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생의 협력학습에서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집단지성,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Ability, Collective Intelligence,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in Collaborative Learning of the College Classroom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 2020년, pp.120 - 127  

송윤희 (침례신학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협력학습에서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 변인을 살펴보기 위해 학습자 변인으로 감성지능, 학습과정 변인으로 의사소통능력과 집단지성, 학습성과 변인으로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선정하여 각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수도권 소재 A대학교 3,47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자료는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감성지능은 의사소통능력, 집단지성,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의사소통능력은 집단지성과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집단지성은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 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만족도는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협력학습에서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협력학습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ed variables that improve learning outcomes in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on literature reviews, emotional intelligence was used as a variable of personal character, communication ability and collective intelligence were used as variables in learning ...

Keyword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자의 속성, 학습과정에서의 변인들 간 관계들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그에 대한 전략들을 고찰함으로 대학생 협력학습의 효과를 높이는데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 협력학습에서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 변인을 살펴보기 위해 학습자 변인으로 감성지능을, 학습과정 변인으로 의사소통능력과 집단지성을, 학습성과 변인으로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선정하여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자의 속성, 학습과정에서의 변인들 간 관계들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그에 대한 전략들을 고찰함으로 대학생 협력학습의 효과를 높이는데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협력학습에서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살펴보기 위해 학습자 변인으로 감성지능을, 학습과정 변인으로 의사소통능력과 집단지성을, 학습성과 변인으로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선정하여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수도권 소재 A대학교 3,47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자료는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셋째, 협력학습을 기반으로 개인의 합 이상의 공동목표를 달성하여 집단지성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집단지성은 인지적 탐색, 인지적 협력 및 집단적 통합의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21].
  • 넷째, 학습자가 협력학습을 통해 학습주제에 대해 좀 더 이해하고 학습방법을 만족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협력학습 시 교수자는 학생 간의 활동 시 팀장에게는 책임을 부여하기보다 팀활동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민감하게 반응하며 문제 및 과제를 해결하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성지능이란? 따라서 협력학습에 있어서 팀원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4].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은 학습자가 자신의 감성뿐만 아니라 타인의 감성을 이해하고 조절하며 활용할 수 있는 능력[5]으로 협력학습을 성공적으로 이끄는데 도움을 준다[4]. 또한 학습과정에서 과제를 해결하면서의사결정과 의견조율을 위해서는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고 타인의 사고와 생각을 수용하며 조절하고 갈등을 극복할 수 있는 의사소통능력이 요구된다[6].
협력학습이 학습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게 하는 이유 협력학습은 개별학습에 비해 사고력을 향상시키고 학습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를 장기간 기억하게 한다[1]. 또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직적인 활동을 경험하며 사회에서 부딪치게 되는 여러 활동을 미리 경험하며 학습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게 한다[2].
감성지능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수도권 소재 A대학교 3,47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자료는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감성지능은 의사소통능력, 집단지성,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의사소통능력은 집단지성과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집단지성은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 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만족도는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R. T. Johnson & D. W. Johnson. (1986). Action research: Cooperative learning in the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Science and Children, 24(2), 31-32. 

  2. B. Kwon. (2014).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problem solving in programming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4), 491-498. 

  3. E. S. Park. (2010). Applying team based learning in college course for enhancing team communication.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27, 171-199. 

  4. B. S. Lee. (2010). The Impact of Action Learning Team Memb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ir Communication Competence : The mediation effects of team-member exchange and learning coachs emotional intelligence perceived by team members.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23(2), 929-954. 

  5. C. S. Wong & K. S. Law.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3), 243-274. DOI : 10.1016/S1048-9843(02)00099-1 

  6. M. K. Yang. (2011). Exploring the principles of collaborative learning for realiz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3(2), 457-483. 

  7. Y. H. Song. (2016). Development and construct valid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scale.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20(5), 395-406. 

  8. P. Salovey & J. D. Mayer.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 Personality, 9, 185-211. DOI : 10.2190/DUGG-P24E-52WK-6CDG 

  9. O. S. Lee & H. J. Gu. (2018). Differences in smartphone addiction and communication ability according to emotional intellig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3), 375-383. DOI : 10.14400/JDC.2018.16.3.375 

  10. M. J. Kim. (2018).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on communication skill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16(3), 23-32. DOI : 10.22678/JIC.2018.16.3.023 

  11. Y. H. Song. (2019). The analysis of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ability and leadership ability for prospective christian teachers. The Bible & Theology, 89, 165-191. DOI : 10.17156/BT.89.06 

  12. S. J. Jung. (2006).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Amount of Interaction in Online Learning. Masters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3. J. G. Park & J. Yoo. (2012). Determinants of task persistence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Examining a social cognitive model of motivation and emotion.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23(4), 21-40. 

  14. K. K. Kim, J. Yoon, K. Y. Choi, S. U. Park & J. H. Bae. (2008). The effect of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project learning on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2), 252-261, 

  15. W. S. Chang. (2016). The effects of TBL(Team based learning)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2), 655-666. DOI : 10.5392/JKCA.2016.16.12.655 

  16. M. S. Choi. (2017). Convergence study about awareness towar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efficacy: Centered on the 'S' university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6), 79-87. DOI : 10.22156/CS4SMB.2017.7.6.079 

  17. E. J. Kim. (2004). The effects of students achievement level and communication orientation on cooperative learning class satisfac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3), 123-151. 

  18. W. S. Kim. (2012). Study on form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through varsity athletes' collaborative learning.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1(5), 207-224. 

  19. J. Park, S. H. Kim & J. Yang. (2010). Empirical studies on the express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the web2.0-based collaborative e-learning system.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8(8), 163-171. 

  20. A. W. Woolley, I. Aggarwal & T. W. Malone. (2015). Collective intelligence and group performance.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24(6), 420-424. 

  21. D. L. Kirkpatrick. (1998). Evaluating training programs: The four levels (2nd ed.). San Francisco: Berrett-Koehler. 

  22. J. M. Keller. (1987). Development and use of ARCS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10(3), 2-10. 

  23. H. J. Park & B. M. Yu. (2014).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presence,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with the use of SNS in university class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0(4), 649-674. DOI : 10.15833/KAFEIAM.20.4.649 

  24. A. F. Cabrera, A. Nora & M. B. Castaneda. (1993). College persiste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st of an integrated of student retention.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64, 387-409. 

  25. S. Thomas. (2000). Ties that bind: A social network approach to understanding student integration and persistence.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71(5), 591-615. 

  26. G. Choi. (2019). An exploratory on the 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learning persiste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The Journal of Education, 39(3), 67-82. DOI : 10.25020/je.2019.39.3.67 

  27. Y. H. Song. (2013).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ask value, academic burnout,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in an e-learning course.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9(3), 171-187. 

  28. P. J. Hwang, I. S. Lee & M. K. Jeon. (2011). The influence of employees'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roductivity Review, 25(3), 311-330. 

  29. J. Kim, S. Han & M. Won. (2015). Invention of the self-appraisal model for assessing communicative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Rhetoric, 23, 389-422. 

  30. J. S. Kim & M. H. Kang. (2010).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 and Effectiveness of e-Learning in the corporate setting. Asian Journal of Education, 11(2), 29-56. 

  31. N. Shin. (2003). Transactional presence as a critical predictor of success in distance learning. Distance Education, 24(1), 69-86.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