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율실습에서 형성적 피드백이 간호대학생의 실습만족도, 학습동기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ormative Feedback Practice on Practice satisfacti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Self efficac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1, 2019년, pp.305 - 313  

최동원 (인천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박민정 (군산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율실습에서 형성적 피드백을 적용한 후 학생의 실습만족도, 학습동기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인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대학생 37명을 실험군으로 하여 교수자에 의한 형성적 피드백을, 전북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대학생 41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동영상 촬영 후 동료피드백을 적용하였다. 중재를 적용하기 전과 후에 자료수집을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실습만족도(t=-2.79, p=.007)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t=2.30, p=.024)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학습동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기존에 동영상 촬영 후 동료피드백을 제공하는 것보다 교수자에 의한 형성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교수자들은 자율실습에서 간호학생들의 핵심기본간호술기 습득을 위하여 형성적 피드백을 적용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a non-equivalent pre-post test that verified the effect of formative feedback practice on practice satisfacti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self efficacy for nursing students. 37 were assigned to an intervention group and 41 to a control group. F...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자에 의한 형성적 피드백과 동영상 촬영 후 동료피드백을 적용한 후 실습만족도, 학습동기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Table 1 참고).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자에 의한 형성적 피드백과 동영상 촬영 후 동료피드백을 적용한 후 실습만족도, 학습동기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좀 더 효과적인 자율실습 학습방법을 확인하여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자율실습에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자에 의한 형성적 피드백이 동영상 촬영 후 동료피드백을 적용한 경우에 비해 실습만족도, 학습동기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고, 실습만족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실습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형성적 피드백이라는 새로운 교육방법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를 간호연구를 통해 형성적 피드백의 효과를 재확인하고 임상에서의 간호실무교육에도 적용함으로써 교육적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해본다.
  • 성공적인 자율실습을 위해서 학습자의 동기유발과 학생의 참여태도가 중요하고[2], 교수자는 학습자의 동기유발을 위해 구조화된 틀을 제시하여 성취해야 할 수준과 학습자가 앞으로 달성해야 할 목표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함에 따라[22] 본 연구에서는 자율실습에서 형성적 피드백이 동영상 촬영 후 동료피드백보다 간호대학 생의 실습만족도, 학습동기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일 것으로 생각하며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간호학생들의 실습교육의 한계는 무엇인가? 그러나 간호학생들은 기본간호학 실습시간과 실습 기자재가 부족하고 실습인원은 많지만[4] 반복적으로 연습하며 교수로부터 충분히 피드백을 받기는 어려운 상황에서 실습교육에서 술기를 연습해 볼 수 있는 기회는 제한적인 경우가 많았다[2,4,5]. 이러한 간호실습교육에서 자율실습은 현실적으로 교수요원의 부족과 시설의 낙후함및 실습교육비의 부족 등을 보완하는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2], 이를 통한 간호활동에 대한 자신감과 높은 실습만족도는 간호학생의 기본간호 수행능력을 향상시켜[3]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게 할뿐 아니라 간호문제에 맞는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게 한다[6].
기본간호술이란 무엇인가? 기본간호술은 간호사로서 갖추어야 하는 능력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실무 능력이며, 의료현장에서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수적이며 핵심적인 것이다[1,2].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는 사회가 요구하는 능력 있는 간호사 양성을 요구하며 간호학생의 기본간호술 수행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핵심기본간호술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현장평가에서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직접적인 핵심술기 능력을 평가하고 있다[3].
형성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교수자의 역할은 무엇인가? 한편, 형성적 피드백은 학생의 성취수준이나 학습준비도에 관계없이 제공되는 일반적 피드백과 다르게 학습자의 학습 향상을 위해 학생의 생각이나 행동을 수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말하는데 개별적인 학생의 성취정도와 수행정도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기를 달리하고, 학생의 사전지식의 정도에 따라서 제공되는 피드백의 종류를 달리하는 것을 말한다[18].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현재의 성취정도와 성취해야 할 학습목표 간의 격차를 알 수 있도록 해주고 그 격차를 해결하기 위한 안내역할을 해야 하는데[19], 교정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습자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성공경험의 기회를 주게 된다[20]. 따라서, 학습자의 인지적 요인과 정의적 요인에 있어서 긍정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21], 학생의 성취도 향상에 있어서 필수적이며, 의학교육에서도 핵심요소라고 알려져 있다[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S. N. Park & S. K. Lee. (2008). Factors influencing basic nursing skil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1), 6-13. 

  2. H. J. Paik. (2004). Educational evaluation of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through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1(1), 13-20. 

  3. E. H. Chang & S. H. Park. (2017). Effects of self-evaluation using smartphone recording on nursing students'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satisfaction, and learning motivations: focusing on foley catheter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4(2), 118-127. DOI : 10.7739/jkafn.2017.24.2.118 

  4. S. R. Song, Y. J. Kim. (2015). Effect of a self-evaluation method using video recording on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2(4), 416-423. DOI : 10.7739/jkafn.2015.22.4.416 

  5. M. R. Nam. (2005). Effectiveness of web-based learning in basic nursing practice education: Focusing on asepsis technique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2(3), 290-297. 

  6. E. J. Shin. (2008). A study related to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practice and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3), 380-386. 

  7. P. Kowalski. (2007). Changes in students to learn during the first year of college. Psychological Reports, 101, 79-89. DOI : 10.2466/PR0.101.5.79-89 

  8. M. R. Eom, Y. H. Seo. (2017). A Convergence Study about the Effect of Web-based Nursing Education contents o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5), 97-105. DOI : 10.15207/JKCS.2017.8.5.097 

  9. Y. H. Kim. (2014). Learning motivations, academic self-efficacy, and problem solving processes after practice education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10), 6176-6186. DOI : 10.5762/KAIS.2014.15.10.6176 

  10. K. R. Livsey. (2009). Clinical faculty influences on student caring self-efficacy. International Journal for Human Caring, 13(2), 53-59. 

  11. S. P. O' Kell. (1988). A s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style, readiness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teaching preference of learner nurses in one health district. Nurse Education Today, 8, 197-204. DOI : 10.1016/0260-6917(88)90149-9 

  12. H. J. Kim. (2018). Effects of self-assessment using smartphone video recording on essential fundamental nursing skills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22(9), 1199-1207. DOI : 10.6109/jkiice.2018.22.9.1199 

  13. A. Pulman, J. Scammell & M. Martin. (2009). Enabling interprofessional education: The role of technology to enhance learning. Nurse Education Today, 29(2), 232-239. 

  14. S. G. Lee & Y. H. Shin. (2016). Effects of self-directed feedback practice using smartphone videos on basic nursing skills,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6(2), 283-292. 

  15. S. S. Lee & M. K. Kwon. (2016). Effects of self-directed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using smartphone videos on self-efficacy, practice satisfaction, and skill competency.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3), 255-263. 

  16. E. H. Jang & S. H. Park. (2017). Effects of self-evaluation using smartphone recording on nursing students'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satisfaction, and learning motivations : focusing on foley catheter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Fundamentals of Nursing, 24(2), 118-127. 

  17. S. I. Ji. (2006). The effect of group composition way on the changes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motivation in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8. J. S. Valerie. (2008). Focus on formative feedback.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8(1), 153-189. 

  19. A. Ramaprasad. (1983). On the definition of feedback. Behavioral Science, 28(1), 4-13. 

  20. B. N. Lee & W. S. Sohn. (2017). The effects of formative feedback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classroom engagement: teacher- student relationship as a moderator.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research, 30(1), 123-143. 

  21. H. J. Noh & W. S. Sohn. (2015). The role of teacher-provided feedback on homework in student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8(3), 879-902. 

  22. J. Ende. (1983). Feedback in clinical medic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50(6), 777-781. 

  23. M. G. Lee, J. S. Kim & P. W. Kim. (2005). Practical education methodology(third), Seoul, Kyoyoo-book. 

  24. M. S. Yoo. (2001). The effectiveness of standardized patient managed instruction for a fundamental nursing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7(1), 94-112. 

  25. E. Chang & S. Park. (2017). Effects of self-evaluation using smartphone recording on nursing students'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satisfaction, and learning motivations: focusing on foley catheter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Fundamentals of Nursing, 24(2), 118-127. 

  26. Y. R. Kim. (1993). An analysis on the influences of contribution variables towar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 5-113. 

  27. A. Y. Kim & I. Y. Park. (2001).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9(1), 95-123. 

  28. R. J. Pat-El, H. Tillema, M. Segers & P. Vedder. (2013). Validation of assessment for learning questionnaires for teachers and student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3(1), 98-113. 

  29. D. R. Sadler. (1989). Formative assessment and the design of instructional systems. Instructional Science, 18(2), 119-144. 

  30. B. J. Mason & R, Bruning. (2006). Providing feedback in computer-based instruction: What the research tells us. Center for Instructional Innovation.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14. Retrieved June 1, 2006, from http://dwb.unl.edu/Edit/MB/Mason, 2001. 

  31. Y. J. Chae & Y. M. Ha. (2016).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using recording video with smartphone and formative feedback.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6), 285-294. DOI : 10.14400/JDC.2016.14.6.285 

  32. V. J. Shute. (2008). Focus on formative feedback.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8(1), 153-189. 

  33. J. Hattie & H. Timperley. (2007). The power of feedback.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7(1), 81-112. 

  34. J. I. Choi. (1999). Inquiry into Instructional Strategies to Enhance Interaction in Web-Based Instruc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5(3), 129-154. 

  35. S. G. Lee & Y. H. Shin. (2016). Effects of self-directed feedback practice using smartphone videos on basic nursing skills,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6(2), 283-292. DOI : 10.4040/jkan.2016.46.2.283 

  36. M. G. Kim & H. S. Lee. (2017). Effects of core basic nursing education using cellular phone video recordings on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chievement, and practice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Fundamentals of Nursing, 24(2), 128-137. DOI : 10.7739/jkafn.2017.24.2.128 

  37. E. L. Chi. (2009). Exploring the factors and key aspects of teachers' feedback practice. Asian journal of education, 10(3), 77-102. 

  38. R. W. Kulhavy & W. A. Stock. (1989). Feedback in written instruction: The place of response certitude.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4), 279-308. 

  39. D. R. Shin, G. S. Wang, G. Y. Lee & S. J. Lee. (2001). The effect of self-causal attribution on the inductive reasoning task performance in the context of success or failure outcome feedback.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9(4), 313-332. 

  40. E. J. Yoon & Y. M. Park. (2017). The Effects of reeducation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on nursing students’ competence, confidence and anxiet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5), 39-45. DOI : 10.22156/CS4SMB.2017.7.5.0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