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Streptococcus sobrinus KCOM 1157에 대한 약용식물들의 항균 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s extracts against Streptococcus sobrinus KCOM 1157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2, 2020년, pp.279 - 286  

음진성 (목원대학교 의생명.보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아우식증 치료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널리 사용되어왔던 20종류의 약용식물로부터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치아우식증 원인균인 Streptococcus sobrinus KCOM 1157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약용식물들을 조사하였다. 감초, 고삼, 황련, 박하, 송절, 부평초 등의 추출물들이 S. sobrinus KCOM 1157에 대해서 항균 활성을 보여주었다. 이 중 송절, 고삼, 황련 등의 천연물들은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은 송절, 고삼, 황련의 천연물들이 S. sobrinus 를 포함한 구강질환 세균들에 대한 항우식증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ural extracts were isolated from 20 kinds of medicinal plants that have been traditionally widely used in Korea to develop treatments for dental caries. Medicinal plants showing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a cariogenic bacterium, Streptococcus sobrinus KCOM 1157 were investigated. The natural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치아우식증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되는 천연물을 찾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20종류의 약용식물로부터 천연물들을 추출하여 치아우식증을 유발하는 세균인 S. sobrinus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천연물들을 조사하였다. 20종류의 약용식물 중 송절, 고삼, 황련, 감초, 박하, 부평초 등 6종류의 천연물들이 항균 활성을 보여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우식증의 예방 및 치료 방법은 무엇인가? 최근 현대인들의 식생활 형태가 점차 다양화됨에 따라서 당류의 소비는 계속 증가하고 있고, stress 등 의 원인으로 면역기능은 약화되어 구강 내 미생 물들이 증가 추세에 있다[5]. 치아우식증은 세균에 의한 질환이므로 S. mutans 및 S. sobrinus의 성장 억제나 glucosyltransferase 및 fructosyltransferase 활성 저해제를 찾는 것이 치아우식증의 예방 및 치료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항균물질들은 chlorohexidine, penicillin, erythromycin, tetracycline 등이 있으나 치아 착색, 구강 점막 상피의 손상, 궤양, 미각 장애, 치아 석회 침착물 부착, 소화기 장애, 과민반응 및 내성균 발생 등의 다양한 부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6].
치아우식증은 무엇인가? 구강 내에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번식하고 있으며, 이들에 의해서 치아우식증 및 치주염 같은 여러 구강질환이 발생되고 있다. 치아우식증은 미생물에 의한 감염성 질환이며, 치태(dental plaque)내 세균, 음식물, 타액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치질의 파괴와 상실을 일으키는 다인성 질환으로서, 한국인의 80-90 %가 일생에 한 번 이상 앓게 되는 대중병이다[1]. 구강 세균 중 특히 Streptococcus mutans와 Streptococcus sobrinus 가 인간의 구강 내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고 우식 부위에 존재하는 주요 원인균으로 밝혀지고 있다 [2].
치아우식증의 원인 세균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치아우식증은 미생물에 의한 감염성 질환이며, 치태(dental plaque)내 세균, 음식물, 타액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치질의 파괴와 상실을 일으키는 다인성 질환으로서, 한국인의 80-90 %가 일생에 한 번 이상 앓게 되는 대중병이다[1]. 구강 세균 중 특히 Streptococcus mutans와 Streptococcus sobrinus 가 인간의 구강 내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고 우식 부위에 존재하는 주요 원인균으로 밝혀지고 있다 [2]. 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 M. Park, J. S. You, H. Y. Lee, N. I. Beak, and J. K. Hwang, "Antibacterial agents from the root bark of Morus alba against oral pathogen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Vol. 84, pp. 181-185, (2003). 

  2. J. van Houte, "Role of micro-organisms in caries etiology", Journal of Dental Research, Vol. 73, pp. 672-681, (1994). 

  3. J. K. Hang, J. Y. Chung, N. I. Baek, J. H. Park, "Isopanduratin A from Kaempferia pandurata as an active antibacterial agent against cariogenic Streptococcus mutans", International Journal of Antimicrobial Agents, Vol 23, pp. 377-381, (2004). 

  4. M. Lundgren, C. G. Emilson, T. Osterberg, "Root caries and some related factors in 88-year-old carriers and non-caries of Streptococcus sobrinus in saliva". Caries Research. Vol 32, pp. 93-99, (1998). 

  5. Y. S. Lee, H. J. Park, J. S. You, H. H. Park, I. B. Kwon, H. Y. Lee, "Isolation of on anticariogenic compound from Magnoliae Bark",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Technology, Vol. 30, pp. 230-236, (1998). 

  6. Y. Uezono, H. Tsumori. H. Mukasa,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extracellular glucosyl-transferase from Streptococcus bovis", Journal of Oral Microbiology, Vol. 11, pp. 115-120, (1996). 

  7. P. Gjermo, "Chlorhexidine and related compounds", Journal of Dental Research, Vol. 68, pp. 1602-1608, (1989). 

  8. R. A. Kopczyk, H. Abramaz, A. T. Brown, J. L. Mateny, A. L. Kaplan, "Clinical and microbioligical effects of a sanguinaria-containing mouthrinse and dentifrice with and without fluoride during 6 months", Journal of Periodontology, Vol. 62, pp. 612-622, (1991). 

  9. S. W. Kim, J. W. Lee, S. J. Kim, H. S. Moon, C. H. Koo, "The Effects of Dentifrice Containing Sage Oil, Dentifrice Containing Chlohexidine and Dentifrice Containing Sanguinaria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Periodontal Pathogens", Journal of Korean Academy Dent Health, Vol. 18, pp. 574-581, (1994). 

  10. Y. S. Lee, H. J. Park, J. s. You, H. H. Park, I. B. Kwon, H. Y. Lee, "Isolation of an anticariogenic compound from Magnoliae bark",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Technology, Vol 30, pp 230-236, (1998) 

  11. I. W. Choi, C. H. Jung, Y. K. Park, "Anticariogenic activities of various plant extract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Technology, Vol. 35, pp 1221-1225, (2003). 

  12. S. J. Kim, Y. M. Park, S. T. Jung, "Anticariogenic effects and inhibition of glucosyltransferase activity of Chrysanthemun indicum L. extrac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od Culture, Vol. 20, pp. 341-345, (2005). 

  13. E. J. Jung, S. J. Hong, J. L. Choi, S. S. Jeong, H. J. Lee, C. H. Choi, "In vitro growth inhibition of Streptococcus mutans by extract of prickly pear", Journal of Korean Academy Oral Health, Vol. 34, pp. 28-35, (2010) 

  14. H. Y. Sohn Y. S. Kwon, Y. S. Kim, H. Y. Kwon, G. S. Kwon, K. J. Kim, C. S. Kwon, K. H. Son, "Screening of thrombin inhibitors from medicinal and wild plants", Korean Journal of Pharmacology, Vol. 35, pp. 52-61, (2004). 

  15. D. S. Do, S. M. Lee, M. K. Na, K. H. Bae,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against a cariogenic bacterium, Streptococcus mutants OMZ 176", Korean Journal of Pharmacology, Vol. 33, pp. 319-323, (2002). 

  16. J. S. Eum, Y.D. Park,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Korean Journal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s, Vol. 13, pp. 189-195, (2007). 

  17. Z. M. Ross, E. A. OGara, D. J. Hill, H. V. Sleightholme, D. J. Maslin, "Antimicrobial properties of garlic oil against human enteric bacteria evalution of methodologies and comparisons with garlic oil sulfides and garlic powder",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Vol. 67, pp. 475-480, (2001). 

  18. K. D. Suk, S. J. Lee, J. M. Bae, "Inhibitory effects of Cuscuta japonica extract and Cuscuta australis extract on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Korean Journal of Pharmacology, Vol. 35, pp. 380-383, (2004).. 

  19. A. Aydin, G. Ersoz, O. Tekesin, E. Akcicek, M. Tuncyurek, "Garlic oil and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94, pp. 1200-1202, (2000). 

  20. Korean Medicinal Plant Research Association, "Medicinal Plant Science", pp. 95-219, Hakchangs,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