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 분석
The Structural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Posttraumatic Growth among Psychiatric Nurs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50 no.1, 2020년, pp.26 - 38  

여현주 (대구과학대학교 간호대학) ,  박현숙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a structural model of posttraumatic growth among psychiatric nurses based on existing models and a literature review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psychiatric nurses in one special city, four metropolitan citie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상 후 성장 모형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정신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 모형을 구축하고 검정하고자 한다. 아울러 각 변인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정신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외상 후 성장모형과 문헌고찰을 통해 정신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에 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횡단적으로 수집된 경험적 자료를 바탕으로 모형의 적합도 및 가설을 검정하는 구조모형이다.
  •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를 대상으로 고통지각, 강인성, 자기노출, 사회적 지지 및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를 대상으로 외상 후 성장모형을 검정하여 외상 후 성장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의 틀을 제공하였다. 또한 정신간호사의 외상으로 인한 부정적인 측면과 긍정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관련 요인을 파악하였으므로 외상 이후 부정적인 변화에 초점을 둔 치료적 관점에서 벗어나 긍정적인 변화인 성장을 고려하는 균형 잡힌 관점을 제공하였다고 사료된다.
  •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에 관한 연구가 초기단계인 국내 현실에서 정신간호사의 외상 이전 개인의 특성요인과 외상 이후 성장의 시작점이 되는 고통지각이 자기노출, 사회적 지지 및 의도적 반추를 거쳐 외상 후 성장에 이르는 경로를 확인하고 스트레스의 긍정적 변화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정신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 구조 모형을 구축하고 직․ 간접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상 후 성장 모형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정신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 모형을 구축하고 검정하고자 한다. 아울러 각 변인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정신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자료 수집 기간은 2016년 2월부터 3월까지였으며, 1개 특별시, 4개 광역시, 3개 지역도시에 소재한 종합병원 2곳, 대학병원 2곳, 국립병원 1곳, 시립병원 2곳, 정신병원 21곳을 편의 표집 하였다. 조사에 앞서 연구자가 해당 기관에 연락하고 방문하여 간호부장에게 연구의 목적 및 자료수집 방법에 대한 설명을 하고 협조를 구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요구되는 대상자 수는 측정 변수 당 10~20배의 표본수가 필요하다는 기준을 고려할 때[28], 본 연구의 관측변수가 19개이므로 최소 380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여야 하나, 외상 경험 기준과 탈락률을 고려하여 대상자 수를 580명을 목표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특수한 경험을 정신간호사의 측면에서 예를 든다면 ? 정신간호사는 업무수행 중 환자에 의한 언어적·신체적 폭력[3], 성희롱[4] 및 자살 현장을 목격하게 되는 것과 같은 직접적인 외상을 경험할 뿐만 아니라[5] 심리적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극단적인 환자의 외상 사건을 직접 들음으로써 이차적인 외상을 경험한다[6]. 정신간호사가 경험하는 외상은 예방적 관리가 우선시 되어야 함은 분명하나 환자의 정신병적 환각과 망상이 결부되거나 충동이 조절되지 않아 발생하는 사고는 예방하기가 어렵다.
외상의 특징은 ? 한편, 외상은 인간의 삶에 고통과 파괴를 초래하기도 하지만, 역경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제대로 자각하거나 대인관계의 깊이를 증가시키며, 삶의 의미와 철학을 새롭게 하는 등의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기도 한다[9]. 정신간호사는 다양한 경험과 스트레스에 직면함으로써 개인적으로 성장하고, 고통을 견디어 내는 과정에서 보람과 긍지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며 성취감을 갖게 된다[10].
간호직의 특징은 ? 돌봄을 제공할 수 있는 간호직은 보람이 있고 만족스러운 직업이나 업무 특성상 스트레스가 매우 높기 때문에 소진에 민감한 직업으로 인식되고 있다[1]. 특히, 정신간호사는 항상 잠재되어 있으나 예측 불가능한 정신과적 응급사태와 실재적인 폭력과 위협을 다루고, 잦은 재발과 만성화의 특성을 갖는 대상자를 돌보아야 하는 특수한 경험 때문에 그 자체만으로도 스트레스가 높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Pines AM. Treating career burnout: A psychodynamic existential perspectiv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0;56(5):633-642. 

  2. Yang S, Lee GJ, Yu SJ. A comparative study on work satisfaction of PMHNPs in the hospital and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4;13(4):487-495. 

  3. Nijman H, Bowers L, Oud N, Jansen G. Psychiatric nurses' experiences with inpatient aggression. Aggressive Behavior. 2005;31(3):217-227. https://doi.org/10.1002/ab.20038 

  4. Moylan LB, Cullinan M. Frequency of assault and severity of injury of psychiatric nurses in relation to the nurses' decision to restrain.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1;18(6):526-534. https://doi.org/10.1111/j.1365-2850.2011.01699.x 

  5. Takahashi C, Chida F, Nakamura H, Akasaka H, Yagi J, Koeda A, et al. The impact of inpatient suicide on psychiatric nurses and their need for support. BMC Psychiatry. 2011;11:38. https://doi.org/10.1186/1471-244X-11-38 

  6. Figley CR.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New York: Brunner-Routledge; 1995. p. 17-107. 

  7. Lee J, Daffern M, Ogloff JRP, Martin T. Towards a model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post-traumatic stress and general distress in mental health n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2015;24(1):49-58. https://doi.org/10.1111/inm.12097 

  8. Song MJ, Park WJ. Effects of violence experience and human rights on burnout of psychiatric nurses in national mental hospitals. Korean Journal of Scientific Criminal Investigation. 2015;9(2):97-106. 

  9. Choi SM. Exploration of posttraumatic growth related variables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08. p. 1-107. 

  10. Bae JI. A experience of the psychiatric nurse: A phenomen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998;7(2):298-309. 

  11. Calhoun LG, Tedeschi RG. The foundations of posttraumatic growth: An expanded framework. In: Calhoun LG, Tedeschi RG, editors.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6. p. 3-23. 

  12. Linley PA, Joseph S.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Journal of Traumatic Stress. 2004;17(1):11-21. https://doi.org/10.1023/B:JOTS.0000014671.27856.7e 

  13. Vishnevsky T, Cann A, Calhoun LG, Tedeschi RG, Demakis GJ. Gender differences in self-reported posttraumatic growth: A meta-analysi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010;34(1):110-120. https://doi.org/10.1111/j.1471-6402.2009.01546.x 

  14. Shakespeare-Finch J, Gow K, Smith S. Personality, coping and posttraumatic growth in emergency ambulance personnel. Traumatology. 2005;11(4);325-334. https://doi.org/10.1177/153476560501100410 

  15. Song H, Lee YS. The effects of hardi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posttraumatic growth: Active coping as mediating variabl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1;12(4):1231-1246. https://doi.org/10.15703/kjc.12.4.201108.1231 

  16. Yu HJ.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deliberate rumination in the influence of distress by trauma on posttraumatic growth.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8;29(4):997-1012. https://doi.org/10.7465/jkdi.2018.29.4.997 

  17. Joseph S, Linley PA. Positive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posttraumatic stress: An integrative psychosocial framework. In: Joseph S, Linley PA, editors. Trauma, Recovery, and Growth: Positive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Posttraumatic Stress. Hoboken (NJ): John Wiley & Sons; 2008. p. 3-20. 

  18. Jung M.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self-disclosure, social support, and intentional rumin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Verification of gender difference. The Journal of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 2014;18:169-184. 

  19. Nishi D, Matsuoka Y, Kim Y. Posttraumatic grow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resilience of motor vehicle accident survivors. BioPsychoSocial Medicine. 2010;4:7. https://doi.org/10.1186/1751-0759-4-7 

  20. Schroevers MJ, Helgeson VS, Sanderman R, Ranchor AV. Type of social support matters for prediction of posttraumatic growth among cancer survivors. Psycho-Oncology. 2010;19(1):46-53. https://doi.org/10.1002/pon.1501 

  21. Lindstrom CM, Cann A, Calhoun LG, Tedeschi RG. The relationship of core belief challenge, rumination, disclosure, and sociocultural elements to posttraumatic growth. Psychological Trauma: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2013;5(1):50-55. https://doi.org/10.1037/a0022030 

  22. Itzhaki M, Peles-Bortz A, Kostistky H, Barnoy D, Filshtinsky V, Bluvstein I. Exposure of mental health nurses to violence associated with job stress, life satisfaction, staff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2015;24(5):403-412. https://doi.org/10.1111/inm.12151 

  23. Shin HJ, Kim KH. Emotional labor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Korean psychiatric nurs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5;35(4):190-216. 

  24. Calhoun LG, Tedeschi RG. 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ractice. 1st Engl. Ed. Kang YS, Yim JR, Jang A, Roh AY, translators. Seoul: Hakjisa; 2015. p. 44-189. 

  25. Kloss JD, Lisman SA. An exposure-based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written emotional disclosure.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2;7(1):31-46. https://doi.org/10.1348/135910702169349 

  26. Shin SY. The effect of meaning in life and social support on posttraumtic growth: Rumination as a mediating variable. [master's thesis]. Buche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09. p. 1-59. 

  27. Frattaroli J. Experimental disclosure and its moderators: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2006;132(6):823-865. https://doi.org/10.1037/0033-2909.132.6.823 

  28. Mitchell RJ. Path analysis: Pollination. In: Scheiner SM, Gurevitch J, editors. Design and Analysis of Ecological Experiments. New York: Chapman and Hall; 1993. p. 211-231. 

  29. Tedeschi RG, Calhoun L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996;9(3):455-471. https://doi.org/10.1002/jts.2490090305 

  30. Song SH, Lee HS, Park JH, Kim K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9;14(1):193-214. 

  31. Horowitz M, Wilner N, Alvarez W. Impact of event scale: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1979;41(3):209-218. http://doi.org/10.1097/00006842-197905000-00004 

  32. Weiss DS, Marmar CR.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n: Keane TM, Wilson JP, editors.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New York: Guilford Press; 1997. p. 399-411. 

  33. Eun HJ, Kwon TW, Lee SM, Kim TH, Choi MR, Cho SJ.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5;44(3):303-310. 

  34. Bartone PT. A short hardiness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vention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Society; 1995 Jun 29-Jul 2; New York, NY. 

  35. Cho JY, Lee YW, Kim HS, Kim SH. Relationships among response for violence experience, hardin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emergency departmen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1;23(5):494-502. 

  36. Park JH. Effects of rumination, thought suppression, and self-disclosure about the stressful life event on emo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dissertation]. Seoul: Sungkyunkwan University; 2007. p. 1-239. 

  37. Park JW.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5. p. 1-127. 

  38. Calhoun LG, Cann A, Tedeschi RG, McMillan J. A correlational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religion, and cognitive processing. Journal of Traumatic Stress. 2000;13(3):521-527. http://doi.org/10.1023/A:1007745627077 

  39. Kim GS. (Amos 18.0)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ae Publishing; 2010. p. 1-663. 

  40. Moon SB. Basic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17.0. Seoul: Hakjisa; 2009. p. 1-680. 

  41. Taku K, Cann A, Tedeschi RG, Calhoun LG. Intrusive versus deliberate rumination in posttraumatic growth across US and Japanese samples. Anxiety, Stress and Coping. 2009;22(2):129-136. https://doi.org/10.1080/10615800802317841 

  42. Silvia PJ, Phillips AG. Evaluating self-reflection and insight as self-conscious trai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11;50(2):234-237. https://doi.org/10.1016/j.paid.2010.09.035 

  43. Weiss T. Correlates of posttraumatic growth in married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004;23(5):733-746. https://doi.org/10.1521/jscp.23.5.733.50750 

  44. Florian V, Mikulincer M, Taubman O. Does hardiness contribute to mental health during a stressful real-life situation? The roles of appraisal and cop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5;68(4):687-695. https://doi.org/10.1037/0022-3514.68.4.687 

  45. Paivio SC, Laurent C. Empathy and emotion regulation: Reprocessing memories of childhood abus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1;57(2):213-226. https://doi.org/10.1002/1097-4679(200102)57:2 3.0.co;2-b 

  46. Tedeschi RG, Calhoun LG. Target article: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2004;15(1):1-18.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1501_01 

  47. Cordova MJ, Cunningham LL, Carlson CR, Andrykowski MA. Posttraumatic growth following breast cancer: A controlled comparison study. Health Psychology. 2001;20(3):176-185. 

  48. Lee S, Gwon MG, Kim YJ.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trauma experience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8;26(1):31-37. https://doi.org/10.17547/kjsr.2018.26.1.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