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능형 가상인간의 공간적 행동을 모사하기 위한 지식구조
Knowledge Structures to Simulate the Spatial Behavior of Intelligent Virtual Human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2, 2020년, pp.230 - 240  

홍승완 (경북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  박종희 (경북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상세계 기반 몰입형 가정교사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상황의 다양성과 사실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공간적 측면에서의 시뮬레이션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가상공간의 모델링과 함께 가상인간들의 지식 및 지능적 사유기능이 필요하다. 먼저 공간의 계층적이고 다면적인 구성과 그에 상응하는 가상인간들의 지식을 모사하기 위한 정보구조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2.5차원 공간분포표현, 복잡한 공간관계표현, 객체표현, 사건들의 시공간적 표현을 위한 네 개의 구조를 각각 개발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표현된 지식을 사용하여 공간적인 이동을 하는데 필요한 가상인간의 공간적 사유 기능을 개발한다. 일반적으로 사건은 힘을 매개로 인접하거나 연결된 다른 객체들에게도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쳐서 다양한 상황들이 펼쳐지며 관련된 가상인간들이 다음 행동을 계획하는 데에 반영된다. 이를 위해 시공간 표현구조 상에 역사적 흐름에 따라 사건들의 전개를 기록한다. 전형적 사건을 구현하여 가상인간의 복잡한 공간속에서의 자주적 행동의 실현가능성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a virtual world-based immersive tutoring system, we would like to develop a simulation in the spatial aspect to maximize the diversity and realism of the situation. This implementation requires the modeling of virtual space as well as the knowledge and intelligent thinking functions of vi...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구현의 목표는 앞서 언급한 정보표현구조, 객체와 공간 모델링 방법, 행동 모델링 등을 통합적으로 사용하여 가상세계 속에서 가상인간들의 공간적 활동을 시뮬레이션 하는데 있다. 기본적으로 CM, IG, SRG와 STG 등의 네 가지의 정보구조들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같은 물리적 세계의 다른 측면들을 상호 보완적으로 표현한다.
  • 본 논문에서는 가상세계의 상황을 구성하는 에이전트들의 행동의 공간적 측면을 모사하는데 필요한 지식 구조와 행동방법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둔다. 먼저 공간적 측면을 표현하기 위한 네 가지 지식구조들 즉, 공간 분포를 2.
  • 이러한 몰입형 교육 시스템의 성패는 가상세계에서 전개되는 교육적 상황들의 다양성과 사실성(fidelity)에 달려있다[5].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육학적 상황들의 공간적 측면에서의 다양성과 사실성을 최대화하는 시뮬레이션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에이전트가 plan을 실현하는 알고리즘을 priority queue 에 기반하여 개발한다. 이러한 지식구조들과 행동 방법을 예제상황에 적용하여 가상인간의 지능적 행동의 실현가능성을 보여준다.

가설 설정

  • IG에서 Dr3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태에 따라 close()/open()을 하게 된다. H1은 Dr3을 열고 L1을 타기 위해 이동을 한다.
  • H1이 BS1으로 가기 위해서는 F2의 level을 BS1의 level(L1)과 같아지도록 먼저 H1이 L1으로 이동해야 한다. H1은 R3에서 F2의 복도로 이동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walk())를 실행한다. 방을 나가기 위해 먼저 Dr3 이라는 공간객체를 통과하기 위해서 open()/close() 기능을 실행해야 한다.
  • 그리고 소재링크를 확인해보면 Bd1과 목적지인 BS1이 함께 G상에 위치한다는 걸 알 수 있다. H1은 소재링크를 검색하며 자신이 현재 속해 있는 공간과의 Level이 근접해 있는 연결된 공간을 찾아 한 층씩 이동하며 G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통된 공간 G까지 Level3에서 Level0으로 단말노드에서 루트로 이동했다면 G에서는 Level0에서 Level1로 역순으로 구체화하여 목적지 S1로 이동을 하면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 Cavazza, F. Charles, and S. Mead, "Emergent situations in interactive storytelling," In G. Lamont (Ed.), Proceedings of the 2002 ACM symposium on applied computing, ACM, pp.1080-1085, 2002. 

  2. R. Figueiredo, A. Brisson, R. Aylett, and A. Paiva, "Emergent Stories Facilitated," In: U. Spierling and N. Szilas (eds), Interactive Storytelling, ICIDS 2008,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Vol.5334,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08. 

  3. R. Hodhod, P. Cairns, and D. Kudenko, "Innovative integrated architecture for educational games: challenges and merits," Transactions on edutainment,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1-34, 2011. 

  4. T. Kim and J. Park, "Authentic Simulation of Spatial Environment in Cyber-Microcosm as the Ultimate Virtual-Reality Context for situated Language Learning," 13th Proc. of Laval Virtual, Laval, France, Apr. 8-11, 2011. 

  5. 한형종, 임철일, "가상현실 기반 교육용 시뮬레이션 설계원리 개발," 교육공학연구, 제36권, 제2호, pp.221-264, 2020. 

  6. T. Gruber, "A translation approach to portable ontologies," Knowledge Acquisition, Vol.5, No.2, pp.199-220, 1993. 

  7. T. Finin, KQML as an agent communication language,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County, 1995. 

  8. J Choi and J Park, "A student directed immersive intelligent tutoring system,"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ITS 2016, Zagreb, Croatia, Jun. 7-10, 2016. 

  9. J Park, "Implementation of an Agent-centric Planning of Complex Events as Objects of Pedagogical Experiences in Virtual World,"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12, No.1, pp.25-43, 2016. 

  10. S. H. Choe, J. H. Park, and S. S. Pyo, "Hierarchical Spatial Relation Based on a Contiguity Graph,"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LLIGENT SYSTEMS, Vol.20, No.9, pp.867-892, 2005. 

  11. 조규명, 시공간 그래프를 이용한 가상현실 속의 상황 표현 방법,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2. 조규명, "가상현실 속의 상황 표현을 위한 시공간 그래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8호, pp.1-12, 2012. 

  13. 박종희, 최준성, "A Situation Simulation Method for Achieving Situation Variability and Authoring Scalability based on Dynamic Event Coup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16, No.1, pp.25-33, 2020. 

  14. 박종희, 최준성, "A real-time simulation mechanism for unlimited variability of situations based on dynamic event coupling and parameterized animation against a background virtual world," Int'l Journal of Information Engineering and Electronic Business, Vol.7, No.2, pp.55-61, 2017. 

  15. J. Park, The Ontology about the Microcosm, Tech. report #9, Kyungpook National Univ, AIMM Lab, 2001. 

  16. Gehrke Ramakrishnan, Database Management Systems, 3rded., McGraw-Hill Co., pp.606-607, 2003. 

  17. 김석연, 연한별, 장윤, "중력 모델을 이용한 시공간 데이터의 시각화," 정보과학회논문지, 제43권, 제2호, pp.135-142, 2016. 

  18. M. Baur, U. Brandes, and M. Gaertler, Drawing the AS Graph in 2.5 Dimensions, Graph Drawing, 2005. 

  19. M. P. Kwan and J. Y. Lee, "Geovisualization of Human Activity Patterns Using 3D GIS: A Time-Geographic Approach," Spatially integrated social science, Vol.27, pp.721-744, 2004. 

  20. Yu-Tao Mo and Seok-Kyoo Kim, "Study of Game Interactive Storytelling Design : Focusing on The Elder Scrolls 5 Skyri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Vol.31, No.4, pp.17-28, 2018. 

  21. 손용균, 김석규,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haracter interaction based storytelling authoring tool,"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31권, 제1호, pp.11-18, 2018. 

  22. F. Charles, M. Lozano, S. Mead, A. F. Bisquerra, and M. Cavazza, "Planning formalisms and authoring in interactive storytelling. In Technologies for interactive digital storytelling and entertainment," TIDSE 03 proceedings Fraunhofer IRB Verlag, 2003. 

  23. 박재우, 가상 세계 거주자의 지각 메커니즘 설계 및 구현,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4. 박종희, 최준성, "A Simulation Method For Virtual Situations Through Seamless Integration Of Independent Events Via Autonomous And Independent Ag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14, No.3, pp.7-16, 2018. 

  25. A. Zook, Stephen Lee-Urban, Mark O. Riedl, Heather K. Holden, Robert A. Sottilare, and Keith W. Brawner, "Automated scenario generation: toward tailored and optimized military training in virtual environments," Proc of Int'l Conference on the Foundations of Digital Games, ACM, 2012. 

  26. A. Shoulson, Francisco M. Garcia, Matthew Jones, Robert Mead, and Norman I. Badler, "Parameterizing Behavior Trees," In Motion In Games, Springer, pp.144-155, 2011. 

  27. M. Kapadia, S. Singh, G. Reinman, and P. Faloutsos, "A behavior-authoring framework for multiactor simulations," Computer Graphics and Applications, Vol.31, No.6, pp.44-55, 2011. 

  28. S. Ji, A knowledge Model for simulating Human-like Behavior of virtual Inhabitant, Tech. report, AIMM Lab., Kyungpook Nat'l Univ., 2007(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