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학교육에서 하브루타 수업방식의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Havruta Method in Engineering Educatio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 2020년, pp.149 - 157  

엄미리 (고려대학교 교수학습개발원) ,  이영인 (광운대학교 전자바이오물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공대 대학수업에 하브루타 방식을 적용하여 실제적으로 학습자의 역량에 변화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으로, 대학수업에서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학물리및실험2>를 수강하는 105명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선행연구들을 탐색하여 하브루타 수업에서의 학습자 역량으로 학습준비도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을 선정하고 연구도구를 활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는 하브루타 수업적용을 위한 수업설계, 실험설계,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하고 SPSS 21.0 for window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학습자 역량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첫째, 학습준비도능력은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하위역량 중 학습에 대한 애착, 학습기회에 대한 개방성, 학습에 대한 주도성/독립성에서 긍정적인 역량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사소통능력은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하위역량 중 주도적 의사소통에서 긍정적인 역량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교수자 중심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공대 수업에 학생중심의 하브루타 방식을 적용하여 효과를 탐색한 것으로, 공대 수업이나 대학수업에 하브루타를 적용하고 싶은 교수자나 수업설계자들에게 좋은 지침 및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hange of engineering students' competencies through the havruta class. In the havruta class, engineering students' competencies were compared with pre-test and post-test. The research tool was developed by selecting learning readiness, academic self-efficacy, and com...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하브루타 수업 적용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간 학업성취도, 역량, 태도 등 인지적, 정의적 효과성에 대한 비교분석이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는 대학수업에서 하브루타를 적용한 사례연구이자 공대 수업에서 하브루타를 적용한 대표적인 연구라는 것에 가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모든 전공에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공대 수업이나 대학수업에 하브루타를 적용하고 싶은 교수자나 수업설계자들에게 좋은 지침 및 기초적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하브루타 교육효과성 중 학습자 역량 변화라는 새로운 측면에 초점을 두고 대학수업에 하브루타 방식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역량에 변화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브루타 교육효과성 중 학습자 역량 변화라는 새로운 측면에 초점을 두고 대학수업에 하브루타 방식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역량에 변화가 있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하브루타 수업 적용 전과 후에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변화가 있는가?
  • 셋째, 하브루타 수업 적용 전과 후에 학습자의 의사 소통능력에 변화가 있는가?
  • 첫째, 하브루타 수업 적용 전과 후에 학습자의 학습 준비도 능력에 변화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브루타 교육방식은 무엇인가? 하브루타 교육방식은 2명씩 짝을 지어 공부하며 경청과 토론을 통해 학습한다. 또한, 짝을 지어 토론하고 논쟁하는 수업방식은 학습자로 하여금 끊임없이 생각 하게 만든다. 이러한 하브루타 방식을 대학수업에 적용 하기 위해서는 교수자가 먼저 교육방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해 나가야 한다[24].
교수-학습 과정에서 중요한 변인은 무엇인가?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사전지식,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습준비도,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 등은 교수-학습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변인이라 할 수 있다[25]. 학습자 중심 교육을 강조하고 학습자가 지니고 있는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해야 하며, 좀 더 학습자 측면에서의 실효성 연구가 활발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D. Kember. (2009). Promoting student-centered forms of learning across an entire university. Higher Education, 58(1), 1-13. 

  2. S. J. Lee. (2017).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Harbructure Discussion. Unpublished master thesis, Daejin University. 

  3. Y. K. Kim. (2016). Development of a flipped-learning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activity theory for higher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4. Y. S. Yang, H. O. Heo & Y. S. Kim. (2014). Effects of students' efficacy beliefs and scaffolding on learning engagement and achievement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0(4), 495-519. 

  5. K. W. Chang. (2011). A Model of Action Learning Program Design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7(3), 475-505. 

  6. C. Reigeluth. (2012). Instructional theory and technology for the new paradigm of education. RED, Revista de Educacion a distancia, 32, 1-18. 

  7. S. D. Kim & K. T. Seo. (2018).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esson Based of Havruta Learning.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3), 267-277. 

  8. B. S. Jang. (2018). A Meta-Analysis for the Effects of Havruta Learning in Korea.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6(2), 1-24. 

  9. E. Holzer. (2015). Welcoming Opposition: Havruta Learning and Montaigne's The Art of Discussion. Journal of Moral Education, 44(1), 64-80. 

  10. E. S. Kang. (2017). The Application Process and Its Effectiveness of Havruta Teaching Methods in College Phys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6(2), 675-685. 

  11. S. B. Kim. (2015).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shift in college teaching methods through the adaptation of havruta-teaching methods-centered way. Theology and Ministry, 44, 389-415. 

  12. M. R. Eom & C. H. Kim. (2018). A case study on the applied havruta method in the Chinese class as the university liberal arts subjects. Korean Journal of Korea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36, 417-441. 

  13. Y. J. Hur. (2016). The effect of havruta teaching methods on university students individual and group creativit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0(3), 73-106. 

  14. E. H. Kwak. (2017). The effects of the science class based on havruta learning on the scientific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5. S. Y. Park. (2017). The effects of havruta Korean classes on 4 th graders' the ability to generate questions and to read. Unpublished master thesis. Daegu National University, Daegu. 

  16. M. J. Shim. (2017). Analysis of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in the havruta learning method. Unpublished master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cheon. 

  17. Y. J. Kim. (2018). The Effect of Classes Applied to the Havruta Method o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Unpublished master thesis. Daejin University, Pocheon. 

  18. S. Y. Lee. (2017). A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havruta on the improvement of math communication ability in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 thesis. Chinju National University, Chinju. 

  19. E. J. Kang. (2017). The effects of havruta class on high school students' geographical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Unpublished master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0. J. S. Kim & T. W. Lee. (2018).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by creating apps that combine havruta.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26(1), 223-226. 

  21. B. J. Rho & J. Y. Jung. (2019). The effects of the inventive program of practical arts education with habruta on the inventive attitud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32(1), 25-42. 

  22. J. E. Yu. (2018). The effect of havruta method on academic attitude and performance of low level students-focusing on after-school classes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Unpublished master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23. H. G. Jeon. (2016).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havruta learning on students' attitude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24. S. K. Choi, H. M. Kang, M. J. Kim, Y. H. Ahn, & T. H. Lee. (2016). A Study on the Havruta Teaching Method for Motivation.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517-537. 

  25. M. R. Eom & I. W. Park. (2011). The study of learnerrelated variables influencing to the effect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on learning in e portfolio.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7(1), 213-246. 

  26. O. Kent. (2010). A Theory of Havruta Learning. Journal of Jewish Education, 76, 215-245. 

  27. O. Kent & A. Cook. (2012). Havruta Inspired Pedagogy: Fostering An Ecology of Learning for Closely Studying Texts with Others. Retrieved Oct. 27, 2001 from http://bir.brandeis.edu/bitstream/handle/10192/33194/Kent%20and%20Cook%20Inspired%20Pedagogy-Fostering%20an%20Ecology%20of%20Learning%20for%20Closely%20Studying%20Texts%20with%20Others.pdf?sequence1&isAllowedy 

  28. H. Go, H. D. Min & J. S. Song. (2017). The Effects of Question-Centered Havruta Lesson on the Creative Persona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3), 253-278. 

  29. S. S. Jeon & D. I. Yang. (2014). Havruta for how to ask questions. Seoul: Lionbooks. 

  30. S. S. Jeon. (2014). The best way to study. Seoul: Kyunghyangbp. 

  31. S. H. Lim. (2019). The Effects of Adult Nursing Education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Us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7), 547-554. 

  32. I. S. Kim & J. H. Lee. (2004). Analysi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for undergraduate studen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13(3), 129-154. 

  33. D. H. Kim. (2017). Investigat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Flipped learning in a College Setting. Unpublished master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34. S. J. Lee, Y. K. Chang, H. N. Lee & K. Y. Park. (2003).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Research report RR 2003-15-3,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35. L. Como & E. B. Mandinach. (1983). The role of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learning and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18, 88-1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