23. 

  13. Kim, J. S., Yang, H. D., Um, H. M., & Kim, J. K. (2005). Consensus of corporate e-learning system stakeholders regarding the satisfaction of end-users.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5(4), 27-60. 

  14. Kim, J-H., & Do, J-W. (2015). Analysis of blackboard system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universitie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1(3), 27-56. doi:10.24159/joec.2015.21.3.27 

  15. Kim, Y., Lee, J., & Lee, Y. (2016). Analysis of properties of fashion trading areas using network analysis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0(2), 203-220. doi:10.5850/JKSCT.20116.40.2.203 

  16. Lee, H. S., & Im, J. H. (2008). SPSS 14.0 manual: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Paju: Bobmunsa. 

  17. Legris, P., Ingham, J., & Collerette, P. (2003). Why do people use information technology? A critical review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formation and Management, 40, 191-204. doi:10.1016/S0378-7206(01)00143-4 

  18. Marsh, H. W., Balla, J. R., & McDonald, R. P. (1988). Goodness-of-fit indexes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effect of sample size. Psychological Bulletin, 103, 391-411. doi:10.1037/0033-2909.103.3.391 

  19. Mitchell, J. C. (1969). Social networks in urban situations: Analyses of personal relationships in Central African towns. Manchester, UK: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 Scott, R. (2016, November 28). Get ready for generation Z. Retrieved March 1, 2019, from https://www.forbes.com/sites/causeintegration/2016/11/28/get-ready-for-generationz/#7334ba2e2204 

  21. Sezer, B., & Yilmaz, R. (2019).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eptance scale (LMSAS): A validity and reliability study.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5(3), 15-30. doi:10.14742/ajet.3959 

  22. Stoel, L., & Lee, K. H. (2003). Modeling the effect of experience on student acceptance of Web-based courseware. Internet Research, 13(5), 364-374. doi: 10.1108/10662240310501649 

  23. Szajna, B. (1996). Empirical evaluation of the revis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Management Science, 42(1), 85-92. doi:10.1287/mnsc.42.1.85 

  24. Zheng, Y., Wang, J., Doll, W., Deng, X., & Williams, M. (2018). The impact of organisational support, technic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faculty perceived benefits of us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37(4), 311-319. doi:10.1080/0144929X.2018.14365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