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지역 일부 노인에서 지역사회 식품의 접근성 측면에서의 식품환경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Community Food-accessibility Environment among Urban Older Adult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5 no.2, 2020년, pp.137 - 149  

양나래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기랑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community foo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food purchasing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for the elderly as well as the various food environments under their socioeconomic diversity. Methods: For the qualitative data collection, this study intervie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역 사회 식품의 접근성에 대한 식품환경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 여 기존에 국외에서 지역사회 식품의 접근성 환경 측정을 위 해 제안된 5개의 영역[17]인 가용성(availability), 물리적 접근성(accessibility), 가격 적정성(affordability), 수용 성(acceptability), 편의성(accommodation)을 참고하였 다. 국외에서 제안된 식품환경 요인들 이외 국내에서 추가로 도출 가능성이 있는 요인을 제한하지 않기 위하여 식품구매 행태 및 식품구매 환경에 관한 전반적인 인식을 우선적으로 질문하였고, 기존 국외 연구에서 의미있게 제안된 지역사회 식품의 접근성 영역에 대한 국내 노인들의 인식이 영역별로 유사성 및 차별성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한 심층 질문으로 이 어갔다(Table 1). 가용성은 건강한 식품을 판매하는 동네 식료품점이 충분한지에 대한 인식, 물리적 접근성은 집에서 가까운 거리의 식료품점 이용 여부, 가격 적정성은 동네 식료품점에서 판매하는 식품 가격이 적절한지, 수용성은 동네 식료품점에서 판매하는 좋은 식품에 대한 기준의 인식, 편의 성은 동네 식료품점이 대상자의 요구도, 만족도에 상응하는 지를 조사하였다.
  • 특히, 건강한 식품을 판매하는 식료품점에 대한 지 리적 접근성에서는 상대적으로 문제가 없는 도시에서 영양 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취약한 노인들의 식품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식품환경의 요인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는 이들 의 향후 영양 중재 전략의 근거 자료로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론을 이용하여 도시 일부 지역의 노인을 대상으로 기존 연구에서 의미 있게 제시되었던 식품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식품환경 요인 을 기반으로 노인들의 식품환경 요인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 고, 대상자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식품환경 인식의 다양 성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지역사 회 식품환경에 대한 개념 부족과 연구 미비로 국외에서 적용 되고 있는 중요한 식품환경 요인이 국내 상황에서도 적합한 지에 대한 평가도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 일부 지역의 노인을 대상으로 국외에서 다루 고 있는 지역사회 식품환경 요인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 고 있는지, 국내에서 추가적인 지역사회 식품환경 요인은 존 재하는지, 지역사회 식품환경의 인식은 소득수준에 따라 다 른 양상을 보이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관련된 분야에 대한 국내 연구의 부재로 양적 조사보다는 좀 더 심층적인 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질적 조사 방법론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일부 도시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질적 조사 방법 론을 활용하여 국외에서 다루고 있는 지역사회 식품환경 요 인에 대한 인식의 유사성 및 차별성을 확인하고, 해당 인식 들이 소득수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 파악하고자 하 였다. 일반가구 65세 이상 노인 9명과 저소득가구 65세 이 상 노인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소득가구 노인 대상자들이 식품구매 장소 선택 시, 물리적 거리의 영향은 낮은 이유는? 저소득가구 노인 대상자들은 식품구매 장소 선택 요인으 로 물리적 거리의 영향은 낮았다. 집으로부터 거리가 다소 멀 더라도 재래시장을 이용하는 경향이 컸는데, 물리적 거리의 영향이 낮은 이유로는 시장의 식품이 저렴하다는 인식, 지하 철과 같은 대중교통의 접근성이 좋거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 는 부분이 있었다.
노인 대상자들의 국산 제품에 대한 인식는 어떠한가? 대상자들은 국산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높아 국내 원 산지의 식품을 판매하는 식료품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 났는데, 재래시장보다는 마트에서 국산 제품을 판매할 것이 라는 신뢰가 더 높았다. 소포장용으로 껍질을 벗긴 채 판매 하는 채소 제품은 원산지가 불분명하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 도가 낮은 편이었다.
노인의 영양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경제 수준의 향상과 함께 식생활 또한 빠른 속도로 변화함 에 따라[1] 가공식품과 간편식의 섭취가 증가하고 동물성 식 품과 정제된 식품의 사용 증가로 다양한 만성질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2]. 특히 노인에서 영양 상태는 정상적인 노 화와 만성질환의 관리 및 예방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대 부분의 노인 대상 연구에서는 식품 및 영양소 섭취의 결핍 또 는 과잉에 대한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으나, 만성질환 의 관리 및 예방을 위해서는 식품 섭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 칠 수 있는 식품 선택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Lee K, Kim SH, Heo SY, Choi JH, Park IH. The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2018. Naju: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8. 

  2. Afshin A, Sur PJ, Fay KA, Cornaby L, Ferrara G, Salama JS et al. Health effects of dietary risks in 195 countries, 1990-2017: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7. Lancet 2019; 393(10184): 1958-1972. 

  3. Lee CH, Lee SE, Jang MJ, Choe JS, Park YH, Kim Y. An analysis of food purchase accessibility and availability for rural households: The cases of Bibong-myeon and Maesong-myeon, Hwaseong-si.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14; 25(4): 581-600. 

  4. Kim DH, Lee CK, Seo DY. Food deserts in Korea? A GIS analysis of food consumption patterns at sub-district level in Seoul using the KNHANES 2008-2012 data. Nutr Res Pract 2016; 10(5): 530-536. 

  5. Haynes-Maslow L, Leone LA.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od environment and adult diabetes prevalence by country economic and racial composition: an ecological study. BMC Public Health 2017; 17(1): 648. 

  6. Shim JE, Hwang JY, Kin K. Objective and perceived food environment and household economic resources related to food insecurity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rural areas. BMC Geriatr 2019; 19(1): 234. 

  7. Momosaki R, Wakabayashi H, Maeda K, Shamoto H, Nishioka S, Kojima K et al. Association between food store availability and the incidence of functional disability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Results from the Japanese gerontological evaluation cohort study. Nutrients 2019; 11(10): 2369. 

  8. Dean WR, Sharkey JR. Rural and urban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s between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food environment and fruit and vegetable intake. J Nutr Educ Behav 2011; 43(6): 426-433. 

  9. Glanz K, Sallis JF, Saelens BE, Frank LD. Healthy nutrition environments: Concepts and measures. Am J Health Promot 2005; 19(5): 330-333. 

  10. Boswell N, Byrne R, Davies PSW. Family food environment factors associated with obesity outcomes in early childhood. BMC Obes 2019; 6(1): 1-11. 

  11. Bodor JN, Rose D, Farley TA, Swalm C, Scott SK. Neighbourhood fruit and vegetable availability and consumption: The role of small food stores in an urban environment. Public Health Nutr 2008; 11(4): 413-420. 

  12. Jetter KM, Cassady DL. The availability and cost of healthier food alternatives. Am J Prev Med 2006; 30(1): 38-44. 

  13. Moore LV, Diez Roux AV, Nettleton JA, Jacobs DR. Associations of the local food environment with diet quality: A comparison of assessments based on survey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m J Epidemiol 2008; 167(8): 917-924. 

  14. Lytle LA. Measuring the food environment: State of the science. Am J Prev Med 2009; 36(4): 134-144. 

  15. Bryant M, Sahota P, Santorelli G, Hill A. An exploration and comparison of food and drink availability in homes in a sample of families of White and Pakistani origin within the UK. Public Health Nutr 2014; 18(7): 1197-1205. 

  16. Mercille G, Richard L, Gauvin L, Kestens Y, Shatenstein B, Daniel M et al. The food environment and diet quality of urbandwelling older women and men: Assessing the moderating role of diet knowledge. Can J Public Health 2016; 107(1): eS34-eS41. 

  17. Caspi CE, Sorensen G, Subramanian SV, Kawachi I. The local food environment and diet: A systematic review. Health Place 2012; 18(5): 1172-1187. 

  18. Drewnowski A, Vernez Moudon A, Jiao J, Aggarwal A, Charreire H, Chaix B. Food shopping behaviors and socioeconomic status influence obesity rates in Seattle and in Paris. Int J Obes (Lond) 2014; 38(2): 306-314. 

  19. Williams LK, Thornton L, Ball K, Crawford D. Is the objective food environment associated with perceptions of the food environment? Public Health Nutr 2012; 15(2): 291-298. 

  20. Glaser BG, Strauss AL.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New York: Aldine; 1967. 

  21. Shin GR.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ranslated version). 1st ed. United States of America original written by Strauss A, Corbin JM. Seoul: Hyunmoonsa; 2001. p. 91-110. 

  2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ealth effects of limited access to healthy food: obesity, chronic disease, and poor nutrition [internet].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cited 2020 Jan 10].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healthyplaces/healthtopics/healthyfood/obesity.htm 

  23. Sharkey JR, Johnson CM, Dean WR. Food access and perceptions of the community and household food environment as correlates of fruit and vegetable intake among rural seniors. BMC Geriatr 2010; 10(1): 32. 

  24. Glanz K. Measuring food environments: A historical perspective. Am J Prev Med 2009; 36(4): S93-S98. 

  25. Green SH, Glanz K. Development of the perceived nutrition environment measures survey. Am J Prev Med 2015; 49(1): 50-61. 

  26. Pitt E, Gallegos D, Comans T, Cameron C, Thornton L. Exploring the influence of local food environments on food behaviours: A systematic review of qualitative literature. Public Health Nutr 2017; 20(13): 2393-2405. 

  27. Love P, Whelan J, Bell C, McCracken J. Measuring rural food environments for local action in Australia: A systematic critical synthesis review.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9; 16(13): 2416. 

  28. Gustafson AA, Sharkey J, Samuel-Hodge CD, Jones-Smith J, Folds MC, Cai J et al. Perceived and objective measures of the food store environment and the association with weight and diet among low-income women in North Carolina. Public Health Nutr 2011; 14(6): 1032-1038. 

  29. Black C, Moon G, Baird J. Dietary inequalities: What is the evidence for the effect of the neighbourhood food environment? Health Place 2014; 27: 229-242. 

  30. Lytle LA, Sokol RL. Measures of the food environment: A systematic review of the field, 2007-2015. Health Place 2017; 44: 18-34. 

  31. Giskes K, Van Lenthe FJ, Brug J, Mackenbach JP, Turrell G.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food purchasing: The contribution of respondent-perceived and actual (objectively measured) price and availability of foods. Prev Med 2007; 45(1): 41-48. 

  32. Vilaro MJ, Barnett TE, Mathews A, Pomeranz J, Curbow B. Income differences in social control of eating behaviors and food choice priorities among southern rural women in the US: A qualitative study. Appetite 2016; 107: 604-612. 

  33. Park E. A comparison of community health status by region and an investigation of related factors using community health indicators. J. Korean Acad 2012; 23(1): 31-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