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방사선사 면허제도와 기본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 텍사스주 일개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Radiologic Technologist's License System and Primary Pathway Education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 Focused on One Case of College in Texas 원문보기

방사선기술과학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43 no.1, 2020년, pp.35 - 43  

성열훈 (청주대학교 보건의료과학대학 방사선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on radiologic technologist's license system and primary pathway education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USA), focused on one case of college in Texas. W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class participation at a community college in Tarrant, in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 텍사스주의 일개 대학을 중심으로 방사선(학)과의 교육을 과정을 실증적 수업참여와 현직 교수 및 방사선사의 인터뷰, 견학, 인터넷자료 및 문헌고찰 등을 통해서 미국의 방사선사 면허제도와 교육과정을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우리나라의 방사선(학)과 교육과정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미국은 33만3천여 명의 방사선사가 있는 세계 최대의 의료 노동시장을 가지고 있으면서 교육시스템이 많은 경험으로 선진화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진화되어 있는 미국의 JRCERT에 의해서 표준화된 일개 대학의 사례를 대상으로 미국의 방사선사 면허제도와 교육제도를 비교하면서 한국의 방사선사 면허제도와 교육과정에 대한 문제점과 대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 미국 내의 모든 방사선(학)과는 JRCERT에서 인증 받은 교육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유효 기간은 5 년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많이 교육되는 방사선영상분야를 텍사스의 Tarrant community college (TCC)의 방사선과의 교육과정을 대표 사례로 선정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TCC의 방사선과의 교육연한은 봄(16주), 여름(12주), 가을 (16주)의 3학기를 2년 교육과정으로 Table 2와 같이 진행한 다.
  •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실습생들이 직접 X선 검사를 할 수 있는 제도적 보장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선행적으로 교육 역량이 있는 석사 이상의 임상 방사선사를 CI로 활용하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학생교육을 위해 임상실습을 허용해주는 의료기관에는 사회적 기여도를 인정하여 의료보험수가를 가산하거나 병원 인증 시 가점을 주는 등의 혜택을 주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2와 같이 학기가 끝날 때 학생 개인별로 실습내용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며 일정 재검사률(텍사스 주에서는 10% 이상)을 초과 하면 실습과목을 이수할 수 없다[20]. 모든 영상검사체는 임상 지도 방사선사의 사인과 실습생들의 사인이 있어야 유효하다. 투시검사는 영상의학과 전문의나 RA가 직접 수행 하기 때문에 실습생들은 검사준비 및 환자케어만을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방사선사 교육과정은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우리나라에서는 1963년 X선 검사에 대한 면허제도가 법제화가 되었고 같은 해에 서울 수도의과대학병설 의학기술 초급대학에 20명 정원의 방사선과를 개설하면서 한국의 방사선사 교육과정은 시작되었다[1,2]. 2018년 현재 방사선 (학)과는 방사선학사 과정의 21개 대학교(university)와 3년제 전문학사 과정의 23개 전문대학(community college)이 개설되어 매년 약 2,800명의 신입생이 입학하고 있다.
ARRT에서의 기본 과정에는 어떤 분야가 포함되는가? 첫 단계인 기본 과정은 방사선영상, 자기공명, 초음파, 핵의학 그리고 방사선치료 등의 5가지 분야가 해당된다. 이중 방사선영상 분야는 일반 X선 검사와 투시검사를 중점적으로 교육하며 ARRT의 시험을 통과하면 ‘Radiographer’로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다.
ARRT는 언제 창립되었는가? ARRT는 1922년 창립되었으며 의료방사선에 관련된 면허 교육, 윤리 및 시험 요구 사항을 감독하고 관리하고 면허를 인증하고 등록하는 업무를 하고 있다. ARRT에서는 교육, 윤리 및 시험 등의 3가지 사항이 충족되어야 면허를 인증해줄 수 있으며 기본 과정(Primary pathway), 기본 후과정(Post primary pathway), 임상 전문가 과정(Physician extender)의 3단계의 교육과정이 있으며 동일한 윤리 및 시험 요구사항이 적용되지만 전문분야에 따라 교육내용의 요구사항에 차이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uh J. The education system of X-ray technicians on Korea. The Korean J of Radiotechnology. 1973;7(1):45-9. 

  2. Huh J. A Study on X-ray technician and technical educational system in Korea. Journal of Health Science & Medical Technology. 1970;9(1):61-70. 

  3.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0115000302&md20150115100433_BL2019.11.15. 

  4. Huh J. New trend of education for radiological technologist: focus and goal of curriculum.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004;27(4):5-9. 

  5. Kim JH, Ko SJ, Kang SS, Kim DH, Kim CS.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subjects to improve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radiological science: focused on radiological technologists.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012;35(2):125-32. 

  6. Jung HR, Kim MS, Choi J. A Research study on the education system for radiological technologists and the public health policy.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004;27(4):67-74. 

  7. Kang SS, Kim CS, Choi SY, Ko SJ, Kim JH. Evaluation of present curriculum for development of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Curriculum.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1;11(5):242-51. 

  8. Han EO, Kim BS. Requirements in the overseas employment and domestic connected education for radiological technologists : refers to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radiation.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008;31(2):191-8. 

  9. Choi JW. Changing trends in radiographic education: a comparison of Korean, australia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radiographic education system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08;8(9):133-8. 

  10. https://www.asrt.org/main/about-asrt/asrt-history 2019.11.15. 

  11. https://www.asrt.org/main/about-asrt/asrt-governance/asrt-chapters 2019.11.15. 

  12. https://www.jrcert.org 2019.11.15. 

  13. https://www.arrt.org/earn-arrt-credentials/credential-options/registered-radiologist-assistant 2019.11.15. 

  14. https://www.arrt.org/about/census 2019.11.15. 

  15. https://www.arrt.org/about-the-profession/statelicensing 2019.11.15. 

  16. https://catalog.tccd.edu/preview_program.php?catoid7&poid1346 2019.11.15. 

  17. Lee YH, Park JH. Job analysis for curriculum improvement of radiologic technologist.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011;34(3):221-9. 

  18. Clark KR, Spence B. Using concept maps in radiologic science education. Radtech. 2016;88(1):107-10. 

  19. https://www.arrt.org/arrt-reference-documents/by-document-type/practice-analysis-reports 2019.11.15. 

  20. Choi JH, Kim CK, Kim WC, Kim SC. Study on development in professional work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006;29(3):197-210. 

  21. Lim CS, Jin GH, Perception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on enacting of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 act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2018;12(2):245-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