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릿과 성실성이 학업 수행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 동기의 매개효과
Effects of Grit and Conscientiousness on Academic Performance :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0, 2019년, pp.143 - 151  

홍민성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이수란 (백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코칭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장기 목표에 대한 열정과 인내를 의미하는 그릿(Grit)은 학업을 포함한 다양한 수행을 성공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개념적으로 유사한 성실성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릿과 성실성이 자기결정성 동기를 통해 학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35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그릿과 성실성이 모두 학업성적을 예측하였으며 이 때 내적 동기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그릿은 성실성을 통제했을 때도 동일한 매개효과가 나타난 반면, 성실성은 그릿을 통제했을 때 동기 및 학업성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두 개념이 서로 유사한 부분을 공유하지만, 공통적인 부분을 통제했을 때는 그릿이 보다 강력한 동기 및 행동을 유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그릿과 성실성을 비교 관찰하여 그릿에 대한 이해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로서 그릿의 변별성 확립을 위한 그릿 척도의 재정비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it, defined as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is a known personality trait that successfully predicts high performance in various fields. In spite of extant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grit, research has not yet cla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conscientiousness, 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라는 문항을 읽고 내적 동기 4문항(예, “전공 공부가 즐겁기 때문이다“), 확인된 조절 동기 4문항(예, ”전공 공부가 나에게 중요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외적 동기 4문항(예, ”전공 공부는 당연히 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무동기 4문항(예, 전공 공부를 하기는 하지만, 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에 대해 응답 하였다.
  • 그릿 또는 성실성과 학업 성적의 관계에서 자기 결정성 동기(내적 동기, 확인된 조절 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성별과 나이를 통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사개념의 관계에 있는 그릿과 성실성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이 과정에서 두 개념이 서로 다른 자기결정성 동기(Self-Determination Motivation)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그릿과 성실성이 높은 성취를 이끌어내는 메커니즘을 살펴보며, 이를 통해 두 개념의 관련성에 대해 보다 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또한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그릿과 성실성은 서로 상관이 매우 높은 개념이므로, 각자의 고유한 설명력을 살펴보기 위해 상대 변인을 통제할때 각 변인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 또한, 그릿의 효용성을 지지하는 학자들은 포괄적인 상위의 성격 특성인 성실성보다 세부적인 하위의 성격 특성에 해당하는 그릿이 특정 성취의 예견에 더 뛰어날 수 있음을 강조한 바 있다[5, 31]. 본 연구에서 학업 성적은 전체 학업의 특정 부분의 성취에 해당하는 전공 성적으로서 측정하였다. 만약 학생들의 교양 성적이나 이를 포함한 전체 GPA, 기타 학업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해서는 성실성이 그릿보다 더 많은 범주 또는 변량을 설명했을 수도 있다.
  • 교육 장면에 이를 적용한다면, 그릿 또는 성실성이 높은 학생은 모두 좋은 학업 성적을 받겠으나 그 이유가 서로 다를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릿과 성실성이 높은 학업성적이라는 동일한 결과로 이어지지만 그 기저 동기가 다른지 확인하여 두 개념의 차별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그릿이 높은 학생은 전공에 대한 높은 내적 동기를 거쳐, 성실성이 높은 학생은 전공에 대한 높은 확인된 조절 동기를 거쳐 높은 성적으 로 이어질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사개념의 관계에 있는 그릿과 성실성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이 과정에서 두 개념이 서로 다른 자기결정성 동기(Self-Determination Motivation)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그릿과 성실성이 높은 성취를 이끌어내는 메커니즘을 살펴보며, 이를 통해 두 개념의 관련성에 대해 보다 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릿과 성실성의 차이를 다룬 선행연구들이 존재하나[3,5,7,8], 그릿과 성실성이 가진 메커니즘의 차이 여부를 검증하는 연구는 아직까지 수행된 적이 없다.
  • 이상으로 그릿과 성실성이 자기결정성 동기를 거쳐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그릿과 성실성은 모두 학업 성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을 지지하였고, 그릿은 예상대로 자기결정성 동기 중 내적 동기를 거쳐 학업 성적으로 이어짐을 확인하여 가설 2가 지지되었다.
  • 종합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그릿과 성실성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이 각기 다른 자기결정성 동기(내적 동기, 확인된 조절)에 의해 매개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러한 가설을 연구모형으로 나타내면(Figure 1, 2) 그릿은 확인된 조절이 아닌 내적 동기를 매개하여 높은 학업성적으로 이어지며, 성실성은 내적 동기가 아닌 확인된 조절 동기를 매개하여 학업성적으로 이어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릿이란 무엇인가? 장기 목표에 대한 열정과 인내를 의미하는 그릿(Grit)은 학업을 포함한 다양한 수행을 성공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개념적으로 유사한 성실성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릿과 성실성이 자기결정성 동기를 통해 학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릿이 있는 이들의 장점은 무엇인가? 그릿은 ‘꾸준한 노력(Perseverance of Effort)’과 ‘관심의 지속성(Consistency of Interest)’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릿을 가진 사람은 고난과 역경, 실패에도 불구하고 해당 분야에 대한 노력과 흥미를 오랜 기간 유지하는 힘이 있다[5]. 또한 그릿이 있는 이들은 성취를 향한 길을 마라톤으로 바라보며, 장기적 스태미너가 그릿이 높은 사람의 장점이다[5]. 그릿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수행과 역할 유지를 예측한다.
교과과정 프로그램의 대상으로 논의된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그릿에 대한 연구는 노력, 끈기, 실패하고도 일어서는 의지, 집념과 열정을 가진 모든 사람들이 성공할 수 있다고 북돋아주는 한편 게으른 천재들에게는 경각심을 일깨운다. 또한 그릿은 충분히 개발될 수 있는 특성이라고 주장되기에 지능 및 환경과 같은 통제할 수 없는 요인이 아닌, 개인 노력 여하에 따른 발전 가능성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개념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미국에서는 그릿이 21세기 핵심역량으로 선정되어 교과과정 프로그램의 대상으로서 논의된 바 있고[2], 교육열이 뜨거운 한국에서는 그릿을 소개한 Angela Duckworth의 책이 2016년 발간 당시 베스트셀러에 올랐으며, 2019년에는 100쇄를 돌파하여 화제가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 Duckworth & A. Duckworth. (2016). Grit: The power of passion and perseverance. New York, NY: Scribner. DOI:10.1111/peps.12198 

  2. Shechtman, N., DeBarger, A. H., Dornsife, C., Rosier, S., & Yarnall, L. (2013). Promoting grit, tenacity, and perseverance: Critical factors for success in the 21st century. U.S. Department of Education, Office of Education Technology. 

  3. M. Crede, M. C. Tynan & P. D. Harms. (2017). Much ado about grit: A meta-analytic synthesis of the grit litera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13(3), 492. DOI:10.1037/pspp0000102 

  4. T. L. Kelley. (1927). Interpretation of Educational Measurement. Yonkers-on-Hudson, NY: World Book. 

  5. A. L. Duckworth, C. Peterson, M. D. Matthews & D. R. Kelly.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 DOI:10.1037/0022-3514.92.6.1087 

  6. E. E. Noftle & R. W. Robins. (2007). Personality predictors of academic outcomes: big five correlates of GPA and SAT scor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3(1), 11. DOI: 10.1037/0022-3514.93.1.116 

  7. J. Reed, B. L. Pritschet & D. M. Cutton. (2013). Grit, conscientiousness, and the transtheoretical model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8(5), 612-619. DOI:10.1177/1359105312451866 

  8. Z. Ivcevic & M. Brackett. (2014). Predicting school success: Comparing conscientiousness, grit,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52, 29-36. DOI:10.1016/j.jrp.2014.06.005 

  9. L. Eskreis-Winkler, A. L. Duckworth, E. P. Shulman & S. Beal. (2014). The grit effect: Predicting retention in the military, the workplace, school and marriage. Frontiers in psychology, 5, 36. DOI:10.3389/fpsyg.2014.00036 

  10. A. L. Duckworth & P. D. Quinn.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 (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1(2), 166-174. DOI:10.1080/00223890802634290 

  11. C. Robertson-Kraft & A. L. Duckworth. (2014). True grit: Trait-level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predicts effectiveness and retention among novice teachers. Teachers College record, 116(3). 

  12. B. W. Roberts, J. J. Jackson, J. V. Fayard, G. Edmonds & J. Meints. (2009). Conscientiousness. In M. R. Leary & R. H. Hoyle (Eds.),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social behavior (pp. 369-381). New York, NY, US: The Guilford Press. DOI:10.5860/choice.47-3482 

  13. J. K. Seo & K. H. Lee. (2017). The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Chernyshenko Conscientiousness Scale(K-CCS).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31(4). 51-77. DOI:10.21193/kjspp.2017.31.4.003 

  14. S. R. Lee & Y. W. Sohn. (2013). What are the strong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 Deliberate practice and Grit.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10(3). 349-366. DOI: 10.16983/kjsp.2013.10.3.349 

  15. R. M. Ryan & E. L. Deci.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1), 68. DOI:10.1037//0003-066x.55.1.68 

  16. E. L. Deci, R. J. Vallerand, L. G. Pelletier & R. M. Ryan. (1991). Motivation and education: The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Educational psychologist, 26(3-4), 325-346. DOI:10.1080/00461520.1991.9653137 

  17. F. Guay, C. F. Ratelle & J. Chanal. (2008). Optimal learning in optimal contexts: The role of self-determination in education. Canadian Psychology/Psychologie canadienne, 49(3), 233-240. DOI:10.1037/a0012758 

  18. F. Guay, C. F. Ratelle, A. Roy & D. Litalien. (2010). Academic self-concept, autonomous academic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Mediating and additive effects.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6), 644-653. DOI:10.1016/j.lindif.2010.08.001 

  19. Y. J. Ryu & S. J. Yang. (2017). On the Mediating Effects of Grit and Prosocial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vs. Prosocial Motiva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30(4), 93-115. 

  20. S. Y. Han & Y. H. Park. (2018). Differences in Middle School Students' Behavioral Control and Self-Determination by Grit Typ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30(1), 73-101. DOI: 10.28980/KAEM.20187.30.1.4 

  21. J. Y. Lee & H. S. Jang. (2013). Effects of Conscientiousness and Perfectionism on Academic Engagement: Mediation Effects of Self-regulation.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7(2), 127-142. DOI:10.21193/kjspp.2013.27.2.008 

  22. D. K. Ingledew, D. Markland & K. E. Sheppard. (2004). Personality and self-determination of exercise behaviou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6(8), 1921-1932. DOI:10.1016/j.paid.2003.08.021 

  23. L. R. Goldberg. (1999). A broad-bandwidth, public-domain, personality inventory measuring the lower-level facets of several five-factor models. In I. Mervielde, I. J. Deary, F. De Fruyt, and F. Ostendorf (Eds.), Personality psychology in Europe (7, pp. 7-28). Tilburg, The Netherlands: Tilburg University Press. 

  24. T. Y. Yoo, K. B. Lee & M. C. Ashton. (2004).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HEXACO Personality Inventory.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8(3), 61-75. DOI:10.1207/s15327906mbr3902_8 

  25. F. Guay, R. J. Vallerand & C. Blanchard. (2000). On the assessment of situational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The Situational Motivation Scale (SIMS). Motivation and emotion, 24(3), 175-213. DOI:10.1023/a:1005614228250 

  26. M. S. Hong, Y. S. Jung, & Y. W. Sohn. (2016). Validation of the Korean Passion Scale.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30(2), 1-26. DOI:10.21193/kjspp.2016.30.2.001 

  27. A. F. Hayes. (2013). An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Guilford Press. DOI:10.1111/jedm.12050 

  28. K. J. Preacher & A. F. Hayes. (2004).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36, 717-731. DOI:10.3758/bf03206553 

  29. K. D. Burton, J. E. Lydon, D. U. D'alessandro & R. Koestner. (2006). The differential effects of intrinsic and identified motivation on well-being and performance: prospective, experimental, and implicit approaches to self-determination theor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1(4), 750. DOI:10.1037/0022-3514.91.4.750 

  30. S. R. Lee & Y. W. Sohn. (2017). Effects of gri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related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45(10), 1629-1642. DOI:10.2224/sbp.6400 

  31. S. V. Paunonen & M. C. Ashton. (2001). Big five factors and facets and the prediction of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1(3), 524. DOI:10.1037//0022-3514.81.3.524 

  32. J. A. D. Datu, J. P. M. Valdez & R. B. King. (2016). Perseverance counts but consistency does not! Validating the short grit scale in a collectivist setting. Current Psychology, 35(1), 121-130. DOI:10.1007/s12144-015-9374-2 

  33. J. A. D. Datu, M. Yuen & G. Chen. (201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riarchic Model of Grit Scale (TMGS): Evidence from Filipino undergraduate stud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14, 198-205. DOI:10.1016/j.paid.2017.04.012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