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OTT서비스 이용자의 지속사용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기술수용모델의 확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ntinuous Intention to Use of OTT Service Users: Focused on the Extension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1, 2019년, pp.537 - 546  

이민규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김원제 (성균관대 문화융합대학원) ,  송민호 (경기대 산학협력단(인문사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의 확장을 통해 OTT 서비스 이용자들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관계분석경로분석 등을 통해 주요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OTT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용이성인지된 유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OTT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용이성은 지속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OTT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은 지속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OTT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혁신성은 인지된 용이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OTT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혁신성은 지속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OTT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유희성은 지속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OTT 서비스의 기술수용모델 확장과 OTT 서비스 수용을 이해할 수 있는 경로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verified the factors influencing continuous intention to use of OTT service users through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extension. For this purpose, the main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21.0 program and AMOS 21.0 program. The summary is...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OTT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밝히고자 하는 이론적, 학술적 접근은 매우 부족한 상황 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의 확장 적용을 통해 소비자들의 OTT 서비스 이용과 수용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지된 혁신성(perceived innovativeness)과 인지된 유희성(perceived playfulness)에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우선 인지된 혁신성은 혁신확산이론에 자주 활용되어 온 전통적인 변수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혁신적인 소비자 개인은 비교적 새로운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찾아 나서며, 새로운 기술의 수용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태도와 의도를 가진다[22, 23].

가설 설정

  • 가설 1. OTT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OTT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용이성은 지속사용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OTT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은 지속사용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6. OTT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유희성은 지속사용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OTT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혁신성은 인지된 용이성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OTT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혁신성은 지속사용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그 중에서 Davis[6]에 의해 개발된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이하 TAM)은 개인의 신념을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려는 의도와 연결하여 채택행동을 설명한다[7]. 즉, 새로운 기술이나 시스템의 채택이 행동 의도에 의해 결정되며, 두 가지의 신념, 즉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에 의해 결정된다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새로운 기술이나 시스템은 소비자들로부터 이용하기 쉽고, 유용하다고 인식될수록 기술수용이나 채택에 대한 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설명된다[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TT 서비스로 인해 기존의 유료방송 시장이 위협받는 현상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일반적으로 OTT는 기존의 통신 및 방송사업자, 그리고 제3의 사업자가 범용 인터넷을 통해 드라마나 영화 등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동영상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으로[3], OTT 서비스의 확산은 기존의 유료방송 시장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실제로 OTT 서비스가 각광을 받으면서 기존 유료방송을 중단하고 OTT 서비스에 신규 가입한 코드 커터(cord cutters)나 OTT 서비스만을 이용하는 코드 네버(cord nevers), 그리고 기존 유료방송에 가입되어 있으면서 OTT 서비스에도 가입한 코드커플러(cord couplers)등의 코드커팅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뿐만 아니라 OTT 서비스의 이용은 새로운 시청행태를 이끌고 있는데, 이른바 몰아보기(binge watch)로 콘텐츠의 전 에피소드를 한번에 몰아볼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시청행태가 창출됨으로써 영상소비문화의 새로운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다[4].
OTT의 의미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OTT는 기존의 통신 및 방송사업자, 그리고 제3의 사업자가 범용 인터넷을 통해 드라마나 영화 등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동영상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으로[3], OTT 서비스의 확산은 기존의 유료방송 시장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실제로 OTT 서비스가 각광을 받으면서 기존 유료방송을 중단하고 OTT 서비스에 신규 가입한 코드 커터(cord cutters)나 OTT 서비스만을 이용하는 코드 네버(cord nevers), 그리고 기존 유료방송에 가입되어 있으면서 OTT 서비스에도 가입한 코드커플러(cord couplers)등의 코드커팅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OTT는 무엇으로 이용 가능한가? 7%로 상승, 비교적 높은 수준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1]. OTT는 TV를 포함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 다양한 스마트미디어를 통해 이용이 가능하다는 특성을 바탕으로 국내 방송시장에서 새로운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강자로 급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CJ ENM. (2019). 2019 OTT service trend report. 

  2. J. S. Kang. (2019). Competitive environment and business strategy change in global OTT market due to Disney +, Apple TV +, etc. KISDI Premium Report,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3.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9). 2018 Broadcasting media usage survey. 

  4. Y. J. Kim. (2015). Impact of OTT service on the content crea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Studies of Broadcasting Culture, 27(1), 75-102.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366055 

  5. J. Y. Yoo & J. Y. Park. (2018).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ntinuous usage intension based on OTT service user.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46-79. 

  6. C. Morosan. (2010).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sideration of guests' perceptions of biometric systems in hotels: Extend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Research, 36(1), 52-84. DOI: 10.1177/1096348010380601 

  7. F. Davis.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8. S. H. Oh, Y. M. Kim, C. W. Lee, G. Y. Shim, & M. S. Park. (2009). Consumer adoption of virtual stores in Korea: Focusing on the role of trust and playfulness. Psychology & Marketing, 26, 652-668. 

  9. A. George & G. S. G. Kumar. (2013). Antecedents of customer satisfaction in internet bank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redefined. Global Business Review, 14(4), 627-638. DOI: 10.1177/0972150913501602 

  10. J. Lu, C. Liu, C. S. Yu, & K. Wang. (2008). Determinants of accepting wireless mobile data services in China. Information & Management, 45, 52-64. DOI: 10.1016/j.im.2007.11.002 

  11. V. Venkatesh & F. D. Davis. (2000).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46(2), 186-204. DOI: 10.1287/mnsc.46.2.186.11926 

  12. V. Venkatesh & M. G. Morris. (2000). Why don’t men ever stop to ask for directions? Gender, social influence, and their role in technology acceptance and usage behavior. MIS Quarterly, 24(1), 115-139. DOI: 10.2307/3250981 

  13. A. Shukla & S. K. Sharma. (2018). Evaluating consumers' adoption of mobile technology for grocery shopping: An application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Vision, 22(2), 185-198. DOI: 10.1177/0972262918766136 

  14. L. Gao & X. Bai. (2014). A unified perspective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acceptance of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Asia Pacific Journal of Marketing and Logistics, 26(2), 211-231. DOI: 10.1108/APJML-06-2013-0061 

  15. P. Ketikidis, T. Dimitrovski, L. Lazuras, & P. A. Bath. (2012). Acceptance of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in health professionals: An application of the revis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Health Informatics Journal, 18(2), 124-134. DOI: 10.1177/1460458211435425 

  16. S. A. Raza, W. Qzai, & A. Umer. (2016). Facebook is a source of social capital build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Evidence from a developing country.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55(3), 295-322. DOI: 10.1177/0735633116667357 

  17. M. Yeou. (2016). An investigation of students' acceptance of Moodle in a blended learning setting us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systems, 44(3), 300-318. DOI: 10.1177/0047239515618464 

  18. K. Mathieson. (1991). Predicting user intentions: Compar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ith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3), 173-191. https://www.jstor.org/stable/23010882 

  19. J. Schepers & M. Wetzels. (2007). A meta-analysi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vestigating subjective norm and moderation effects. Information & Management, 44, 90-103. https://doi.org/10.1016/j.im.2006.10.007 

  20. W. R. King & J. He. (2006). A meta analysi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formation & Management, 43(6), 740-755. DOI: 10.1016/j.im.2006.05.003 

  21. D. Gefen, E. Karahanna, & D. W. Straub. (2003). Trust and TAM in online shopping: An integrated model. MIS Quarterly, 27(1), 51-90. http://www.jstor.org/stable/30036519 

  22. R. Agarwal & J. Prasad. (1998). A conceptual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personal innovativeness in the domai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9, 204-215. DOI:10.1287/isre.9.2.204 

  23. E. Karahanna, D. W. Straub, & N. L. Chervany. (1998). 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 across time: A cross-sectional comparison of pre-adoption and post-adoption beliefs. MIS Quarterly, 23, 183-213. 

  24. E. M. Rogers. (1983). Diffusion of innovations (3rd ed.). New York, NY: Free Press. 

  25. R. Walczuch, J. Lemmink, & S. Streukens. (2007). The effect of service employees’ technology readiness on technology acceptance. Information & Management, 44, 206-215. DOI:10.1016/j.im.2006.12.005 

  26. J. Lu, J. E. Yao, & C. S. Yu. (2005). Personal innovativeness, social influences and adoption of wireless internet services via mobile technology. Journal of Strategic Information System, 14, 245-268. DOI:10.1016/j.jsis.2005.07.003 

  27. W. Lewis, R. Agarwal, & V. Sambamurthy. (2003). Sources of influence on belief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e: An empirical study of knowledge workers. MIS Quarterly, 27, 657-679. DOI: 10.2307/30036552 

  28. C. Jin. (2013). The perspective of revised tram on social capital building: The case of facebook usage. Information & Management, 50, 162-168. DOI:10.1016/j.im.2013.03.002 

  29. H. W. Kim, S. Gupta, & J. Koh. (2011). Investigating the intention to purchase digital items in social networking communities: A customer value perspective. Information & Management, 48, 228-234. DOI:10.1016/j.im.2011.05.004 

  30. A. Padilla-Melendez, A. R. D. Aguila-Obra, & A. Garrido-Moreno. (2013). Perceived playfulness, gender differences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a blended learning scenario. Computers & Education, 63, 306-317. DOI:10.1016/j.compedu.2012.12.014 

  31. P. Zhang & N. Li. (2005). The importance of affective quality. Communications of the ACM, 48(9), 105-108. DOI:10.1145/1081992.1081997 

  32. S. Y. Hung, J. C. A. Tsai, & S. T. Chou. (2016). Decomposing perceived playfulness: A contextual examination of two social networking sites. Information & Management, 53, 698-716. DOI:10.1016/j.im.2016.02.005 

  33. C. S. Lin, S. Wu, & R. J. Tsai. (2005). Integrating perceived playfulness into 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 for web portal context. Information & Management, 42, 683-693. DOI:10.1016/j.im.2004.04.003 

  34. H. H. Chang. (2010). Task-technology fit and user acceptance of online a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68, 69-89. DOI:10.1016/j.ijhcs.2009.09.010 

  35. H. J. Woo. (2009). Exploring the influence on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and perceived brand qualities affecting the internet radio player usage: Focusing on KBS Kong, MBC Mini, SBS Gorilla. Journal of Media Economics & Culture, 7(4), 7-45. 

  36. J. S. Lee & M. Y. Lee. (2006). Examining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IP-TV with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Broadcasting & Communication, 7(1), 100-131. 

  37. D. Y. Shim. (2018). The effect of OTT service's quality characteristics, users' characteristics on user satisfaction, loyalty,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38. H. G. Baek, B. S. Chon, & J. K. Lee. (2013). Determinants of intention to use N-Screen service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7(1), 94-130. 

  39. G. J. Kim. (2009). A study on acceptance factor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3(3), 296-323. 

  40. S. H. Sohn, Y. J. Choi, & H. S. Hwang. (2011). Understanding acceptance of smartphone among early adopters using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5(2), 227-251. 

  41. H. S. Lee. (2016). A study on factor influencing on user's satisfaction and loyalty of OTT service.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