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재생 참여 주체로서 도서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of Library in Urban Regeneration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1 no.1, 2020년, pp.89 - 113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지윤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재생사업에서 도서관은 기초생활인프라 중 하나로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할 시설이다. 단순한 기초생활인프라로서의 의미를 넘어 도서관이 도시재생의 참여 주체로서 그 기능과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존 도시재생 사업에서 도서관들의 역할 및 성격, 참여형태을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 관련 전략계획의 내용에서 도서관과 관련된 내용을 조사하고, 도시재생 참여 주체로서의 도서관의 역할과 참여형태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재생의 도서관이 향후 도시재생 참여 주체로서의 그 역할과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도시재생 내 도서관은 주거환경의 질 제고, 도시 활력증진, 생활밀착형 문화적·교육적·사회/복지적 역할, 지역 내 커뮤니티 허브로서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도서관의 참여형태는 크게 지역·지리적 특화도서관, 다양한 서비스와 결합한 하이브리드 도서관, 지역사회 협력과 연계를 기반으로 한 도서관, 주민 참여를 기반으로 한 지역 커뮤니티 허브형 도서관으로 구분해 볼 수 있었다. 향후 도서관은 도시재생의 참여 주체로서 기대되는 5가지 역할을 바탕으로 보다 적극적인 역할 변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서관이 도시재생 거점시설로서 그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도서관 서비스의 주체인 사서, 서비스, 프로그램 등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논의가 도시재생 계획 수립시에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braries are one of the essential living infrastructures in urban regeneration. Beyond its meaning as a basic living infrastructure, it is necessary to first understand the role, nature and forms of participation in exist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order for libraries to perform their functi...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현재 추진된 또는 추진되고 있는 국내의 도시재생 전략계획에서 도서관과 관련된 내용을 면밀하게 조사하여 연구되었다는 차별점이 존재한다. 또한, 건축학의 개념에서 논의가 아닌 문헌정보학 관점에서 도시재생에서 도서관의 역할과 그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특히, 도시재생사업이 국가 주요사업으로서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 내 도서관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어떠한 역할과 형태로 참여하고 있는지를 탐구하여, 향후 도시재생 참여 주체로서 도서관의 역할은 무엇인지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 또한, 도시재생 전략계획 내 도서관의 역할·참여형태․특징 등을 확인함으로써 지역의 정체성을 구축하고,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활동과 체험의기회를 제공하는 도서관의 지속가능한 역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사실만으로도 도시재생 계획 추진 시 도서관은 지역사회 내 지적․문화적 거점으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실제 도시재생 전략계획에서 도서관과 관련된 내용을 조사하여, 도서관이라는 시설이 단순히 기초생활인프라로서가 아닌 도시재생에 있어 가지고 있는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시재생 전략계획 내 도서관의 역할·참여형태․특징 등을 확인함으로써 지역의 정체성을 구축하고,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활동과 체험의기회를 제공하는 도서관의 지속가능한 역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현 도시재생사업에서 도서관의 역할과 참여형태를 살펴보고, 향후 도서관이 도시재생의 참여주체로서 기대되는 역할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 및 사례연구를 통해 국내외 도시 재생 전략계획 및 사업사례에서 나타나고 있는 도서관 관련 추진 내용을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도시재생사업에서의 도서관이 가지고 있는 의의, 역할, 참여형태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고, 향후 도서관이 도시재생 참여 주체로서 수행해야할 근본적인 역할과 나아갈 방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 및 사례연구를 통해 국내외 도시 재생 전략계획 및 사업사례에서 나타나고 있는 도서관 관련 추진 내용을 탐구하였다.
  • 또한, 건축학의 개념에서 논의가 아닌 문헌정보학 관점에서 도시재생에서 도서관의 역할과 그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특히, 도시재생사업이 국가 주요사업으로서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 내 도서관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어떠한 역할과 형태로 참여하고 있는지를 탐구하여, 향후 도시재생 참여 주체로서 도서관의 역할은 무엇인지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 지역거점시설은 도시기본계획의 소생활권이면 공공 주체로 낙후지역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하며, 대규모, 서비스 위계(고차), 대규모복합시설(도시커뮤니티센터)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마을단위시설은 마을(지속가능한 신도시계획기준 상 근린권역)로 공공 투입을 우선하나민간을 고려하는 방향에서 아파트 수준의 편의․복지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마을단위시설의 특징은 소규모, 서비스 위계(저차), 소규모 다기능시설(마을커뮤니티센터) 등이 해당된다 (김유란 202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재생사업이 기존의 도시정비사업과 구별되는 특징은 무엇인가? 최근 전국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이 기존의 도시정비사업과 구별되는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논의되고 있다. 첫째는 도시재생이 단순히 지역의 주거환경개선과 같은 물리·환경적 개선을 넘어, 쇠퇴한 도심 또는 기성 시가지의 경제·사회·문화․환경적 가치 회복 등 종합적인 활성화를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는 점이다(최조순, 김태영, 김종수 2011; 박진수, 김기수 2013). 둘째로 도시재생사업은 국가, 지방정부, 건설사, 전문가 중심이 아닌 당사자인 주민 참여 사업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역주민들의 필요에 따른 자율적 계획과 생활 속에서 지속되는 추진 노력을 통해 직접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든다는 의미이다. 셋째는 기존 사업이 정부 정책과 제도가 규정한 절차를 바탕으로 사회 각 부분과 다양한 주체간의 공통적 이해관계를 조정하는데 한계를 가졌다면, 도시재생사업은 해당 지역의 주체들이 긴밀히 협력하는 거버넌스가 핵심적인 사안으로 다루어지고 있다(박진수, 김기수 2013; 박인석, 염철호, 차주영 2009). 다시 말해,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비영리단체, 지역주민과 이들이 참여하는 추진협의회 등 지역의 다양한 주체들의 참여와 네트워크 협력체제 하에 이루어지는 개발이라고 할 수 있다(박인석, 염철호, 차주영 2009).
현재의 도서관이 기초 생활 인프라 시설에 해당하는 것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현재 도서관은 도시재생에서 기초생활인프라 시설에 해당한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도서관이 도시재생 시에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위해 필수적으로 공급해야하는 생활시설로 고려된다는 것이다. 도시재생사업이 전국적으로 추진되고, 해당 사업을 통해 새로운 도서관들이 지역사회에 설립됨에 따라, 도서관이 도시 재생의 참여 주체로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도시재생에 참여하는 도서관의 참여형태와 특성은 어떠한지, 특히 향후에는 어떤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기초생활인프라는 무엇인가? 한편, 기초생활인프라는 ‘도시재생기반시설 중 도시주민의 생활편의를 증진하고 삶의 질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시설’로 정의한다(도시재생법 제2조 제 11항). 각 지역은 생활권 규모에 따라 일정 수준의 기초생활인프라를 갖추어야 하며, 그 기준은 국가도시재생기본방침을 통해 제시하고있다(<표 3> 참조).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rban Policies I Want to Live for Improving Urban Competitiveness. Sejong: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 Kim, Moo-jin and Young-sook Han. 2017. 2025 Jinju City Urban Regeneration Strategy Plan. Jinju: Jinju. 

  3. Kim, Min-hyuk. 2016. A Study on the Education Program for Reinforcing Resident Competence in Urban Regeneration. Ph. D. diss., Cheongju University Graduate School. 

  4. Kim, So-yeon and Yong-seung Kim. 2018. "Urban Regeneration and the Role of Small Libraries: Based on Japanese Public Libraries."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Conference, 38(1): 338-338. 

  5. Kim, Young, Ki-Hong Kim, and Seung-Hyun Lee. 2007. "A Study on Urban Analysis and Urban Regeneration Direction of Local Cities: Focused on Jinju and Masan Situl." Residential Environment, 5(1): 161-187. 

  6. Kim, Young Hwan, Jung Woo Choi, and Duck Sung Oh. 2003. "Basic Strategies and Planning Elements of Growth Management-Based Urban Regeneration." National Land Planning, 38(3): 85-97. 

  7. Kim, Yu-Ran. 2020. Development of Life SOC for Role of Urban Regeneration Center Facility. Sejo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8. Kim, Junh-wan. 2018. "A Study on the Urban Regeneration Business in Japan." Journal of the Korean Real Estate Society, 36(1): 41-55. 

  9. Kim, Hak-sil. 2013. "The Role of Village Companies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cess." Korean Policy Research, 13(2): 41-60. 

  10. Ryu, Jung-seok. 2019. "Urban Regeneration Policy in Response to Population Reduction and Aging." Architecture, 63(9): 27-30. 

  11. Moon, Eun-mi. 201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y Plans for Cultural Urban Regeneration."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26(5): 143-151. 

  12. Park, Sang-bum. 2018. Gwangju Urban Regeneration Strategic Plan. Gyeonggi-do: Gwangju. 

  13. Park, Se Hoon. 2004. "Urban Regeneration Policy in Japan." National Land Planning, 39(2): 21-33. 

  14. Park, In-seok, Chul-ho Yeom, and Ju-young Cha. 2009. "Roles and Cooperation by Participant in Urban Regeneration in the U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s and Planning, 25(12): 349-360. 

  15. 박진수, 김기수. 2013. '공공성' 측면에서 본 현행 도시재생정책 및 제도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4(2): 35-52. 

  16. Seo, Ji-Young. 2009. "Columbia University Campus Expansion Plan Based on Publicity, Urban Regeneration Network, Urban Regeneration Story." Pixel House, 99-101. 

  17. Son, Se-won. 2014.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Urban Regeneration Strategy Plan. Sejong: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18. Shin, Seung-soo, Ji-hak Hong, and Kwang-hyun Kim. 2009. "A Study on the Community-based Publicity Implementation of the British Public Library Projec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12): 259-268. 

  19. Yang, Jaesub, Younghwan Kim, and Jungwon Kim. 2007. "A Study on UK Urban Regeneration Promoting Organization and Support System." National Land Planning, 42(5): 129-143. 

  20. Yang, Jae-young and Dong-hoon Kim. 2016. "A Study on the Planning of Public Libraries with Urban Regeneration Techniques: Remodeling at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51-154. 

  21. Oh, Hyung-eun. 2018. Establishment of Revitalization Plan for Urban Regeneration in the United States. Gyeonggi-do: Bucheon-si. 

  22. Lee, Dong-hoon, Sung-chang Lee, Min-jung Park, and Soo-yeon Lee. 2010. A Study on the Role of Public Institutions for the Publicity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Seoul: The Seoul Institute. 

  23. Lee, Si-young and Woo-kwon Jang. 2016. "A Study on the Derivation of Public Library Culture Compon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4): 98. 

  24. Lee, Wang-Gun. 2010. "Urban Economic Regeneration Strategy and Implications of Declined Industrial Cities." National Policy Brief, (285): 1-8. 

  25. Lee, Ju-Hyung and Ui-Kwon Seo. 2009. "Public Role in Urban Regeneration for Securing Publicity." National Research, 141-159. 

  26. Lee, Chang-soo. 2017. Activation of Urban Regeneration in Seongnam City. Gyeonggi-do: Seongnam City. 

  27. Lim, Yang-bin. 2005. "A Study on Major Characteristics of US Urban Development Policy-Focused on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s and Planning, 21(12): 247-254. 

  28. Jang, Woo-jin and Su-bong Moon. 2010. "Possibility of Social Enterprise as a Participant in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 Intellectual Information Society Conference, 71-99. 

  29.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7. Activation Plan for Urban Regeneration in Won-City (Maguan District), Jeju City. Jeju: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30. Joe, Myung-Rae. 2011. "Cultural Urban Regeneration and Recovery of Publicity: A Critical Reflection on Korean Urban Regeneration." Space and Society, 37: 39-65. 

  31. Choi, Yu-jin, Hee-young Moon, Hye-ran Kim, and Mi-Hyun Zhang. 2018. Development of Women-Friendly Urban Renewal New Deal Execution Model.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32. Choi, Yun-kyung, Jae-yeop Lee, and Young-soo Cho. 2009. "A Study on the Planning Method of Multi-use Development for Revitalization of the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al Research, 25(12): 183-190. 

  33. Choi, Jo-soon, Tae-young Kim, and Jong-soo Kim. 2011. "Urban Regeneration and the Role of Social Enterprises." Journal of Urban Administration, 24(1): 283-302. 

  34. Hong, Sung Woo and Woo-Jin Jang. 2011. "Exploring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by Analyzing the Importance of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Korean Intellectual Information Society, 13(1): 183-206. 

  35. Hwang, Jung-hyun. 2018. Jochiwon One Urban Regeneration Leading Area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Plan. Sejong: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36. Noh, Y. 2016.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of the Impact that Libraries Have on Society."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6(2): 109. 

  37. Rasmussen, Casper Hvenegaard, Henrik Jochumsen, and Dorte Skot-Hansen. 2011. Biblioteket I Byudviklingen - Oplevelse, Kreativitet og Innovation. Kobenhavn: Danmarks Biblioteksforenings Forlag. 

  38. Skot-Hansen, D., C. H. Rasmussen, and H. Jochumsen. 2013.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in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New library world, 114(1/2): 7-9. 

  39. AURUM 건축도시정책정보센터. [online]. [cited 2019.11.4]. . 

  40. 구리시 도시재생정보센터. [online]. [cited 2019.11.4]. . 

  41. 국토교통부. [online]. [cited 2019.11.4]. . 

  42. 서울도시재생포털. [online]. [cited 2019.11.4]. . 

  43. 서울특별시 서울도시재생포털. [online]. [cited 2019.11.4]. . 

  44. 순천시청. [online]. [cited 2019.11.4]. . 

  45. 영주시 도시재생 지원센터. [online]. [cited 2019.11.4]. . 

  46. 통영시 도시재생지원센터. [online]. [cited 2019.11.4].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