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합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nvergence-based Simulation Education on the Problem Solving Ability,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f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 2020년, pp.44 - 50  

이현정 (경동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융합시뮬레이션교육이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 및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실험군 97명, 대조군 87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 유사실험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융합시뮬레이션 교육 후 실험군의 문제해결능력(t=-2.04, p=.043) 및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t=5.31, p <.001)이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4학년 간호학생에게 세부 전공별 간호단위를 통합한 융합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하여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근거를 마련함에 의의가 있다. 효과적인 융합시뮬레이션 교육을 위해 다양한 교과목 콘텐츠의 지속적인 개발 및 그 효과를 검증하는 반복 및 융합 연구를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convergence-based simulation education on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efficacy and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erformance for nursing students. A non 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only design was utilized(experimental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융합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 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시뮬레이션 교육의 운영 방안과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4학년 간호학생에게 세부 전공별 간호단위를 통합한 융합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하여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근거를 마련함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융합시뮬레이션 교육 후 간호학생의 문제 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 및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 유사실험연구이다.
  • 최근 환자의 안전 및 소비자 권리 의식 향상과 질 높은 간호서비스 요구로 입원 환자들은 기본적인 간호라 할지라도 미숙한 실습중인 간호학생보다는 경험 많은 간호사의 안전하고 편안한 간호를 선호한다. 직접 사람에게 간호술을 연습해볼 수 없는 상황을 보완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예비간호사 시점인 4학년 2학기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시뮬레이션 교육의 운영 방안과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가설 설정

  • 1) 가설 1: 융합시뮬레이션 학습을 경험한 실험군과 경험하지 않은 대조군의 문제해결능력 점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 가설 2: 융합시뮬레이션 학습을 경험한 실험군과 경험하지 않은 대조군의 자기효능감 점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3) 가설 3: 융합시뮬레이션 학습을 경험한 실험군과 경험하지 않은 대조군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점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뮬레이션 교육의 장점은? 시뮬레이션 교육의 장점으로는 학생이 임상과 유사한 시뮬레이션 상황에서 환자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유능하게 간호를 할 수 있을 때까지 안전하게 반복 연습이 가능하다는 점이다[5].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은 실제에 근거한 상황 학습으로 컴퓨터화된 환자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간호학생들에게 필수적인 간호술을 포함한 간호실무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한 학습 방법으로 간호학생의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수업 만족도,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등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9-17].
본 연구에서 문제해결능력을 묻는 설문 도구는 어떻게 구성되었나? 문제해결능력을 묻는 문항은 Lee, Jang, Lee & Park[20]이 개발한 총 40문항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문제인식, 정보수집, 분석 능력, 확산적 사고, 의사 결정, 기획력, 실행 및 모험 감수, 피드백의 총 8개 하위 요소별로 5개 문항씩 총 40개 문항이다. 각 문항은 ‘매우 드물다(1점)’부터 ‘매우 자주(5점)’까지의 Likert식 척도로 측정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문제해결 능력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간호학이란? 간호학은 다양한 환경 속의 인간을 대상으로 건강 증진과 유지 및 회복을 할 수 있도록 직접간호를 제공하고, 실제 간호 현장에서 널리 응용될 수 있을 때 비로소 진정한 가치와 중요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실용학문이다. 따라서 간호 교육에서는 실습 교육이 이론 못지 않게 매우 중요하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 S. Chung. (2009). The relations of self-esteem, practical performance, and practical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8(1), 60-68. 

  2. S. H. Lee, & J. A. Kim. (2006). Image of nurse and it's determinants among nursing students and non-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1), 52-62. 

  3. F. G. P. Fernandes, L. C. Nunes, M. M. Di Ciero, an & J. C. Afio, (2014). Assessment of stress in the inclusion of nursing students in hospital practice, Nursing research and education, 32(3), 430-437. 

  4. I. S. Kown, & Y. M. Seo, (2012). Nursing students' needs for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25-33. 

  5. K. C. Lim. (2011). Direction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ing Practice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2), 246-256. 

  6. C. Un. (2019.5.11). http://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232793&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7. C. Un. (2018.12.28) http://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238758&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8. S. Yang. (2017). Nursing Education Certification Evaluation Criteria. Seoul :Korea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9. Y. J. Bae & Y. M. Chun. (2014). Effects of Simulation-Based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e Program - depending on the level of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2(1), 35-44. 

  10. J. H. Park. (2016). The Effects of Simulation Program by applying Hazard Perception Training on Self-efficacy of Patient Safety, Error Recovery and Problem-Solving Proces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1), 23-32. 

  11. H. J. Kang., M. Y. Kim. & H. J. Choe. (2016). Effects of Integrated Nursing Practicum by applying Simulation-Problem Based Learn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Nursing Process Competence, and Self-confidence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12), 495-508. 

  12. S. J. Park. (2017). Effects of Video Debriefing on Self-Efficac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ICU-based Simulation Education.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5(1), 31-40. 

  13. M. Y. Moon. (2017). Effects of Convergence-based Integrated simulation Practice program on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Problem solving process, Clinical competence and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erformanc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271-284. 

  14. K. K. Shim., M. S. Son., & E. S. Ji. (2017). The Effectiveness of Child Nursing Simul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 on Nursing Student's Anxiety,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0), 299-308. 

  15. S. J. Park., M. J. Kim & K. H. Kwak. (2017).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Simulation Training on Learning Attitude, Critical Thinking, and Self-Efficac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11), 293-304. 

  16. H. R. Nam. & G. A. Jeong. (2017). The impact of problem-based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on pediatric nur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efficacy, and clinical performance skill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5(2), 33-43. 

  17. M. J. An., H. N. Cho., D. Dordunoo & Y. Y. Hwang. (2019).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Convergence Practicum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enior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10), 16-27. 

  18. S. H. Kim. & Y. S. Ham. (2015).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 korean nurses an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3), 308-319. 

  19. J. M. Kim & Y. S. Choi. (2015). Effects of practice education using the simulator,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nursing process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4), 263-270. 

  20. S. J. Lee., Y. G. Jang., H. N. Lee, & K. Y. Park.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1. Y. A. Song. (201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eneral Self Efficacy Sca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2. M. Y. Oh. (2017). A Study on the Cli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Experiences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Self-Confidence During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23. S. B. Issenberg, W. C. McGaghie, E. R. Petrusa, D. L. Gordon & R. J. Scalese. (2005). Features and uses of high-fidelity medical simulations that lead to effective learning: a BEME systematic review, Medical Teacher, 27(1), 10-28. 

  24. Y. H. Kim, S. Y. Hwang & A. Y. Lee. (2014). Perceived Confidence in Practi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of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 37-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