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신호체계와 신호수 교육 개선을 통한 양중 작업 중 타워 크레인 사고 저감 대책
Measures to Reduce Tower Crane Accidents During Operation by Improving Signal System and Education for Signalmen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4 no.4, 2019년, pp.68 - 75  

윤동훈 (삼성물산(주) 안전팀) ,  박종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전공학과) ,  기정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tower crane accident emerged as a social issue in 2017, various government measures were prepared. Most of the measures are focused on erecting, climbing, and dismantling phases. Analyzes of 84 serious accidents related to tower cranes from 2000 to 2018 and 104 near misses accidents from 2016...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는 주로 발생되는 양중 작업 시 사고에 대한 예방 대책이 상대적으로 미흡하다5-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타워크레인 양중 작업에서 사고의 비중과 중대 재해 및 Near Miss 사례를 분석하여 신호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라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국내 표준 신호체계, 국내외 신호수 관리제도 비교 및 설문을 통하여 신호수 관련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ear Miss란? 안전보건공단 건설안전용어사전8)에서는 Near Miss 란 손실이 발생하지 않은 사고를 의미하며 재해 사례 보다 많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음으로 사전에 재해를 방지 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싱가포르 WSH9)과 미국 OHSA10)등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국내 건설사에서도 초기 단계이긴 하나 도입 중에 있다.
타워크레인 사고 안전관리 강화대책로 추가된 항목은? 타워크레인에서 발생하는 중대재해를 작업 단계별로 분석한 결과 타워크레인 자재 양중 작업 중 발생하는 재해(42건), 설치⋅해체⋅상승작업 중 발생한 재해(39건) 순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2017년도 타워크레인 사고 안전관리 강화대책으로 노후 크레인 연식제한, 비파괴검사의무화, 작업내용 녹화 등이 추가되었으며 이로인해 2018년 설치⋅해체⋅상승작업 중 발생한 재해는 감소하였지만, 아래와 같은 양중작업 중 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타워크레인 사고의 리스크 정도와 그 이유는? 최근 5년간(2013년∼2017년) 총 26건의 타워크레인 사고가 발생되었으며, 이로 인해 사망자 29명, 부상자 44명이 발생되었다3). 이는 전체 건설 재해 대비 정량적 리스크가 가장 높다고는 할 수 없지만 재해 발생 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되며 미디어 노출이 높고, 사업장 외부의 대중에게 피해를 줄 수 있어 사회적 관심에 의한 “수용 불가능한” 리스크에 해당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ealth and Safety Executive, Reducing Risks, Protecting People, HSE Books, Sudbury, UK, 2001. 

  2. Unified Facilities Criteria Program, DoD Security Engineering Facilities Planning Manual (UFC 4- 020-01), Manual, Department of Defense, Washington, D.C, 2008. 

  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ember of Congress Cheol Ho Hong, State Audit Submission Materials", 2018. 

  4. Government Department of Korea, "Tower Crane Prevention Measures", Conciliation Meeting, pp. 1-11. 2017. 

  5. K. H. Shim and D. H. Rie, "A Quantitative Risk Analysis of Related to Tower Crane Using the FMEA", J. Korean Soc. Saf., Vol. 25, No. 6, pp. 34-39, 2010. 

  6. M. G. Lee and M. L. Ro, "Structural Analysis for the Collapse Accident of Tower Crane", J. Korean Soc. Saf., Vol. 16, No. 4, pp. 147-152, 2001. 

  7. E. J. Lee and S. W. Shin. "Field Survey on Suitable In-service Wind Speed Limit for Tower Crane Operation", J. Korean Soc. Saf., Vol. 33, No. 1, pp. 103-108, 2018. 

  8.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Construction Safety Glossary, 2010. 

  9.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Singapore, Guidance on Near Miss Reporting Final Announcement", Global Newsletter on Safety and Health at Work, No. 410, pp. 1-2. 2016. 

  10. National Safety Council, "Near Miss Reporting Systems", 2013. 

  1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Crane Operation Standard Signal Guidelines",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Notification, pp. 1032-1034, 2001. 

  12.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Check Tower Crane Signaling System", pp. 3-25, 2013. 

  13.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CFR, Part Number 1926 Safety and Health Regulations for Construction, Subpart CC Cranes & Derricks in Construction, Standard Number 1926.1427 Operator Qualification and Certification", 29. 

  14. Britain Great, "The Lifting Operations and Lifting Equipment Regulations", Stationery Office, 1998.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Japan) http://www.mhlw.go.jp 

  16. Tripartite Alliance for Workplace Safety and Health, http://www.wshc.sg 

  17. Construction Workers Mutual Aid Association, "Survey on the General Living Conditions of Construction Workers", p. 36,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