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류, 수족관수 및 환자에서 분리된 Vibrio vulnificus의 독소유전자 분포 및 항생제 내성
Prevalence of Toxin Genes and Profiles of Antibitoc Resistance in Vibrio vulnificus Isolates from Fish, Fish Tanks, and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5 no.1, 2020년, pp.6 - 12  

윤연희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과) ,  박숙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과) ,  김진영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과) ,  이예주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과) ,  전두영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과) ,  최경철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과) ,  박종수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과) ,  김중범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비브리오 패혈증 예방과 치료에 유용한 항생제를 제시하기 위해 V. vulnificus의 독소유전자 분포와 항생제 내성을 분석하였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간 전남지역에서 발생한 비브리오 패혈증 환자로부터 분리되어 보관된 18균주와 전남지역에서 채취된 어패류 및 횟집 수족관수에서 분리된 5균주, 총 23균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V. vulnificus 23균주 모두 V. vulnificus로 재확인되었다. V. vulnificus 균주의 독소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23균주 중 19균주(82.6%)에서 RtxA 독소유전자가 확인되었고, 23균주 모두에서 viuB와 vvhA 독소유전자가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독소유전자의 검출율이 기존 보고에 비해 높은 것이며, 실험에 사용한 모든 V. vulnificus 균주가 1개 이상의 독소유전자를 보유한 것으로 생선회 섭취와 상처를 통한 비브리오 패혈증 감염의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었다. 따라서 횟집 종사자 등에 대한 비브리오 패혈증 예방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V. vulnificus에 대한 항생제 내성 실험결과 cefoxitin 항생제에 94.4%가 내성을 나타내었고, chloramphenicol과 tetracycline 등 14종의 항생제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비브리오 패혈증 치료에 chloramphenicol과 tetracycline 항생제를 사용하는 현 치료법이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valence of toxin genes and profiles of antibiotic resistance in Vibrio vulnificus were investigated for prevention of Vibrio sepsis and selection of effective antibiotics. A total of 23 V. vulnificus strains were isolated from Vibrio sepsis patients, fish, and water samples collected from fish 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간 전남지역에서 발생한 비브리오 패혈증 환자로부터 분리된 V. vulnificus 균주와 전남지역에서 채취된 어패류 및 횟집 수족관수에서 분리된 V. vulnificus 균주를 대상으로 Rtx, viu, vvh 등의 독소유전자 분포와 항생제 감수성을 분석하여 비브리오 패혈증 환자 발생시 치료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V. vulnificus 감염 증상에는 무엇이 있는가? V. vulnificus 감염 증상으로는 피부병변과 함께 발열,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9).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전국에서 발생한 비브리오 패혈증 환자 256명중 120명(46.
우리나라의 패혈증 감염에 따른 사망률 양상은? 또한 multiplex PCR를 이용한 16S rDNA 유전자의 증폭산물에 따라 임상형과 환경형으로 분류되고 있다11-13). 우리나라의 경우 패혈증이 발생하면 저혈압 등의 쇼크증상이 나타나는 원발성 감염이 대부분으로 발병 후 2-3일 이내에 50-80% 이상이 사망한다14-16). 따라서 비브리오 패혈증 감염에 따른 사망을 방지하기 위해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전남 해안에서 분리된 V.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병원성 비브리오균에는 Vibrio cholera, Vibrio parahae-molyticus, Vibrio vulnificus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 해안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여1), 해수, 갯벌, 어패류 등에 서식하고 있다2). V.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olwell, R.R., Kaper, J., Joseph, S.W., Vibrio cholerae, Vibrio parahaemolyticus and other vibrios: occurrence and distribution in Chesapeake bay. Science, 198, 374-396 (1977). 

  2. Park, G.T., Park, M.J., Jung, C.R., Song, C.B., Lee, J.H., Yeo, I.K., Jeon, Y.J., Heo, M.S., Characterization of Vibrio vulnificus isolated from domestic coastal area. Korean J. Life Science, 14, 986-990 (2004). 

  3. Na, H.Y., Hong, S.H., Chung, G.T., The relationship of pathogenic Vibrio spp. with marine environmental factors, Korea, 2013-2015. Public Health Weekly Report, 9, 154-158 (2016). 

  4. Hoi, L., Dalsgaard, A., Larsen, J.L., Warner, J.M., Oliver, J.D., Comparison of ribotyping and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polymerase chain reaction (RAPD-PCR) for characterization of Vibrio vulnificus. Appl. Environ. Microbiol., 63, 1674-1678 (1997). 

  5. Koo, J.S., Kim, D.W., Han, K.S., Seok, J.S., Park, M.H., Kim, S.I., Lactose fermenting Vibrio (Vibrio vulnificus) septicemia-report of five cases-. The Korean Journal of Pathology, 16, 463-469 (1982). 

  6. Hrady, W.G., Klontz, K.C., The epidemiology of Vibrio infections in Florida, 1981-1993. J. Infect. Dis., 173, 1176-1183 (1996). 

  7. Haq, S.M., Dayal, H.H., Chronic liver disease and consumption of raw oysters: a potentially lethal combination: a review of Vibrio vulnificus septicemia. Am. J. Gastroenterol, 100, 1195-1199 (2005). 

  8. Oliver, J.D., Wound infections caused by Vibrio vulnificus and other marine bacteria. Epidemiol. Infect. 133, 383-391 (2005). 

  9. Hwang, K.W., Oh, B.Y., Gong, Y.W., Lee, J.H., Go, J.M., Kim, Y.H., Distribution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Vibrio vulnificus isolated in Incheon coastal ares. Korea J. Sanitation, 22, 55-63 (2007). 

  10. Korea Center for Disease and Control, (2019, December 27). Disease web statistics system, Available from, https://www.cdc.go.kr/npt/biz/npp/ist/bass/bassDissStatsMain.do 

  11. Nilsson, W.B., Paranjype, R.N., DePaola, A., Strom, M.S., Sequence polymorphism of the 16S rDNA gene of Vibrio vulnificus is a possible indicator of strain virulence. J. Clin. Microbiol., 41, 442-446 (2003). 

  12. Panicker, G., Vickery, M.C.L., Bej, A.K., Multiplex PCR detection of clinical and environmental strains of Vibrio vulnificus in shellfish. Can. J. Microbiol., 50, 911-922 (2004). 

  13. Han, F., Pu, S., Hou, A., Ge, B., Characterization of clinical and environmental types of Vibrio vulnificus isolates from Louisiana oysters. Foodborne Pathog. Dis., 6, 251-1258 (2009). 

  14. Kwon, C.S., Characteristics of the virulence factors of pathogenic Vibrios isolated from the environment. Ph. D. Thesis, Pukyong Univ., Busan, Korea (2004). 

  15. Choi, H.J., Lee, D.K., Lee, M.W., Choi, J.H., Moon, K.C., Koh, J.K., Vibrio vulnificus septicemia presenting as purpura fulminans. J. Dermatol, 32, 48-51 (2005). 

  16. Osaka, K., Komatsuzaki, M., Takahashi, H., Sakano, S., Okabe, N., Vibrio vulnificus septicaemia in Japa: an estimated number of infections and physicians knowledge of the syndrome. Epidemiol Infect, 132, 993-996 (2004). 

  17. Panicker, G., Myers, M.L., Bej, A.K., Rapid Detection of Vibrio vulnificus in shellfish and gulf of Mexico water by real-time PCR. Appl. Environ. Microbiol., 70, 498-507 (2004). 

  18. Collin, B., Rehnstam-Holm, A.S., Occurrence and potential pathogenesis of Vibrio cholerae, Vibrio parahaemolyticus and Vibrio vulnificus on the south coast of Sweden. FEMS Microbiol. Ecol., 78, 306-313 (2011). 

  19. Lee, H.E., Shin, S.H., Kim, S.Y., Kim, Y.R., Shin, D.H., Chung, S.S., Lee, Z.H., Lee, J.Y., Jeong, K.C., Choi, S.H., Rhee J.H., Vibrio vulnificus has the transmembrane transcription activator ToxRS stimulating the expression of the hemolysin gene vvhA. J. Bacteriol., 182, 3405-3415 (2000). 

  20. Lee, B.C., Choi, S.H., Kim, T.S., Vibrio vulnificus RTX toxi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apoptotic death of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exposed to Vibrio vulnificus. Microbes Infect., 10, 1504-1513 (2008). 

  21. Hong, S.H., Jung, S.M., Yun, Y.S., Na, H.Y., Kang, B.H., Kim, J.O., Genetic diversity of Vibrio vulnificus strains isolated in Korea. Public Health Weekly Report, 11, 564-56921 (2018). 

  22. Bhattacharyya, H., Hou, A., A pentaplex PCR assay for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Vibrio vulnific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s. Lett. Appl. Microbiol., 57, 233-240 (2013). 

  23. Kwak, S., Jeong, H.G., Satchell K.J.F., Vibrio vulnificus rtxA1 gene recombination generates toxin variants with altered potency during intestinal infection. PNAS., 108, 1645-1650 (2011). 

  24.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20th informational supplement. M100-S20-U. Wayne, PA, USA (2010). 

  25. Simpson, L.M., White, V.K., Zane, S.F., Oliver, J.D., Correlation between virulence and colony morphology in Vibrio vulnificus. Infect. immun., 55, 269-272 (1987). 

  26. Wright, A.C., Simpson, L.M., Oliver, J.D., Role of iron in the pathogenesis of Vibrio vulnificus. Infect. immun., 34, 503-507 (1981). 

  27. Gray, L.D., Kreger, A.S.,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extracellular cytolysin produced by Vibrio vulnificus. Infect. immun., 48, 62-72 (1985). 

  28. Gray, L.D., Kreger, A.S., Mouse skin damage caused by cytolysin from Vibrio vulnificus and by V. vulnificus infection. J. Infect Dis., 155, 236-241(1987). 

  29. Gulig, P.A., Bourdage, K.L., Starks, A.M., Molecular pathogenesis of Vibrio vulnificus. J. Microbiol., 43, 118-131 (2005). 

  30. Ju, H.M., Hwang, I.G., Woo, G.J., Kim, T.S., Choi, A.H., Identification of the Vibrio vulnificus fexA gene and evaluation of its influence on virulence. J. Microbiol. Biotechnol., 15, 1337-1345 (2005). 

  31. Helms, S.D., Oliver, J.D., Travis, J.C., Role of heme compounds and haptoglobin in Vibrio vulnificus pathogenicity. Infect. immun., 45, 345-349 (1984). 

  32. Oliver, J.D., Wear, J.E., Thomas, M.B., Warner, M., Linder, K., Production of extracellular enzymes and cytoxicity by Vibrio vulnificus. Bacteriol. 5, 99-111(1986). 

  33. Ha, T.M., Heon, D.Y., Im, H.C., Yoon, Y.H., Shin, M.Y., Yoon, K.B., Kim, J.B., Antimicrobial activity of Maesil(Prunus mume) extract against Vibrio vulnificus. J. Food Hyg. Saf., 32, 163-169 (2017). 

  34. Hwang, K.J., Young, I.J., Young, H.L., Kwang, J.L., Song, M.B., Ki, S.K.,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atterns of vibrio vulnificus isolated from the environment of Korea in 2001. J. Bacteriol. Virol., 33, 285-291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