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면의 질 및 우울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11, 2019년, pp.202 - 211  

조남희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  이지현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면의 질 및 우울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G지역의 대학생 304명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자가보고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빈도, 퍼센트, 평균, 표준편차, t검증, One way ANOVA 및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의 질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그리고 수면의 질과 우울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면의 질 및 우울을 개선하고 예방하기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 전략을 모색할 때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이를 고려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의 적용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304 college students in G a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 mean, standa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G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수면의 질 및 우울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의 질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그리고 수면의 질과 우울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 본 연구는 G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수면의 질 및 우울의 정도와 이들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향후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면의 질, 우울의 개선과 예방을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G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수면의 질, 우울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수면의 질 그리고 우울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면의 질 및 우울 정도를 파악한다.
  • 사회적으로 왕성하게 생산성이 기대되는 성인기를 준비하는 시기에 있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의 중독성, 수면의 질 및 우울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이를 줄여 줄 수 있는 상담과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면의 질 및 우울 간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의 질, 그리고 우울을 개선하고 예방하기 위한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대학생 대상 연구결과 우울은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수면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수면시간이 짧을수록 우울 정도는 심해지고 우울 정도가 높아질수록 수면의 질이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다[9]. 이에 현대사회와 IT강국을 살아가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성과 수면의 질 및 우울의 건강문제에 대한 상관관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3. 대학생의 수면의 질 정도가 낮아질수록 우울 정도는 높아질 것이다.
  • 가설 1.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높아질수록 수면의 질 정도는 낮아질 것이다.
  • 가설 2.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높아질수록 우울 정도는 높아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한 양질의 수면은 무엇인가? 건강한 양질의 수면은 인체 기능을 회복시키고 에너지와 건강을 유지하게 하는 주요 메커니즘으로[5], 인간의 생존을 위해 필수적인 기본적인 욕구이면서 신체적, 정신적인 회복을 통해 에너지를 충전시켜준다[6]. 그러나 정상적으로 필요한 수면이 부족해지거나 수면의 질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는 신체적, 정신적인 안녕 및 일상적인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줄 수 있다[7].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특히 대학생은 고등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스마트폰을 이용하는데 부모나 선생님의 통제나 제한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어[1]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에 따르는 사회적인 부작용도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대학생의 25% 정도는 스마트폰 중독에 노출되어 있고, 스마트폰 중독은 대학생의 수면시간 부족을 초래하고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며 이는 대학생의 주요 발달 과업과 일상생활에 지장을 미치는 것으로알려졌다[2,3]. 또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심리적으로는 우울이라는 부정적인 정서를 더욱 악화시키거나 우울증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게 나타나게 된 이유는? 이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고 본 연구에서와 같은 스마트폰 중독 측정 도구를 사용한 강현임, 이영란과 황주희[18]의 결과와 일치 하는 결과였다. 연구결과 대학 4학년의 스마트폰 중독점수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4학년이 졸업과 진로 및 취업에 대한 준비의 시기라는 관점에서 볼 때 스마트폰이 진로와 취업에 대한 정보 탐색이나 공유, 의사소통의 한 방편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여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점수가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 N. Son & Y. R. Lee. (2009). The effects of the grou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n internet addiction level, negative automatic thought and self-escaping of the college students with Internet addiction.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33, 31-47. 

  2. M. J. Park, S. Y. Ryu, J. Park & M. A. Han. (2015).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sleeping time and sleep deprivation among som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40(1), 50-61. 

  3. H. H. Han. (2019). The relationship among smartphone addiction, lack of sleep and sleep hours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10), 213-219. DOI : 10.22156/CS4SMB.2019.9.10.213 

  4. K. H. Kim. (2016).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sleep quality through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5), 379-404. 

  5. S. M. Spenceley. (1993). Sleep inquiry: A look with fresh eyes. Image: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5(3), 249-256. DOI : 10.1111/j.1547-5069.1993.tb00790.x 

  6. P. Ebersole & P. Hess. (1994). Toward healthy aging: human needs and nursing response. St. Louis:Mosby, 4th ed., 64-74. 

  7. N. S. Kamel & J. K. Gammack. (2006). Insomnia in the elderly: cause, approach, and treatment.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19(6), 463-469. DOI : 10.1016/j.amjmed.2005.10.051 

  8. M. J. Park & M. Y. Chung. (2018). Quality of sleep and affecting factors according to gender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9), 187-195. DOI : 10.144/JDC.2018.16.9.187 

  9. J. K. Kim, H. S. Song & M. Y. Yeon. (2009). The preliminary study of sleep patterns, circadian typology and depression level in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4(3), 617-632. DOI : 10.17315/kjhp.2009.14.3.009 

  10. H. L. Ro. (2017).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sleep type and sleep quality, and perceived life stress in college students : based on students living in a dormitor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2), 1011-1024. 

  11. D. J. Buysse, C. F. Reynolds III, T. H. Monk & S. R. Berman. (1989).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28(2), 193-213. 

  12. D. Riemann, M. Berger & U. Voderholzer. (2001). Sleep and depression - results from psychobiological studies: an overview. Biological psychology, 57(1-3), 67-103. 

  13. N. I. S. (2011). Development of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Youth and Adults.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14. I. J. Kim, H. J. Choi & B. J. Kim. (2014). Psychometric properties of Korean version of Modified Leeds Sleep Evaluation Questionnaire (KMLSEQ).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7(1), 10-17. DOI : 10.7587/Kjrehn.2014.10 

  15. J. Y. Kim. (2000). Two kinds of internally focused attention to depressed mood.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16. M. Y. Kim & H. J. Choi. (2016). Factors influencing sleep patterns during clinical practice weeks among nursing students : based on Spielman's Model.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8(4), 203-212. 

  17. S. H. Jung, J. H. Park, H. J. Yoon, J. H. Kim, N. C. Kim & S. H. Kim.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University Students : Moderating Effect of the Positive Psychology.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24(3), 173-183. 

  18. H. L. Kang, Y. R. Lee & J. H. Hwang. (2017). The Influences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ies and the Self-control of the University Students on Smartphone Addiction. Korean Association of Addiction Crime Review, 7(2), 1-23. 

  19. S. H. Kim, J. W. Min & B. K. Park. (2019). The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and stress on sleep quality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4), 112-120. DOI : 10.5762/KAIS.2019.20.40.112 

  20. S. H. Cho & G. S. Jeon. (2016). Correlates of problematic mobile phone use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uournal of stress research, 24(1), 13-22. 

  21. E. J. Bae. (2019). Relationship between high caffeine drinks addic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depression, anxiety,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exhaustion, self-esteem, impulsivity in college students. Yongin: Dankoo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2. S. G. Kang et al. (2002). Effects of minor stressful events on sleep in college students.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9(1), 48-55. 

  23. J. S. Kang & E. H. Hwang. (2014).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1), 810-819. DOI : 10.5392/JKCA.2014.14.11.810 

  24. E. S. Jung & H. J. Park. (2014). Effects on stress degree, study attitude, sleeping hours by intake degree of caffeinated drink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2), 353-361. DOI : 10.14400/JDC.2014.12.2.353 

  25. H. S. Lee. (2017). The convergence research regarding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addiction to smartphones on self-efficacy : lack of sleep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the parameter. Journal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8(8), 315-323. 

  26. K. M. Yang. (2016).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7(1), 113-123. DOI : 10.15207/JKCS.2016.7.1.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