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중심학습 (Problem-Based Learning) 효과 측정 도구 개발: Rasch 분석을 중심으로
Developing Measurement of Problem-Based Learning Effectiveness: Applying Rasch Analysi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3, 2020년, pp.115 - 125  

한상우 (광주여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최성열 (광주여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최인묵 (광주여자대학교 항공서비스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사회에서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을 갖춘 인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문제중심학습은 교육현장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새로운 교수법이다. 이러한 교수법 적용에 따른 학습 효과를 수업 현장에서 간편하고 정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하였다. 기존 문제중심학습 효과 측정 연구에 활용된 문항을 수집하고,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해 도구 개발을 위한 22개 예비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 문항을 이용하여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 124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후 Rasch 분석을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124명의 학생 중 11명이 부적합, 22개 예비 문항 중 1개 문항이 부적합 판정되어 제외하였다. 또한 본 도구 구성을 위한 최적 척도는 4점 척도로 확인되었으며, 대상자와 문항에 대한 분리 신뢰도는 우수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문제중심학습의 효과 측정도구가 교육 현장에서 학습효과 측정 및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 적극 활용되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blem-Based Learning is the most commonly used teaching method in the field of education as the demand for talented people with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has increased in recent societ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tool that can simply and regularly measure the learning effects of apply...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다음의 문제를 검증하여 문제중심학습 측정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를 통해 문제중심학습의 학습효과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향후 대학 교육 현장에서 문제중심학습 교육에 따른 학습 효과 검증에 적극 활용되길 기대한다.
  • 본 연구에서 델파이 과정을 통해 전문가 의견을 들어 의미가 중복되는 문항들을 통합하여 각 문항들이고 유의 반응을 추정하는 국소독립성을 확립하였다 [29,30]. 각 문항의 내용 타당성 확보를 위해 내용 타당도비율을 분석하여 부적합 문항을 삭제하였다[22].
  • 문제중심학습의 절차에 대한 이견은 있겠으나 일반적으로 학습모듈의 문제를 중심으로 팀 구성, 문제 탐색, 정보 탐색, 문제 설정, 추가 정보 탐색, 가설 검증, 문제 해결 아이디어 및 보완, 학습 성과 평가, 요약 및 검토의 과정은 포함된다 [19,21]. 본 연구의 학업 수행 능력의 능력 단위들은 이러한 문제중심학습의 절차를 중심으로 습득할 수 있는 능력으로 구성하고자 노력하였다.
  • 하지만 이 측정도구의 문제중심학습에 따른 학업수행 능력과 협동학습 능력의 구성과 용어 선택에 있어서 연구자에 따라 이견은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의 연구자들은 대학의 교육 현장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 효과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문제중심학습의 과정과 성과를 고려하여 구성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대학 교육 현장의 문제중심학습을 중심으로 학습효과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가설 설정

  • Rasch 분석은 기본적으로 대상자의 능력과 문항의 난이도가 같을 때 정답할 확률이 50%라고 가정하고, 두 로지스틱 값 사이의 간격과 대상자의 반응을 비교한다 [36]. 이러한 이론적 전제하에 문항 적합성 판정은 문항의 난이도와 유사한 능력의 대상자가 다수의 응답인 정답에 응답할 것을 가정한다. 따라서 내적합 지수의 평균 자승 잔차 값은 문항 난이도와 유사한 능력의 대상 자 반응을 민감하게 분석한다[26,31,3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중심학습은 무엇인가? 다양한 프로젝트 및 주제 중심 교수법 중 문제중심 학습(Problem-Based Learning)은 1960년대 중반 캐나다의 McMaster 의과대학에서 개발되어 의학뿐만 아 니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전문영역에서 적용 및 발전해왔다[4,5]. 문제중심학습은 학습 의 주체가 학습자로 전통적인 강의방식과 비교하면 혁명적인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교육방식이다. 이 교수학 습방법은 교육현장의 혁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최근 고등교육현장에서 강조되는 것은 무엇인가? 이는 다양한 교수-학습모형을 기반으로 한 탐구학습, 극화학습, 프로젝트 및 주제 수업 등을 통해 계발할 수 있다[2]. 이에 최근 고등교육현장에서는 학생이 스스로 문제를 찾고 정보탐색과 토론과정을 통해 사고력, 판단력, 문제해결능력, 창의력과 같은 고등사고 기 능을 개발하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활용이 강조되고 있다[3].
문제중심학습이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이러한 교수법을 통해 교수자는 비구조화된 문제에 학습을 위한 핵심내용과 맥락을 구성함과 동시에 학습 촉진을 위한 교육방식에 대한 고민을 지속하게 되며, 학습자는 제시된 문제를 통해 많은 정보와 지식을 다루며 소집단 활동과 함께 최선의 해결책을 고안함으로서 정보화 시대에 창의적 문제해결자로 성장할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학생을 양성하는 교육 목표를 제시하고 있어, 문제중심학습이 교육현장에 적용될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S. W. Ree & Y. M. Koh. (2017). The Aims of Education in the Era of AI.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30(6), 341-351. 

  2. D. J. Treffinger, S. G. Isaksen & Stead-Dorval, K. B. (2005). Creative problem solving: An introduction. Waco : Prufrock Press Inc.. 

  3. C. S. Park, S. H. Park & S. Y. Jeong. (2010). Research on applicability of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to a course in University.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3(1), 23-37. 

  4. C. H. Kim & S. G. Jeon. (2018). Problem-Based Learning for Enhancing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 Two Cases of Higher Education in. Korean Journal of Resources Development, 21(4), 299-325. 

  5. S. J. Chae. (2005).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tudent assessment in problem based learning : focused on the case of A medical college.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6. H. J. Lee, S. H. Im & S. M. Kang. (2019). Implications for Innovation in Higher Education from Minerva Schools.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5(2), 59-84. 

  7. S. Glen & K. Wilkie. (2017). Problem-based learning in nursing: A new model for a new context. London :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8. M. Shon & J. M. Ha. (2008).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4(3), 225-251. 

  9. E. H. Yew & K. Goh. (2016). Problem-based learning: An overview of its process and impact on learning.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2(2), 75-79. 

  10. J. S. Shin. (2004).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Effect of Collaborative Learning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of Medical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11. S. H. Kim, O. J. Kim, E. H. Park & J. Y. Shin. (2006). Does PBL improve Creativit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5(3), 285-297. 

  12. S. Y. Jung & E. K. Lee. (2006). Educational Needs of Nursing Students about Program Outcome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0), 1-25. DOI : 10.22251/jlcci.2017.17.10.1 

  13. Y. Y. Hwang, M. S. Chu & C. S. Park. (2007). The Effects of Problem Based Learning(PBL) in Nursing Students Studying through PBL Curriculu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2), 155-161. 

  14. J. Y. Park & A. J. Woo. (2017). A meta-analysis on the learning effects in problem based learning(PBL).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1), 69-93. DOI : 10.22251/jlcci.2017.17.11.69 

  15. S. E. Lee. (2003).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BL(Problem-Based Learning) Module in Maternity Nursing Based on Clinical Ca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9(1), 81-93. 

  16. H. S. Kim, I. S. Ko, W. H. Lee, S. Y. Bae & J. O. Shim. (2004). Evalu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in an Undergraduate Nursing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ren Health Nursing, 10(4), 395-405. 

  17. W. S. Lee, S. H. Park & E. Y. Choi. (2008). Development of a Korean Problem Solving Process Inventory fo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15(4), 548-557. 

  18. C. Y. Lee. et al. (2008). Evaluation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in community health nursing.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4(4), 1-8. 

  19. J. L. F. Choy, G. O'Grady & J. I. Rotgans. (2012). Is the Study Process Questionnaire (SPQ) a good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Examining the mediating role of achievement-related classroom behaviours. Instructional Science, 40(1), 159-172. 

  20. P. Zeegers. (2002). A revision of the Biggs' study process questionnaire (R-SPQ). Higher Education Research & Development, 21(1), 73-92. 

  21. B. R. Belland, B. F. French & P. A. Ertmer. (2009). Validity and problem-based learning research: A review of instruments used to assess intended learning outcomes.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Problem-based learning, 3(1), 59-89. 

  22. C. H. Lawshe.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DOI : 10.1111/j.1744-6570.1975.tb01393.x 

  23. L. H. Ludlow & S. M. Haley. (1995). Rasch model logits: Interpretation, use, and transformatio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5(6), 967-975. DOI : 10.1177/0013164495055006005 

  24. T. G. Bond & C. M. Fox. (2001). Applying the Rasch Model: Fundamental Measurement in the Human Sciences.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5. A. Kjellberg, L. Haglund, K. Forsyth & G. Kielhofner. (2003). The measurement properties of the swedish version of the assessment of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skills.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17(3), 271-277. DOI : 10.1046/j.1471-6712.2003.00225.x 

  26. A. L. Nilsson, K. S. Sunnerhagen & G. Grimby. (2005). Scoring alternatives for FIM in neurological disorders applying Rasch analysis. Acta neurologica Scandinavica, 111(4), 264-273. DOI : 10.1111/j.1600-0404.2005.00404.x 

  27. J. M. Linacre. (2002). Optimizing rating scale category effectiveness. Journal of Applied Measurement, 3(1), 85-106. 

  28. P. W. Duncan, R. K. Bode, S. M. Lai & S. Perera. (2003). Rasch analysis of a new stroke-specific outcome scale: the Stroke Impact Scal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4(7), 950-963. DOI : 10.1016/S0003-9993(03)00035-2 

  29. R. K. Hambleton. (1991). Fundamentals of item response theory (Vol. 2).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30. F. M. Lord, M. R. Novick & A. Birnbaum. (1968). Statistical theories of mental test scores. Oxford, England: Addison-Wesley. 

  31. V. L. Handa & R. W. Massof. (2004). Measuring the severity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sing the Incontinence Impact Questionnaire. Neurourology and Urodynamics, 23(1), 27-32. DOI : 10.1002/nau.10163 

  32. B. D. Wright & J. M. Linacre. (1992). Combining and splitting categories. Rasch Measurement Transactions, 6(3), 233-235. 

  33. J. S. Lee, C. H. Yi, K. Y. Chang & H. C. Kwon. (2007). The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Evaluation Tools for Persons With Stroke Out-patient by Using Rasch Analysi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5(1), 1-11. 

  34. J. A. Lee, C. H. Yi, S. Y. Park & S. J. Hwang. (2006). Application of Rasch Analysis to the Korean Berg Balance Scale. Physical Therapy Korea. 13(3), 49-56. 

  35. D. G. Hong, J. S. Lee, S. K. Kim & B. J. Jeon. (2013). The Development of Swallowing Function Test of Stroke Victims Using a Rasch Analysi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1(4), 71-89. DOI : 10.14519/jksot.2013.21.4.07 

  36. C. MacKnight & K. Rockwood. (2000). Rasch analysis of the hierarchical assessment of balance and mobility (HABAM).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53(12), 1242-1247. DOI : 10.1016/S0895-4356(00)00255-9 

  37. J. Funk, C. Fox, M. Chan & K. Curtiss. (2008).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Empathic Attitudes Questionnaire using classical and Rasch analyse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9(3), 187-196. DOI : 10.1016/j.appdev.2008.02.005 

  38. K. Y. Park. (2014). Applying Rasch Analysis for Validation of School Function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3), 269-276. DOI : 10.5392/JKCA.2014.14.03.269 

  39. T. Bond & C. M. Fox. (2015). Applying the Rasch model: Fundamental measurement in the human sciences. London: Routled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