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해·위험방지계획서 현장 활용도 제고를 위한 BIM 적용 필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IM for the Improvement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afety Assessment Regulation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4, 2020년, pp.384 - 391  

이미현 (창원대학교 건축공학과) ,  임형철 (창원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업안전보건법 제48조에 따른 유해·위험방지계획서 대상 현장의 재해예방을 위해 안전보건 지킴이를 활용한 계획서 확인 모니터링 및 자율안전체계 확보를 위한 계획서 자체 확인 등 여러 대책 시행에도 불구하고 건설공사의 재해율을 살펴보면 연평균 100여 명의 사고사망자가 유해·위험방지계획서 대상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다. 물론 대상 현장이 다른 건설현장과 비교하여 위험요인이 다수 존재한다는 것을 고려한다 하더라도, 위와 같은 결과는 재해를 예방하고자 작성되고 활용되는 유해·위험방지계획의 효과에 의문을 갖게 한다. 건설현장에서는 관리자가 근로자, 장비, 시설물에 대한 안전점검을 시행하지만, 시간적, 공간적으로 작업의 내용과 상황이 계속 변화하는 건설업의 특성상 지속적이고 즉각적인 안전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설계 및 시공성 검토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설계 오류의 사전발견 가능성을 높이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활용하는 방안이 최근 많이 논의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건설업에서 실행하고 있는 유해·위험방지계획서 관련 연구 문헌 조사, 재해현황분석 및 설문조사를 통해 현장 활용도 저해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개선할 수 있는 BIM 기능과 저해요인과의 상관성을 파악함으로써 적용 필요성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annual average of more than 100 casualties occur on construction sites designated by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aw despite the safety assessment regulations from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Even if those sites involve more harmful or hazardous work than other sites, the re...

Keyword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현재 건설업에서 실행하고 있는 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현장 활용도 제고함에 있어 BIM 적용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해·위험방지계획서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현장 활용도를 저해하는 제도적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목적과 주요 내용, 국내외 관련 제도 현황을 파악한 후에 유해·위험방지계획서 및 BIM 활용 안전관리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대상현장의 재해분석을 하는 등 실태조사 및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현장 활용도를 저해하는 요인을 도출하여 BIM 기능과의 상관성을 파악함으로써 적용 필요성을 제시한다.
  • 본 장에서는 유해·위험방지계획서가 본래의 목적에 들어맞는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안전보건공단 자료를 토대로 대상현장의 중대재해를 분석하고자 한다.
  • 또한,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실제 공사현장에서 작성하고 활용하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작성 및 활용의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형화, 대형화되는 공사 특성을 반영한 수행계획 수립 시 사전 위험성을 도출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검토·수립하고 수립된 대책에 대해 실질적으로 일을 하는 근로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BIM을 적용하여 발전시키는 방향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현장 활용도 제고를 위한 BIM 적용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주요 내용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IM이란? BIM은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약자로 초기 개념설계에서 유지 관리 단계에 이르기까지 건물의 전체 생애주기 동안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는 모든 정보를 생산하고 관리하며 각종 도서를 출력할 수 있는 통합도구라 할 수 있으며, 기하학적 형상정보와 속성정보를 연계하여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BIM의 기능이 어떤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가? 설계 및 시공성 검토가 현장 성공 여부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설계오류의 사전발견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BIM을 활용하는 방안이 최근 많이 논의되고 있다[1]. 또한, 정보호환성, 인지용이성, 관리효율성 등 BIM의 다양한 기능들은 현장의 안전 관리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BIM의활용은 건설 사업에서 어떠한 장점이 있는가? 또한, 건설 안전 계획을 위한 인력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BIM을 이용함으로써 취할 수 있는 이러한 장점들 때문에, BIM 기반의 안전계획 자동화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미국, 유럽, 일본 등을 중심으로 건설 재해 관리를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im Tae Hun, Lee Dong Hak, Bae Seong In, Hong Youn Ki, Park Zoo Suk, "Proposal of field applied safety control process using BIM",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15, No.5, pp.243-250, Oct. 2013. 

  2. Oh Byung Han, Study on the Effectual Making of the Safety Assessment For the Construction Work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p.1-3, Jun. 2002. 

  3. Bae Chan Woo,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afety Assessment Regulations for Construction Works,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pp.1-2, Dec. 2002. 

  4. Lee Jung Woo, A Study on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Preliminary Hazard Assessment in the Construction Work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pp.1-2, Aug. 2006. 

  5. Sulankivi Kristiina, Zhang Sijie, Teizer Jochen, Eastman Charles, Kiviniemi Markku, Romo Ilkka, Granholm Lief, "Utilization of BIM-based Automated Safety Checking in Construction Planning", World Building Congress 2013, Brisbane (Australia), May. 2013 

  6. Han-Hsiang Wang, "Ontology-based representation and reasoning framework for supporting job hazard analysis",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Vol.25, Issue.6, pp.1-2, Nov. 2011. DOI: http://dx.doi.org/10.1061/(ASCE)CP.1943-5487.0000125 

  7. Sijie Zhang, Jochen Teizera, Jin-Kook Lee, Charles M, .Eastman, Manu Venugopal,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nd Safety: Automatic Safety Checking of Construction Models and Schedules",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29, pp.183-195 Jan. 2013. DOI: https://doi.org/10.1016/j.autcon.2012.05.006 

  8. Song Dong Hyun, A Study on the Secure Method of Construction Workspace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Master's thesis, Dong-Eui University, Busan, Korea, pp.1-2, Feb. 2002. 

  9. Kim Tae Hun, Lee Dong Hak, Bae Seong In, Hong Youn Ki, Park Zoo Suk, "Proposal of field applied safety control process using BIM",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15, No.5, pp.243-250, Oct. 2013. 

  10. Yoon Joon Hyuk, Study of established system of protecting falling hazardous by BIM for Construction Company,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pp.1-3, Dec. 2012. 

  11. Kim Kyung ki, Cho Yong Kwon, Park Man Woo,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Temporary Structure Planning and Safety Analysis", KIBIM Magazine, VOL.6, NO.2, pp.12-18, 2016. 

  12. Kim In Han, "The History and Concept of BIM", Architectur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54, No.1, pp16-21, Jan. 2010. 

  13. Kajima Corporation, KAJIMA CSR REPORT 2007, CSR Report, Kajima Corporation, Japan, pp.33,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