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조무사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Mental Health of Nurse's Aid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4, 2020년, pp.359 - 367  

김미진 (신한대학교 간호대학) ,  최명희 (위덕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조무사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수도권 지역에 근무하는 간호조무사 227명이었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9년 10월 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조무사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서적 안정성, 정서지능, 직무스트레스, 주관적 신체건강인식이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64.6%였다. 이러한 결과로 간호조무사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하여 정서적 안정성, 정서지능, 직무스트레스, 주관적 신체건강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mental health of nursing aides. The subjects were 227 nursing aides working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outh Korea,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October 2019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ed that th...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앞서 간호조무사의 정신건강, 정서적 안정성, 정서지능, 직무스트레스 및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고, 그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요양 병원과 의원에 종사중인 간호조무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영향요인과 요인별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추후 간호조무사들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본 연구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간호조무사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영향요인과 요인별 영향정도를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대상자들의 정신건강, 정서적 안정성, 정서지능 및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 당시 타당도 검증이 완료된 도구들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조무사의 정신건강, 정서적 안정성, 정서지능 및 직무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그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의원과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조무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조무사들의 정신건강과 관련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중재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의원과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조무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조무사들의 정신건강과 관련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중재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75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왜도는 3 미만의 절대값, 첨도는 7 미만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경우에 각 일변량의 정규분포성을 확보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21], 본 연구에서는 권장되는 절대값을 벗어나는 값이 없어 정규 분포를 가정할 수 있다. 또한 상관계수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업무의 특성과 근무환경을 고려한다면 어떤 방안이 필요하다고 보는가? 또한 높은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으로 우울, 불안을 비롯한 정신건강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6]. 따라서 간호조무사가 제공하는 간호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그들의 정신건강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간호조무사의 정신건강 실태를 파악한 선행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간호인력이란 어느 범위까지를 일컫는가? 간호인력이란 면허를 가진 간호사를 비롯하여 간호업무와 관련하여 실무에 참여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보조인력을 모두 포함한다. 국내에서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가 간호인력에 속한다[1]. 간호조무사는 의료법에 의거 하여 간호와 관련한 보조업무에 종사할 수 있고, 간호조무사 및 의료유사업자에 관한 규칙에 따라 진료보조 업무를 행할 수 있다.
국내의 간호조무사는 어떤 업무를 수행 가능한가? 국내에서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가 간호인력에 속한다[1]. 간호조무사는 의료법에 의거 하여 간호와 관련한 보조업무에 종사할 수 있고, 간호조무사 및 의료유사업자에 관한 규칙에 따라 진료보조 업무를 행할 수 있다. 간호조무사는 의료인이 아니지만, 의료기관에서 의사와 간호사의 감독 하에 간호업무와 각종 의료검사, 투약과 관련된 진료업무를 보조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Y. Kim, J. Y. Lee & H. Kang. (2014). Impact of Nurse, Nurses' Aid Staffing and Turnover Rate on Inpatient Health Outcom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1), 21-30. DOI : 10.4040/jkan.2014.44.1.21 

  2. J. H. Cho. (2015). A Study on the Limit of Delegated Legislation in Medical Law : Focus on the Regulation of the Nurse's Aide. Korean Journal of Medicine and Law, 23(2), 91-112. DOI : 10.17215/kaml.2015.12.23.2.91 

  3.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and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20).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s. [Online].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4&tblIdDT_HIRA4A&vw_cdMT_ZTITLE&list_id354_MT_DTITLE&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4.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20). Medical Service Act. [Online]. http://www.law.go.kr/lsSc.do?tabMenuIdtab18§ion&eventGubun060101&query%EC%9D%98%EB%A3%8C%EB%B2%95#liBgcolor20 

  5. M. H. Cho & K. H. Kim. (2016). Perceptions of Adequacy and Job Performance of Nurse Assistant Nursing Jobs according to Registered Nurses and Nurse Assistants in Geriatric Hospitals, and Caregiv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2(4), 384-395. DOI : 10.11111/jkana.2016.22.4.384 

  6. S. Yoon, J. Hwang, E. Park & M. Choe. (2019). Factors Affecting the Mental Health of University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0(6), 1215-1224. DOI: 10.9728/dcs.2019.20.6.1215 

  7. S. R. Kim, H. Y. Kim & J. H. Kang. (2014). Effects of Type D Personality on Compassion Fatigue, Burnout, Compassion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3), 272-280. DOI : 10.11111/jkana.2014.20.3.272 

  8. H. K. Park & E. S. Kwon. (2016). Analysis of National Mental Hospital nurses' Enneagram Personality Types, Stress, and Developmental Level. Journal of Enneagram Studies, 13(2), 29-54. 

  9. D. S. Ahn. (2015). A Study on the Effect of Job Stress among Foreign Casino Dealer on the Mental Health -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ity Type-. Journal of Service Research, 13(1), 71-90. 

  10. M. H. Choe & H. Park. (2018). Factors related to Mental Health of Correctional Officers: Focusing on Personality Type and Resilience. The Correction Welfare Society of Korea, 54(1), 87-110. 

  11. J. Lee & U. Lee. (2019).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Psychological Burnout: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4), 493-512. DOI : 10.22251/jlcci.2019.19.4.493 

  12. J. Park & C. Ha. (2018).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of Teacher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 569-582. 

  13. Y. Lee & S. Cho. (2016).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care Teachers on Mental Health according to the Classroom Characteristics: A Focus on Multicultural Classrooms, General Classrooms, and Inclusive Classroom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1(4), 597-618. DOI : 10.20437/KOAECE21-4-25 

  14. D. Goldberg & P. Williams. (1988). A user's guide to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London: NFER. 

  15. J. I. Park, Y. J. Kim & M. J. Cho. (2012). Factor Structure of the 12-Item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in the Korean General Adult Populat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51(4), 178-184. DOI : 10.4306/jknpa.2012.51.4.178 

  16. H. S. Lee. (2017). A study on mediating effects of irrational beliefs and moderating effect of self leadership in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ig 5) and marital satisfaction. Doctoral dissertation. Seoul Venture University, Seoul. 

  17. C. Wong & K. S. Law.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3), 243-274. DOI : 10.1016/s1048-9843(02)00099-1 

  18. H. M. Roh, T. Y. Yoo & K. H. Shin. (2007).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Labor Strategy on Job-Related Attitudes: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al Accomplishment.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4), 529-555. DOI : 10.24230/ksiop.20.4.200711.529 

  19. S. J. Chang et al. (2005). Standardiz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Job Stress Questionnair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4), 297-317. 

  20. T. Y. Won & S. W. Jung. (2013). SPSS PASW Statistics 18.0. Seoul : Hannarae Publishing Co. 

  21. B. R. Bae. (2017).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24-principles and practice-. Seoul : Chungram. 

  22. L. C. Hamilton. (1992). Regression with Graphics: A Second Course in Applied Statistics, Pacific Grove. CA : Brooks/Cole. 

  23. J. P. Yu. (2012).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Seoul : Hannarae Publishing Co. 

  24. M. Kim & H. Yang. (2019).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related to the Working Environment, and Job Stress of Long-term Care Institution Caregiver.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12), 951-961. DOI : 10.35873/ajmahs.2019.9.12.084 

  25. M. Hong & H. Jang (2019).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the Korean Crime-victim Support Police Officers: Compassion Satisfaction-Compassion Fatigue and Occupational Stress. Journal of Korean Criminological Association, 13(3), 99-122. DOI : 10.29095/JKCA.13.3.5 

  26. E. Kim & S. Cho. (2014). A Study on the Coping Strategy for Job Stress from the Personality Type of Security Agents. Korean Security Science Review, 41, 263-292. 

  27. M. K. Kim & J. G. Kim. (2012). A Study on the Coping Strategy for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rom the Personality Type of Hotel Employee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6(1), 515-533. 

  28. E. Yu. (2009). Relationships between Stress-Coping Schemes and Mental Health for Health Department and Non-Health Department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9(12), 718-729. DOI : 10.5392/jkca.2009.9.12.718 

  29. H. Y. An, S. S. Oh & G. S. Han. (2012). Factors that Predict Trauma-related Symptoms & Mental Health among Women Acquitted from Prostitution in Rehabilitation Agenc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1(1), 271-288. DOI : 10.15842/kjcp.2012.31.1.014 

  30. T. Choi & Y. Lee. (2015). Latent Mean Analysis among Stress of College Life, Avoidance-Oriented Coping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Gender. Journal of Future Social Work Research, 6(2), 63-88. 

  31. Y. Lee & S. Cho. (2016).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care Teachers on Mental Health according to the Classroom Characteristics: A Focus on Multicultural Classrooms, General Classrooms, and Inclusive Classroom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1(4), 597-618. DOI : 10.20437/koaece21-4-25 

  32. S. Yoo et al. (2019).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among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xiety and Mood, 15(2), 84-93. 

  33. J. Lee & Y. Kim. (2018). Analysis of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According to Amount of Daily Work and Leisure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Health Status: Focused on 2016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7(6), 73-81. 

  34. S. Choi & M. Park. (2017). Convergent Effect of Psychological Health and Physical Health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Echo Generation: Using Korea Health Panel Data 2013.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6), 283-295. DOI : 10.12799/jkachn.2017.28.2.11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