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단 간 심층 신경망을 이용한 한국어 문장 자동 띄어쓰기
Automatic Word Spacing of the Korean Sentences by Using End-to-End Deep Neural Network 원문보기

정보처리학회논문지.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8 no.11, 2019년, pp.441 - 448  

이현영 (국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강승식 (국민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의 자동 띄어쓰기 연구는 n-gram 기반의 통계적인 기법을 이용하거나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하여 어절 경계면에 공백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띄어쓰기 오류를 수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심층 신경망을 이용한 종단 간(end-to-end) 한국어 문장 자동 띄어쓰기 시스템을 제안한다. 자동 띄어쓰기 문제를 어절 단위가 아닌 음절 단위 태그 분류 문제로 정의하고 음절 unigram 임베딩과 양방향 LSTM Encoder로 문장 음절간의 양방향 의존 관계 정보를 고정된 길이의 문맥 자질 벡터로 연속적인 벡터 공간에 표현한다. 그리고 새로이 표현한 문맥 자질 벡터를 자동 띄어쓰기 태그(B 또는 I)로 분류한 후 B 태그 앞에 공백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한국어 문장의 자동 띄어쓰기를 수행하였다. 자동 띄어쓰기 태그 분류를 위해 전방향 신경망, 신경망 언어 모델, 그리고 선형 체인 CRF의 세 가지 방법의 분류 망에 따라 세 가지 심층 신경망 모델을 구성하고 종단 간 한국어 자동 띄어쓰기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세 가지 심층 신경망 모델에서 분류 망으로 선형체인 CRF를 이용한 심층 신경망 모델이 더 우수함을 보였다. 학습 및 테스트 말뭉치로는 최근에 구축된 대용량 한국어 원시 말뭉치로 KCC150을 사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vious researches on automatic spacing of Korean sentences has been researched to correct spacing errors by using n-gram based statistical techniques or morpheme analyzer to insert blanks in the word boundary.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nd-to-end automatic word spacing by using deep neural net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부분적 띄어쓰기 오류는 복합명사 분해, 철자교정 등의 2-3 어절에 걸친 띄어쓰기 교정으로 이는 공백을 제거하여 전혀 띄어쓰기가 적용되지 않은 형태로 변환한다. 그리고 음절 사이에 공백을 삽입하여 공백이 존재하지 않는 문장의 띄어쓰기 오류 수정과 같은 방법론을 적용하여 띄어쓰기 오류를 수정할 수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띄어쓰기가 전혀 되어있지 않은 문장을 대상으로 Fig. 1과 같이 심층 신경망을 이용한 한국어 문장의 자동 띄어쓰기 방법을 제안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 S. Shim, "Automatic Word Spacing using Raw Corpus and a Morphological Analyzer," Journal of KIISE, Vol.42, No.1, pp.68-75, 2015. 

  2. K. S. Kim, H. J. Lee, and S. J. Lee, "Three-stage Wordspacing System for Continuous Syllable Sentence in Korea," Journal of KISS(B): Software and Applications, Vol.25, No.12, pp.1838-1844, 1998. 

  3. S. S. Kang, "Eojeol-block Bidirectional Algorithm for Automatic Word Spacing of Hangul Sentences," Journal of KISS : Software and Applications, Vol.27, No.4, pp.441-447, 2000. 

  4. C. K. Lee, "Structural SVM-based Korean Word Spacing using Spacing Information Input by Users," Journal of KIISE: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Vol.20, No.5, pp.301-305, 2014. 

  5. H. S. Hwang and C. K. Lee, "Automatic Korean Word Spacing using Deep Learning," in Korea Computer Congress of KIISE, Jeju, The South Korea, 2016, pp.738-740. 

  6. T. S. Lee and S. S. Kang, "LSTM Based Sequence-tosequence Model for Korean Automatic Word-spacing," Smart Media Journal, Vol.7, No.4, pp.17-23, 2018. 

  7. Heewon Jeon, "KoSpacing: Automatic Korean Word Spacing," GitHub Repository, https://github.com/haven-jeon/PyKoSpacing, http://freesearch.pe.kr/archives/4759, 2018. 

  8. T. Mikolov, I. Sutskever, K. Chen, G. S. Corrado, and J. Dean, "Distributed Representations of Words and Phrases and Their Compositionality," in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Lake Tahoe, the United States, 2013, pp.3111-3119. 

  9. T. Mikolov, K. Chen, G. Corrado, and J. Dean, "Efficient Estimation of Word Representations in Vector Space," arXiv Preprint arXiv:1301.3781, 2013. 

  10. P. Bojanowski, E. Grave, A. Joulin, and T. Mikolov, "Enriching Word Vectors with Subword Information," Transactions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Vol 5, pp.135-146, 2017. 

  11. J. Pennington, R. Socher, and C. Manning, "Glove: Global Vectors for Word Representation," in Proceedings of the 2014 Conference on 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EMNLP), Doha, Qatar, 2014, pp.1532-1543. 

  12. T. Mikolov, M. Karafiat, L. Burget, J. Cernocky and S. Khudanpur, "Recurrent Neural Network Based Language Model," in Eleventh Annu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Makuhari, Chiba, Japan, 2010, pp.1045-1048. 

  13. S. W. Kim, and S. P. Choi, "Research on Joint Models for Korean Word Spacing and POS (Part-Of-Speech) Tagging Based on Bidirectional LSTM-CRF," Journal of KIISE, Vol.45, No.8, pp.792-800, Aug, 2018. 

  14. Z. H. Huang, W. Xu, and K. Yu, "Bidirectional LSTM-CRF Models for Sequence Tagging," arXiv Preprint arXiv: 1508.01991, 2015. 

  15. A. Krizhevsky, I. Sutskever, and G. E. Hinton, "Imagenet Classification with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in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Harrahs and Harveys, Lake Tahoe, the United States, 2012, pp.1097-1105. 

  16. T. Mikolov, S. Kombrink, L. Burget, J. Cernocky, and S. Khudanpur, "Extensions of Recurrent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 in 2011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ICASSP), Prague, Czech Republic, 2011, pp.5528-5531. 

  17. Y. Bengio, R. Ducharme, P. Vincent, and C. Jauvin, "A Neural Probabilistic Language Model,"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Vol 3, pp.1137-1155, 2003. 

  18. M. Sundermeyer, R. Schluter, and H. Ney, "LSTM Neural Networks for Language Modeling," in Thirteenth Annu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Portland, OR, USA, 2012, pp.194-197. 

  19. R. Jozefowicz, O. Vinyals, M. Schuster, N. Shazeer, and Y. Wu, "Exploring the Limits of Language Modeling," arXiv Preprint arXiv:1602.02410,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