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 개정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 교육과정의 2차 년도 적용 현황 추이 분석
Trend Analysis of Curriculum Application Status of 2015 Revised Integrated Science and Scientific Laboratory Experiment Curriculum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3 no.1, 2020년, pp.53 - 63  

곽영순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2019년도에 적용 2년차를 맞이한 고등학교 과학과 공통과목인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의 2차 년도 적용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과학과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제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총244개의 과학중점고와 일반고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2018년도 1차 년도 조사결과와 양적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초점집단을 구성하는 9명의 과학교사들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2차 년도 적용현황에 대한 심층 답변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1차 년도와 마찬가지로 적용 2년차에도 통합과학은 대부분 6~8단위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학급당 통합과학을 담당하는 교사는 3~4명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초점집단 면담에서 현장교사들은 통합과학이 통합적 지도를 필요로 하며 학생의 흥미와 관심 유발에도 좋지만, 평가공정성 확보 등의 문제로 과정중심 평가 등을 구현하기는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과학탐구실험의 경우 대부분 학기당 1단위로 2개 학기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가르치는 사람이 달라서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을 거의 연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도부터 과학탐구실험의 학교생활기록 기재 방식이 절대평가로 변경되어서 상대평가로 성적산출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학생들의 만족도나 수업의 흐름이 기대한 것보다 훨씬 좋고, 부담없이 가르칠 수 있다고 교사들은 말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과학과 공통과목인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 교육과정 안착을 위한 지원방안,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서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 과목의 개선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second year of application of Integrated Science and Science Laboratory Experiments, which are common courses of high school, and to explore suggestions for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future. To this end, the results of the survey ...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초점집단은 지역과 전공을 안배하여 구성하였으며, 과학중점고에 소속된 교사가 총 4명, 일반고에 소속된 교사가 총 5명이었다. 과학과 선택과목과 교육과정 혹은 교과서 개발에 참여한 교사들 위주로 선발함으로써 과학과 교육과정에 적용 현황에 대한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답변을 얻고자 하였다.
  • 5배수를 표집하였다.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있어 일반계 고등학교 차별성을 보인다고 판단하여, 과학중점고와 일반고로 구분하여 집단별 양적 비교를 목적으로 하였다. 2015개정 교육과정을 충분히 운영한 상태에서 설문자료를 수집할 수 있도록 10월 중순부터 약 2주간 온라인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 즉,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의 수업 연계 현황, 통합과학 및 과학탐구실험 수업 편성과 운영 현황 및 장단점, 과학과 핵심역량 강화 등에 대한 추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과학탐구실험 과목의 「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 지침」 변경으로 인해 교육과정 적용 1차 년도(2018년도)와 비교하여 2차 년도 과학탐구실험 교육과정의 운영과 수업에서 무엇이 달라졌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 먼저 본 연구에서는 2019년도에 적용 2년차를 맞이한 고등학교 과학과 공통과목인 통합과학과 과학탐구 실험의 2차 년도 적용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과학과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제언을 도출하고자 한다. 즉,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의 수업 연계 현황, 통합과학 및 과학탐구실험 수업 편성과 운영 현황 및 장단점, 과학과 핵심역량 강화 등에 대한 추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2019년도에 적용 2년차를 맞이한 고등학교 과학과 공통과목인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의 2차 년도 적용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과학과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1차 년도와 마찬가지로 적용 2년차에도 통합과학은 대부분 6~8단위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학급당 통합과학을 담당하는 교사는 3~4명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 먼저 본 연구에서는 2019년도에 적용 2년차를 맞이한 고등학교 과학과 공통과목인 통합과학과 과학탐구 실험의 2차 년도 적용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과학과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제언을 도출하고자 한다. 즉,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의 수업 연계 현황, 통합과학 및 과학탐구실험 수업 편성과 운영 현황 및 장단점, 과학과 핵심역량 강화 등에 대한 추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과학탐구실험 과목의 「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 지침」 변경으로 인해 교육과정 적용 1차 년도(2018년도)와 비교하여 2차 년도 과학탐구실험 교육과정의 운영과 수업에서 무엇이 달라졌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i, S., Shin, C., Hwang, E., Lee, S., Kin, E., Yoo, J., Jung, M., & Song, J. (2015). General manual for the opera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Seoul: KEDI. 

  2. KOFAC (2015). Development research of 2015 revised draft subject curriculum II: Science curriculum(Research report BD15110002). Seoul: KOFAC. 

  3. KOFAC (2018). Study on exploration of the gap between colleges and high schools, and ways to resolve it for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Seoul: KOFAC. 

  4. Kwak, Y., & Shin, Y., (2019). Analysis of enacted curriculum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 of integrated science teaching in 2015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9(3), 379-388. 

  5. Lee, H., Kwak, Y., Park, Y., Shin, Y., & Lee, H. (2018). A study on ways to improve in-service teacher training 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2015 revised curriculum. MOE.CNUE. 

  6. Ministry of Educ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MOE & KICE]. (2017). How do you assess the process? (KICE ORM 2017-19-1). Sejong: Author. 

  7. MOE (2015). Science curriculum. MOE notification No. 2015-74[supplement 9]. 

  8. MOE (2016).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Integrated science & science inquiry and experiment. MOE.Daejeo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9. MOE (2017).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2015 revised highschool sciences. MOE.Daejeo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ejong: Author. 

  10. MOE (2018a). Guidelines for the creation and management of school life records. Partial revision(draft) administrative notice. MOE announcement 2018-332. 

  11. MOE (2018b). Research on the quality control for the implementation of new course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OE policy research 2018-22. 

  12. Park, E. A., Byun, H., Kim, H. K., Kim, H., Yu, C. W., & Jung, C. K. (2017). How to apply 2015 national curriculum to school subjects: Focusing on the general highschool. Seoul: KICE. 

  13. Park, H., Sim, J., Choi, H., Lim, H., Park, J., Ahn, H., & Yang, S. (2019). Monitoring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eoul: KOFAC. 

  14. Shin, H., Ahn, S., & Kim, Y. (2017). A policy analysis on the process-based evaluation-Focusing on middle school teachers in Seoul.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2), 135-162. 

  15. Shin, Y., & Kwak, Y. (2019). Analysis of realities of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cienc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3(1), 64-78. 

  16. Shin, Y., Kwak, Y., Kim, J., & Lim, U. (2019). Investigation of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high school: Focused on common subjects. MOE.GNUE. 

  17. Shin, Y., Kwak, Y., Sung, J., Lee, J., & Lim, E. (2018). Research on the quality control for the implementation of new course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OE ORM 2018-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