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22년 개정을 위한 정보과 표준 교육과정 제안

Proposing the informatics standard curriculum scheduled to be revised in 2022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23 no.1, 2020년, pp.1 - 28  

김자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우호성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컴퓨터학과) ,  양혜지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컴퓨터학과) ,  김민정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컴퓨터학과) ,  김성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컴퓨터학과) ,  이소율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김보선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김영애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곽지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최현종 (서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정인기 (춘천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이영준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이원규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변화하는 정보기술과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고, 각 학교급에 갖추어야 할 역량에 근거하여 정보과의 표준 교육과정을 구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목적 달성을 위해, 8개국의 정보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고등 정보교육과정 표준의 지식체계를 프레임으로 하여 교육과정의 학습요소를 추출하였다. 구성된 표준 교육과정은 51인의 전문가의 검토를 통해 10차례에 걸쳐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 진행 결과, 정보과 교육과정을 통해 육성되어야 하는 역량을 정의하고, 해당 역량을 습득하기 위해 요구되는 학습요소의 구성, 그리고 학습요소의 학습을 통해 발현될 수 있을 역량 등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정보과 표준 교육과정은 향후, 2022년에 개정될 정보과 교육과정 구성의 기본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 시사점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standard curriculum for informatics by reflecting the chang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al needs and based on the competencies that school at each level must have.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informatics curriculums of 8 countries were analyze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 발전의 핵심으로 제시된 것은?  교육과정은 교육내용을 선정할 때, 국가적,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고, 학습자의 성장발달 단계를 고려하는 등 처방적인(prescriptive) 학문 영역으로 규정된다[1][2][3]. 따라서 2015년 이후부터는 무엇을, 언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지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국가 발전의 핵심으로 제시되는 SW[4][5],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이후 AI)이라는 주제어가 반영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한 명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6][7][8][9]. AI 분야가 SW의 한 분야이며, ’정보‘과의 학습요소가 SW임으로 인하여 각 나라들도 SW와 관련된 역량을 미래교육의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하여, SW 관련 교 육과정을 개선하고 교육에서 필수화를 추진하는 등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10][11][12][13][14]1).
교육과정이란?  교육과정은 교육내용을 선정할 때, 국가적,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고, 학습자의 성장발달 단계를 고려하는 등 처방적인(prescriptive) 학문 영역으로 규정된다[1][2][3]. 따라서 2015년 이후부터는 무엇을, 언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지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국가 발전의 핵심으로 제시되는 SW[4][5],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이후 AI)이라는 주제어가 반영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한 명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6][7][8][9].
정보 교과 표준 교육과정은 모태 학문인 정보학의 지식체계를 근간으로 '정보학'의 기본 지식을 다루는 내용으로 개발되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정보학에 기반을 둔 정보 교과 표준 교육과정은 모태 학문인 정보학의 지식체계를 근간으로, ‘정보 학’의 기본 지식을 다루는 내용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정보 교과는 정보기술과 많은 관련이 있어서 급속한 사회의 변화나 발전에 따라 새로운 기술이 나올 때마다 학습요소가 흔들릴 수 있다. 혹은 컴퓨팅 기기에 집중할 경우, 컴퓨터의 조작기술을 습득하는 것 등으로 정보 교과의 의미가 축소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따라서 교과의 모태 학문에 대한 지식체계에 근거하여 교과 지식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변화하는 사회에 대처할 수 있는 학문, 교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김자미, 이원규 (2016). 교육과정 총론의 문서체제에 나타난 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의 변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9(5), 27-40. 

  2. 김자미, 이원규 (2014). 영국의 교육과정 개정으로 본 정보교과의 지식과 문제해결력에 대한 쟁점.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3), 53-63. 

  3. Taba(1964).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NY: Harcourt, Brace & World. 

  4. Wikipedia, Available in: https://en.wikipedia.org/wiki/Artificial_intelligence, 2019년 8월 접근 

  5. Microsoft, Available in : https://academy.microsoft.com/en-us/professional-program/tracks/artificial-intelligence/, 2019년 8월 접근 

  6. Qin ZuJun(2019). AI-SW 교육의 시작, AI시대를 대비하다. 2019 글로벌 소프트웨어 교육 컨퍼런스 이슈페이퍼. 한국과학창의재단. 

  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8), 과학기술&ICT정책 기술동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학과과학기술기획평가원. 

  8. NITI Aayag(2019). National Strategy-for-AI-Discussion-Paper, Available in : http://niti.gov.in/writereaddata/files/document_publication/NationalStrategy-for-AI-Discussion-Paper.pdf, 2019년 7월 접근 

  9. whitehouse.gov(2019). Artificial Intelligence for the American People. Available in: https://www.whitehouse.gov/ai/, 2019년 7월 접근 

  10. Department for Education. (2014).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Framework For Key Stages 1 to 4. DfE. 

  11. 최희정, 이원규, 김자미(2019). 독일 바이에른주의 정보 교육과정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2(1), 1-10. 

  12. CBSE(2019). Computer Science (New) CLASS-XI & XII Code No.083. CBSE. 

  13. CBSE(2019). Senior School Curriculum, Classes XI-XII(2019-20). CBSE. 

  14. ACARA(2019). Design and Technologies-Sequence of content. Available in : http://docs.acara.edu.au/resources/Design_and_Technologies_-_Sequence_of_content.pdf, 2019년 8월 접근 

  15. 김자미, 이원규(2016). CSTA 2003과 2011 비교를 통한 한국의 정보교육과정 표준에 대한 시사점.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9(1), 41-51. 

  16. The ACM K-12 Task force Curriculum Committee(2003). A Model Curriculum for K-12 Computer Science. CSTA. 

  17. The CSTA Standard Task force. (2011).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CSTA. 

  18. Computer Science Teachers Association.K 12 Computer Science - Framework Steering Committee(2016). K-12 Computer Science Framework. CSTA. 

  19. Computer Science Teachers Association(2017).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Revised 2017. CSTA. 

  20. Department for Education. (2013).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computing programs of study. Retrieved July, 16, 2014. DfE. 

  21. Le Monde, En(2016), le code informatique arrive a l'ecole, 2016. 11. 2. 

  22. Academie Strasbourg(2019). Informatique et sciences du numerique. Available in : https://www.ac-strasbourg.fr/pedagogie/isn/, 2019년 7월 접근 

  23. Devenir Enseignant(2019). Creation d'un Capes Numerique et Sciences informatique a partir de la session 2020. Available in : http://www.devenirenseignant.gouv.fr/cid137910/creation-d-un-capes-numerique-et-sciences-informatiques.html. 2019년 8월 접근 

  24. 김자미, 이원규(2017). 2016년에 공표한 일본의 학습지도요령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구성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4), 1-14. 

  25. 文部科?省(2016). 次期?習指導要1等に向けたこれまでの審議のまとめ. 文部科?省. 

  26. 文部科?省(2017). 高等?校 ?習指導要領 (平成30 年告示.). 文部科?省. 

  27. 日本??新聞. Available in : https://www.nikkei.com/article/DGXMZO30644090X10C18A5EE8000/, 2019년 7월 접근 

  28. CBSE(2015). Secondary Curriculum-Main Subjects VOLUME-1(2015-16). CBSE. 

  29. CBSE(2015). Senior School Curriculum -Main Subjects VOLUME-1(2015-16). CBSE. 

  30. CBSE(2016). Senior School Curriculum Volume 1. CBSE. 

  31. 김자미, 이원규(2014). 브루너의 이론에 근거한 인도의 정보교육과정 고찰.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6), 59-69. 

  32. CBSE(2019). Department of Skill Edu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Curriculum for class VIII(Inspire module). CBSE. 

  33. CBSE(2019). Department of Skill Edu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Curriculum for class IX(Inspire and acquire module). Code No.417. CBSE. 

  34. ACARA(2008).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apability learning continuum. ACARA. 

  35. 교육부(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10. 교육부. 

  36.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1. 교육부. 

  37. 유병건, 김자미, 이원규(2017). CS2013 지식 영역의 계량화를 통한 컴퓨터과학 영역별 우선순위 설정.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3), 25-33. 

  38. 우호성, 김자미, 이원규(2017). 해외 고등정보 표준교육과정 기반의 국내 대학 교육과정 비교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1), 27-38. 

  39. 우호성, 김자미, 이원규(2017). CS2013에 근거한 국내외 고등학교 정보교육과정 분석.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6(8), 411-418. 

  40. OECD(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41. Rychen, D. S., & Salganik, L. H. (Eds.). (2003).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Gottingen, Germany: Hogrefe & Huber. 

  42. Computing At School Working Group, Naace(2013). Computing in the national curriculum - a guide for primary teachers. CAS. 

  43. Sridhar lyer(2013). CMC: A Model Computer Science Curriculum for K-12 School, 3rdEdition.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Bombay, Available in : Mumbai. https://dl.acm.org/citation.cfm?id2593249, 2019년 7월 접근 

  44. 우호성, 김자미, 이원규(2018).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정보과 핵심역량에 관한 검사도구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2), 49-58. 

  45. ACM, IEEE Computer Society(2013). Computer Science Curricula 2013. Available in : https://www.acm.org/binaries/content/assets/education/cs2013_web_final.pdf., 2019년 7월 접근 

  46. ?捷彦(2008). 情報?門?科カリキュラム標準 J07 について. 情報?理, 49(7), 721-727. 

  47. 情報?理??(2007). カリキュラム標準 コンピュ?タ科?J07-CS. 情報?理??. 

  48. 情報?理??(2008). 一般情報?理?育の知識?系(GEBOK). 情報?理?? 

  49. 文部科?省(2017). コンピュ?タ科?領域 (J17-CS)のサマリ. 文部科?省. 

  50. 이원규(2016). 대학교육의 분야별 질 보증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상의 참조기준 정보학 분야. 일본학술회의 정보학위원회 정보과학기술교육 분과회, 2016년 3월 23일. 

  51. 니시가키 도루 저, 이원규 역(2018). 기초정보학.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52. 국가법령정보센터(2019). 초.중등교육법. [시행 2019. 6. 19.] [법률 제15961호, 2018. 12. 18. 일부개정]. 국가법령정보센터.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