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파트 리모델링을 위한 의사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 및 경기 수도권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terminants for Apartment Remodel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20 no.6, 2019년, pp.57 - 65  

조용경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  이재원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  이상엽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건축을 통한 도시주거환경의 개선이 용이하지 않은 시점에 노후아파트가 리모델링을 통해 개선되지 못하고 방치된다면 결국 도시는 쇠퇴하고 슬럼화가 이루어진다. 이에 정부는 리모델링을 활성화하기 위해 재건축의 대안으로서 인식하여 주로 면적증가나, 리모델링 비용 마련을 위한 세대수 증가, 수직 증축 리모델링 허용으로 법을 개정해왔으나 리모델링은 아직도 시장에서 활성화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인 서울과 경기도의 아파트 소유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리모델링 선택과 리모델링 투입비용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주택소유주와 투자자들에게 객관적 의사결정요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효과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분석 모형을 통해 가구특성, 주택특성, 시간경과 변수로 리모델링 선택 확률과 투입비용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으로 정리하였다. 분석은 표본선택 오류를 고려한 Heckman 2단계 분석을 활용하였다. 1단계 리모델링 여부(선택 확률) 분석결과 유의한 설명변수는 가구원수, 순자산, 주택만족도, 건축년도(11~20년), 건축년도(21~30년), 건축년도(30년 초과)로 나타났다. 2단계 리모델링 투입 비용 분석결과 유의한 설명변수는 순자산, 면적, 건축년도(30년 초과), 단위주택가격으로 나타났다. 분결 결과를 통해 면적증가나 리모델링 비용 충당을 위한 세대수 증가, 수직 증축 허용 중심의 현행 리모델링 활성화 정책이 큰 효과가 없을 것으로 실증되었다. 더불어 연령 변수와 관련하여 고령자라 하더라도 순자산과 소득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서울 및 경기도의 고령자의 경우에는 선행연구에서 선택확률이 낮아지고 투입비용이 줄어드는 것과 달리 리모델링 선택 확률과 투입비용 규모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f aging apartments are left unimproved through remodeling, the city will be eventually slum. As the government recognizes remodeling as an alternative to reconstruction, the law has been revised mainly to increase the housing area, increase the number of house and allow the vertical extension for m...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주택 리모델링에 관한 선행연구는 크게 공학 분야에서 리모델링 공법이나 건축 계획 방향 등에 관한 연구와 재건축과의 비교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Lee and Kim (2016)의 공동주택 리모델링 수요예측을 통한 정책방향 설정 연구나 Pong and Chang (2008)의 경기도 공동주택 리모델링 필요성과 과제 등 정책 방향 설정을 위한 연구가 있으나 본 연구의 내용 및 범위를 고려하여 아파트 리모델링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를 중점으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자 한다. Cho et al.
  • 선행연구에서도 주택이 노후 됨에 따라 거주자는 주거를 이동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주거를 개선하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는 세가지의 대안 선택 의사결정이 가능하고 보았다 (Potepan, 1989; Montgomery, 1992). 그러나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의 아파트 거주자가 주거이동을 하지 않으면서 리모델링을 하는 경우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고 리모델링 비용 결정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지역 간의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에서 주거이동(이사)을 계획하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주거이동을 계획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리모델링 여부의 선택과 리모델링 투입 비용 결정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규모 개발사업의 진행이 토지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시 강남구의 국제교류복합지구 내외의 실거래가격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한 데이터의 시간적 범위는 국제교류복합지구 개발계획이 발표되기 이전이며 실거래가 신고의무에 따라 실거래가 자료 구득이 가능한 2006년 1월부터 2019년 3월까지를 대상으로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아파트 리모델링에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단계 리모델링 여부(리모델링 선택 확률) 분석결과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순자산이 많을수록, 건축년도가 10년인 경우보다 건축년도가 11~20년, 21~30년, 30년 초과인 경우 리모델링 선택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러나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의 아파트 거주자가 주거이동을 하지 않으면서 리모델링을 하는 경우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고 리모델링 비용 결정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지역 간의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에서 주거이동(이사)을 계획하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주거이동을 계획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리모델링 여부의 선택과 리모델링 투입 비용 결정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리모델링 여부와 리모델링 투입비용을 결정하는 요인분석을 위해서는 Heckman 2단계 모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 단독주택 소유가구의 주택개량 행태와 결정요인에 관한 Yim and Choi (2016)의 연구에서도 건축 후 25년경과 이후에는 대수선 이하 주택개량의 확률과 지불의사액이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감소한다고 실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재건축과 리모델링이 모두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서울 및 경기도 아파트의 경과년수가 리모델링 여부나 리모델링 투입 비용 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하고자 하였다. 다만 주택의 노후도는 건축 시점에 사용된 자재·기술, 건축 후 유지관리 노력 등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경과년수 보다 주택소유자가 실제 인지하는 노후 상태에 대한 주관적 평가가 더 중요할 수 있다(Montgomery, 1992).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아파트 리모델링에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는 것에 있다. 아파트 리모델링 의사결정은 크게 리모델링을 할 것인지 안 할 것인지 결정(이하 리모델링 여부)하는 문제와 리모델링에 사용할 비용의 크기를 결정하는 문제가 있다.
  • 그러나 아파트 리모델링은 정확한 집계마저 어렵지만 2017년 건설경제신문에 따르면 2003년부터 14개 단지만 준공됐고 그나마도 2014년 부터는 전무한 실정이다(RIREUS, 2018). 이에 아파트 리모델링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향을 찾기 위해서 아파트 리모델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의 리모델링을 활성화방안은 무엇인가? 재건축을 통한 도시주거환경의 개선이 용이하지 않은 시점에 노후아파트가 리모델링을 통해 개선되지 못하고 방치된다면 결국 도시는 쇠퇴하고 슬럼화가 이루어진다. 이에 정부는 리모델링을 활성화하기 위해 재건축의 대안으로서 인식하여 주로 면적증가나, 리모델링 비용 마련을 위한 세대수 증가, 수직 증축 리모델링 허용으로 법을 개정해왔으나 리모델링은 아직도 시장에서 활성화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인 서울과 경기도의 아파트 소유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리모델링 선택과 리모델링 투입비용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주택소유주와 투자자들에게 객관적 의사결정요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효과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리모델링이란 무엇인가? 「건축법」 및 「주택법」상 리모델링은 건축물의 노후화를 억제하거나 기능 향상 등을 위하여 대수선하거나 세대수 증가형 증축 및 수직 증축을 포함한 증축 또는 개축하는 행위를 말한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집 안의 벽지나 바닥 마감재 교체, 화장실 타일이나 수전 교체와 같은 내부 인테리어 수준도 리모델링이라고 인식되고 있다.
면적 증가 위주의 현재 리모델링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 확인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분석결과, 1단계 리모델링 여부(리모델링 선택 확률) 분석결과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순자산이 많을수록, 건축년도가 10년인 경우보다 건축년도가 11~20년, 21~30년, 30년 초과인 경우 리모델링 선택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의 면적이나 방갯수는 리모델링 선택확률에 유의한 변수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리모델링이 법제화 된 후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면적확장 지원 중심으로 리모델링 관련 법규가 개정된 것을 고려할 때, 면적 증가 위주의 현재 리모델링 정책이 리모델링 활성화에 효과가 있을지 확인이 필요한 지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rnott, R.J., and Lewis, F. (1979). "The Transition of land to Urban Us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1, pp. 637-654. 

  2. Bae, S.S., and Shin, D,W. (2000). "(The) trend and policy issues of housing remodelling." KRIHS. 

  3. Baum, S., and Hassan, R. (1999). "Homeowners, home renovation and residential mobility." Journal of Sociology, The Australian Sociological Association, 35, pp. 23-41. 

  4. Boehm, T.P., and Ihlanfeldt, K.R. (1986). "The improvement expenditures of urban homeowners: An empirical analysis." AREUEA Journal, AREUEA, 14, pp. 48-60. 

  5. Bang, K.S. (2011). "Dictionary of Real Estate Terms." Bu-yeon sa. 

  6. Cha, K.E., Kim, T.H., and Kim, H.Y. (2015). "Effects of Housing Provision by Public and Private Sectors via the Sub-market Filtering Processe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KPA, 50(4), pp. 119-138 

  7. Cho, Y.K., Lee, J.K., and Lee, S.Y. (2011). "A Study on Importance of Factors in Remodeling for Aged Apartment Housing." Review of Real Estate and Urban Studies, KREUS, 4(1), pp. 101-116. 

  8. Galster, G.C. (1987). "Homeowners and Neighborhood Reinvestment." Duke University Press, Durham. 

  9. Heckman, J.J. (1976). "The common structure of statical models of truncation, sample selection and limited dependent variables and a simple estimator for such models." Annals of Economic and Social Measurement, NBER, 5, pp. 475-492. 

  10. Jeon, H.R., and Kim, S.K. (2014). "A Study on Major Determinants of the Household Mortgage Loan Risk: An Analysis with DTI, LTV in Korea." Jounal of Social Science, RISS (KHU), 40(3), pp. 259-284. 

  11. Kim, J.W., and Chung, E.C. (2011). "Estimation of Tenure Choice and Housing Demand Decisions of Small-Sized Households in Korea." Housing Studies Review, KAHPS, 19(2), pp. 123-150. 

  12. Kim, J.Y., and Lee, H.S. (2019). "A Study on Determinants of Retention of Real Estate Mortgage & Repayment Burden." The Journal of Korea Real Estate Analysts Association, KREAA, 25(1), pp. 7-19. 

  13. Korea Remodeling Association (2016). "Understanding Remodeling." Ki-mun dang. 

  14. Lee, Y.K., and Kim, E.H. (2016). "Establishing Policy Directions for Remodeling Apartment Based on Demand Analysis." Korean Housing Association Journal of Academic Conference, KHA, 2016(4), pp. 61-65. 

  15. Mendelsohn, R. (1977). "Empirical Evidence on Home Improvements." Journal of Urban Economics, 4, pp. 459-468. 

  16.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9). Building law. 

  17.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9). Housing law. 

  1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Housing. 

  19. Montgomery, C. (1992). "Explaining home improvement in the context of household investment in the context of household investment in residential housing." Journal of Urban Economics, ELSEVIER, 32, pp. 326-350. 

  20. Plaut, P.O., and Plaut, S.E. (2010). "Decisions to Renovate and to Move." Journal of Real Estate Research, ARES, 32(4), pp. 461-485. 

  21. Potepan, M.J. (1989). "Interest Rates, Income, and Home Improvement Decisions." Journal of Urban Economics, 25, pp. 282-294. 

  22. Pong, I.S., and Chang, Y.B. (2008). "Necessity and task of remodeling apartments in Gyeonggi-do." Policy Brief, GRI, 30, pp. 1-12. 

  23. Research Institute of Real Estate and Urban Studies (2018). Konkuk Univ. "The truth and falsehood of real estate common sense," The Korea Economic Daily. 

  24. Shoup, D.C. (1970). "The Optical Timing of Urban Lan Development." Papers in Regional Science, RSAI, 25, pp. 33-44. 

  25. Sung, J.H., and Jeong, S.C. (2018). "A Study on the Intention of Moving in the Residential Service of Enterprise Type Rental Housing (New Stay)." Korea Real Estate Academy Review, KREA, 75, pp. 35-49. 

  26. Winger, A. (1973). "Some internal determinants of upkeep spending by home-owner." Land Economics, UWPRESS, 49, pp. 474-479 

  27. Yim, Y.H., and Choi, M.J. (2016). "Housing Improvement Behavior of Single-family Housing Owners and Its Determinants : Covering from Repair to Reconstructio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KPA, 51(3), pp. 147-1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