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innamomum loureiroi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The Activity of Anti-oxidation of Cinnamomum loureiroi Extrac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6, 2020년, pp.1583 - 1590  

이해진 (대전대학교 뷰티건강관리학과) ,  임현지 (대전대학교 뷰티건강관리학과) ,  임미혜 (대전대학교 뷰티건강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Cinnamomum loureiroi 추출물(CLE)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 전에 세포독성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수행에서 사용할 농도의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추출물의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ABTS 라디칼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LPS에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ROS의 생성 감소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397.7±8.3 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1.9±0.8 mg/g으로 BHA 검량선 기준으로 선행연구들과 비교한 결과 함량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TS 라디칼과 DPPH 라디칼 소거율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농도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ROS 생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어 라디칼 소거능과 부합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CLE의 항산화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향 후 천연원료로서 기능성화장품 또는 심화 연구를 통한 천연화장품의 응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ctivity of anti-oxidation of Cinnamomum loureiroi extract (CLE). In order to measure anti-oxidation effect of CLE, phenol content of CL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BTS and DPPH, and decrease of ROS production. Before the experiment, against Raw 264.7 cell, a cytotoxicity was m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확인하였다. Cinnamomum에 속하는 시나몬 또는 육계는 종이 많아 사람들이 통합하여 지칭하고 있으나 그 향과 성분이 환경에 따라 매우 크게 달라지는 특성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한 사이공시나몬 종의 건조 원물을 추출하여 화장품의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사이공시나몬, CLE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음을 BHA 검량선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확인하였으며,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율이 농도에 따라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사이공시나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Cinnamomum에 속하는 시나몬 또는 육계는 종이 많아 사람들이 통합하여 지칭하고 있으나 그 향과 성분이 환경에 따라 매우 크게 달라지는 특성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한 사이공시나몬 종의 건조 원물을 추출하여 화장품의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시나몬은 이미 효능에 대해 많이 연구되어 있으나 그 종이 다양하고 키운 환경에 따라 효능에 차이가 있으므로 각 종에 따라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향신료로 주로 사용되고 있고 한방과 양방에서 약재로서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사이공시나몬 종을 국내 재배되어 건조시킨 원물을 추출하여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E. Y. Hwang, D. H. Kim, H. J. Kim, J. Y. Hwang, T. S. Park, I. S. Lee, and J. H. Son, "Antioxidant Activities and Nitric Oxide Production of Medicine Plants in Gyeongsangbukdo (Carthamus Tinctorius Seed, Cyperus Rotundus, Schizonepeta Tenuifolia,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Paeonia Lactiflora)", J Appl Biol Chem, Vol.54, No.3 pp.171-177, (2011). 

  2. W. Fiers, R. Beyaert, W. Declercq, and P. Vandenabeele, "More than One Way to Die: Apoptosis, Necrosis and Reactive Oxygen Damage", Oncogene, Vol.18, No.54 pp.7719-7730, (1999). 

  3. M. S. Shon, J. H. Song, J. H. Dong, and G. N. Kim, "Anti-Oxidant Activity of Oil Extracted from Korean Red Ginseng and its Moisturizing Function", Asian J Beauty Cosmetol, Vol.11, No.3 pp.489-494, (2013). 

  4. T. H. Wakamatsu, M. Dogru, I. Ayako, Y. Takano, Y. Matsumoto, O. M. A. Ibrahim, N. Okada, Y. Satake, K. Fukagawa, J. Shimazaki, K. Tsubota, and H. Fujishima, "Evaluation of Lipid Oxidative Stress Status and Inflammation in Atopic Ocular Surface Disease", Mol Vis, Vol.16, No.1 pp.2465-2475, (2010). 

  5. M. Kastle and T. Grune, "Protein Oxidative Modification in the Aging Organism and the Role of the Ubiquitin Proteasomal System", Curr Pharm Des, Vol.17, No.36 pp.4007-4022, (2011). 

  6. L. A. Videla and V. Fernandez, "Biochemical Aspects of Cellular Oxidative Stress", Arch Biol Med Exp, Vol.21, No.1 pp.85-92, (1988). 

  7. T. Kondo, M. Hirose, and K. Kageyama, "Roles of Oxidative Stress and Redox Regulation in Atherosclerosis", J Atheroscler Thromb, Vol.16, No.5 pp.532-538, (2009). 

  8. N. Dastmalchi, B. Baradaran, S. Latifi-Navid, R. Safaralizadeh, S. M. B. Khojasteh, M. Amini, E. Roshani, and P. Lotfinejad, "Antioxidants with Two Faces Toward Cancer", Life Sci, Vol.258, No.1 pp.118186, (2020). 

  9. A. Galano, G. Mazzone, R. Alvarez-Diduk, T. Marino, J. R. Alvarez-Idaboy, and N. Russo, "Food Antioxidants: Chemical Insights at the Molecular Level", Annu Rev Food Sci Technol, Vol.7, No.1 pp.335-352, (2016). 

  10. Y. H. Wang, B. Avula, N. P. D. Nanayakkara, J. Zhao, and I. A. Khan, "Cassia Cinnamon as a Source of Coumarin in Cinnamon-Flavored Food and Food Supplements in the United States", J Agric Food Chem, Vol.61, No.18 pp.4470-4476, (2013). 

  11. J. S. Kim, T. Y. Kim, and S. B. Kim, "Evaluation of the Storage Characteristics of Kangjung Added with Gromwell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Nutri, Vol.35, No.6 pp.791-800, (2006). 

  12. A. L. Branen,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Vol.52, No.2 pp.59-63, (1975). 

  13. S. Y. Choe and K. H. Yang,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BHT) and Butylated Hydroxyanisole(BHA)",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14, No.3 pp.283-288, (1982). 

  14. K. N. Prasad, B. Yang, X. Dong, G. Jiang, H. Zhang, H. Xie, and Y. Jiang,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from Cinnamomum Species", Innov Food Sci Emerg Technol, Vol.10, No.4 pp.627-632, (2009). 

  15. P. D. Abeysinghe, K. G. G. Wijesinghe, H. Tachida, and T. Yoshda,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Cinnamon (Cinnamomum Verum Presl) Accessions and Evaluation of Genetic Relatedness of Cinnamon Species in Sri Lanka Based on TrnL Intron Region, Intergenic Spacers between trnT-trnL, trnL-trnF, trnH -psbA and Nuclear ITS", Res J Agric & Biol Sci, Vol.5, No.6 pp.1079-1088, (2009). 

  16. Y. D. Kim, H. W. Shin, and J. Y. Cho, "Antifouling Activity of Coumarin and its Derivatives Isolated from the Cinnamon Tree Cinnamomum Loureiroi", Korean J Fish Aquat Sci, Vol.46, No.1 pp.53-58, (2013). 

  17. S. J. Choi, C. R. Kim, C. K. Park, M. C. Gim, J. H. Choi, and D. H. Shin, "Ameliorating Effects of Cinnamomum Loureiroi and Rosa Laevigata Extracts Mixture Against Trimethyltin-Induced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 Mode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Vol.25, No.6 pp.353-360, (2017). 

  18. B. Qin, M. Nagasaki, M. Ren, G. Bajotto, Y. Oshida, and Y. Sato, "Cinnamon Extract (Traditional Herb) Potentiates in Vivo Insulin-Regulated Glucose Utilization Via Enhancing Insulin Signaling in Rats",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62, No.3 pp.139-148, (2003). 

  19. N. W. Schoene, M. A. Kelly, M. M. Polansky, and R. A. Anderson, "Water-Soluble Polymeric Polyphenols from Cinnamon Inhibit Proliferation and Alter Cell Cycle Distribution Patterns of Hematologic Tumor Cell Lines", Cancer Letters, Vol.230, No.1 pp.134-140, (2005). 

  20. G. Singh, S. Maurya, M. P. deLampasona, and C. A. N. Catalan, "A Comparison of Chemic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Studies of Cinnamon Leaf and Bark Volatile Oils, Oleoresins and their Constituents", Food Chem Toxicol, Vol.45, No.9 pp.1650-1661, (2007). 

  21. D. H. Kim, C. H. Kim, M. Kim, J. Y. Kim, K. J. Jung, J. H. Chung, W. G. An, J. W. Lee, B. P. Yu, and H. Y. Chung, "Suppression of Age-Related Inflammatory NF-kappaB Activation by Cinnamaldehyde", Biogerontology, Vol.8, No.5 pp.545-554, (2007). 

  22. H. G. Preuss, B. Echard, M. M. Polansky, and R. Anderson, "Whole Cinnamon and Aqueous Extracts Ameliorate Sucrose-Induced Blood Pressure Elevation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 Am Coll Nutr, Vol.25, No.2 pp.144-150, (2006). 

  23. A. Khan, M. Safdar, M. M. Ali Khan, K. N. Khattak, and R. A. Anderson, "Cinnamon Improves Glucose and Lipids of People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Vol.26, No.12 pp.3215-3218, (2003). 

  24. W. Qidwai, S. R. Alim, R. H. Dhanani, S. Jehangir, A. Nasrullah, and A. Raza, "Use of Folk Remedies among Patients in Karachi, Pakistan", J Ayub Med Coll Abbottabad, Vol.15, No.2 pp.31-33, (2003). 

  25. A. W. ARCHER, "Determination of Cinnamaldehyde, Coumarin and Cinnamyl Alcohol in Cinnamon and Cassia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Chromatogr, Vol.447, No.1 pp.272-276, (1988). 

  26. A. Smith-Palmer, J. Stewart, and L. Fyfe, "Antimicrobial Properties of Plant Essential Oils and Essences Against Five Important Food-Borne Pathogens", Lett Appl Microbiol, Vol.26, No.2 pp.118-122, (1998). 

  27. K. Srinivasan, "Role of Spices Beyond Food Flavoring: Nutraceuticals with Multiple Health Effects", Food Rev Int, Vol.21, No.2 pp.167-188, (2005). 

  28. H. J. Lee, H. J. Lim, and M. H. Lim, "Antioxidant Activity of Acaiberry, Blueberry, Corni, and Mulberry", Kor J Aesthet Cosmetol, Vol.13, No.3 pp.445-452, (2015). 

  29. H. Negishi, J. Xu, K. Ikeda, M. Njelekela, Y. Nara, and Y. Yamori, "Black and Green Tea Polyphenols Attenuate Blood Pressure Increases in Stroke-Prone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 Nutr, Vol.134, No.1 pp.38-42, (2004). 

  30. T. Jurikova, J. Sochor, O. Rop, J. Mlcek, S. Balla, L. Szekeres, V. Adam, and R. Kizek, "Polyphenolic Profile and Biological Activity of Chinese Hawthorn (Crataegus Pinnatifida BUNGE) Fruits", Molecules, Vol.17, No.12 pp.14490-14509, (2012). 

  31. R. Y. Kang, H. J. Choi, J. W. Bak, B. Y. Sim, H. J. Lee, and D. H. Kim, "Comparison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of Euphorbia Supina Rafinesque", J Haehwa Med, Vol.23, No.1 pp.105-114, (2014). 

  32. D. G. Arias, C. M. M. Doria, L. R. Ramos, and H. C. N. Morocho,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e Polyphenol Oxidase Gene in Lulo (Solanum Quitoense Lam.) Var. Castilla", Braz J Plant Physiol, Vol.24, No.4 pp.261-272,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