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고령자의 스마트폰 사용수준과 지역사회참여 간의 융복합 분석
Combined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age Level and Community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5, 2020년, pp.275 - 280  

우예신 (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박혜연 (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과제기반 설문조사를 통해 중고령자의 스마트폰 사용수준을 구분하고, 사용수준과 지역사회참여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강원도와 전라도 지역에 소재한 노인시설에 방문하는 55세 이상 1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스마트폰 사용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과제기반 설문지를 실시하고,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0~3점 'C' 수준, 4~7점 'B' 수준, 8점 이상 'A' 수준으로 재분류하여 평가하였다. 자료 처리는 SAS 9.4를 이용하였다. 총 97명의 데이터가 결과분석에 포함되었으며, 스마트폰 사용자가 85명(87.6%)로 높게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스마트폰 사용수준과 지역사회참여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r=0.22)가 나타났다. 평균비교 결과, 스마트폰 사용수준과 지역사회참여도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p=0.04)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사용수준별로 지역사회참여도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노인이 높은 스마트폰 교육요구도를 나타냈다. 교육만족도와 스마트폰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도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participation and smartphone usage level. The study was conducted for 100 people aged 55 or older. We conduct a task-based questionnaire to evaluate smartphone usage level. The levels of smartphone use were reclassified as 0~3 po...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단순히 사용빈도나 활용용도를 조사하여 스마트폰 사용수준을 평가하는 것은 제한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제(Task)기반의 설문조사를 통해 중고령자의 스마트폰 사용수준을 구분하고 지역사회참여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한다.
  • 그러므로 스마트폰 사용이 지역사회 활동참여에 어떤영향을 주는지 분석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잘 사용하는 중고령자일수록 지역사회참여도가 높은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스마트폰 활용과의 관계를 분석한 선행 연구를 보면 스마트폰 사용 유무, 사용하는 기능의 개수를 통해 분석하거나 스마트폰 활용 내용을 분류하여 사용 개수를 점수화하는 등 주관적인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해서 활용능력을 평가하였다[1,13,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떤 사회 변화로 인해 정보통신기술 이용률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21세기는 정보화 사회로 정보 활용 능력에 따라 생활수준이 결정될 수 있는 만큼 정보화에 대한 적절한 지식과 기술 습득이 중요해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스마트시대 등 급속한 사회변화에 의해 인터넷, 테블릿 PC,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통신기술 이용률도 증가하고 있다[1].
디지털 소외(digital alienation) 현상이란? 하지만 기술에 적응하지 못하여 동등한 혜택을 누리지못하는 디지털 소외(digital alienation) 현상이 장노년층에서 두드러지고 있다[5,6]. 실제로 50세 이상 장노년층의 모바일 정보화 수준은 18.
스마트폰 사용수준과 지역사회참여의 상관관계는? 그 결과 지역사회참여와 스마트폰 사용수준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고, 지역사회참여는 스마트폰 사용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스마트폰 사용수준이낮은 집단일수록 지역사회활동에 참여하는 시간이 낮게나타나고, 스마트폰 사용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지역사회활동에 참여하는 시간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 Y. Kim & H. J. Jun. (2016).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The Mediating Role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2(3), 343-370. 

  2. Y. C. Jung. (2018). Broadcast Media Usage Survey. https://kcc.go.kr/user.do 

  3. M. Y. Kim, Y. H. Kang, D. Y. Jung & G. J. Lee. (2003). Older Adults' Smart Phone Use and Access to Health Informatio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14(1), 13-22. 

  4. M. Y. Kim & H. J. Jun. (2016). The Influences of IT Use and Satisfaction with IT Use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1(1), 85-110. 

  5. Y. J. Yoon & S. H. Yi. (2011). The Necessity of Service Design as Social Capital for the Class of Digital Divide-focused on the seniors' using the internet and their alienation from the internet.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4(4), 193-198. 

  6. J. A. Oh & J. W. Yoo. (2018). A Study on th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Korean Public Management Review, 32(2), 319-344. doi: 10.24210/kapm.2018.32.2.013 

  7. J. A. Choi, Y. S. Lee, M. S. Kwon, S. H. Shin, C. Y. Son & E. H. Ko. (2012). 2011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Daegu: Miinistry of Sience, ICT and Future Planning.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http://ww.nia.or.kr 

  8. G. Kim. (2014). An Exploratory 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Divide and Social Exclus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17(2), 61-88. 

  9. J. Y. Park. (2018). Fact of Digital Divide. Jincheon: KISDI STAT. 

  10. J. Kim & S. Y. Kim. (2017). Future Population Estimation(2017-2067). Dajeon: Kostat. 

  11. M. R. Kim. (2008). A Comparative Study of the Factors of Women's Quality of Life by Generation-babyboom, X and Pre-older Adult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1, 7-34. 

  12. R. J. Havighurst & R. Albrecht. (1953). Older people. New York: Longmans. 

  13. J. H. Park. (2016). The Effect of Elders' Utilization of Cellular Phone Functions on Their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Master's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14. S. S. Kim & H. I. Choi. (2019). The Effect of the Using a Smartphone by the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11), 841-851. 

  15. ECDL Foundation. (1995). Basic module. http://ecdl.org/about-ecdl/base-modules. 

  16. Y. R. Kim. (2016). A Study on the Senior's Smartphone Usage patterns based on their Digital Literacy Levels-A Smartphone Log Data Analysis. Master's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7. A. W. Heinemann et al. (2011). Measuring participation enfranchisement.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2, 564-571. doi: 10.1016/j.apmr.2010.07.220 

  18. E. J. Kim, M. Y. Jung, E. Y. Yoo, J. H. Park, K. M. Kim & T. Y. Lee. (2017). A Study on a Korean-Translated Version of the Community Participation Indicator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5(2), 115-128. 

  19. P. J. Curran, S. G. West & J. F. Finch.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20. J. S. Koo. (2013). A Study on the Online Community Activity of the Aged : the Concern of Gender.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16, 241-272. 

  21. H. G. Kim, K, W. Shin, D. H. Ko & S. H. Lee. (2011). Mobile Divide in the Smartphone Era. Seoul:KT Institute of Management Economics.Yonsei University-Industry Foundation Publishing. 

  22. J. W. Lee, K. S. Hong & H. J. Lee. (2014). 2013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Daegu: Miinistry of Sience, ICT and Future Planning.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http://ww.nia.or.kr 

  23. W. W. Huh, W. S. Kim, Y. S. Han & S. H. Gu. (2012). Smartphone Application development strategy for Silver Generation.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5(2), 223-230. 

  24. W. Huh & J. Y. Kim. (2011). A study of smartphone UI design guideline for the elderly. Info Design Issue, 29, 3-14. 

  25. E. K. Kim. (2009). Blended Learning for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of the Aged. Master'sl dissertation. Pukyoung National University, Busan. 

  26. C. G. Kim & J. M. Lee. (2018). Development Direction of Geriatric Information Education from Elderly Learner's perspectiv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Gerontology 2018 Fall Conference Presentation, 1-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