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Adaptabili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5, 2020년, pp.89 - 98  

박윤희 (숭실대학교 베어드교양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진로적응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 256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적응성 간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계획된 우연기술은 진로적응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계획된 우연기술과 유연성을 제외한 계획된 우연기술의 모든 하위요인들이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강화를 위하여 진로준비행동과 계획된 우연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to strengthen career adaptability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The data collected from 256 students in junior and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적응성 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확인하는 차원에서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결과가 대학생들의 취업 후 직무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대학생들의 진로적응성을 강화할 수 있는 변인들에 대한 후속연구와 더불어 21세기 불확실성의 시대에 인재들에게 요구되는 계획된 우연기술에 대한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촉구하는 바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적응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차원에서 진로준비행동과 계획된 우연기술의 진로적응성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과 매개효 과의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소재 4년제 대학의 3, 4학년 학생 2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내용 분석을 통해 도출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독립변인, 종속변인과 매개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 표준편차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Table 1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적응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차원에서 진로준비행동과 계획된 우연기술의 진로적응성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과 매개효 과의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소재 4년제 대학의 3, 4학년 학생 2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내용 분석을 통해 도출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진로적응성을 강화하는 변인들에 대해 살펴보는 차원에서 진로준비행동,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를 입증한 연구들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먼저,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적응성 간에는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3,12,13].

가설 설정

  • 김종상[21]의 연구는 본 연구 수행에 중요한 선행연구로서 가치를 갖는 측면도 있으나 동시에 본 연구와 몇 가지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차이이다. 여행사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자들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와 연구대상자가 상이한 면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 H. Park. (2016. 06. 06). "28% of New Graduate Staff Leaving within one year of joining... Employment Status Survey for New Employees of KEF". https://www.g-enews.com. 

  2. Savickas, M. L. (2005). The Theory and practice of career construction. In Brown S, D., & Lent, R. W.(Eds),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 NJ: John Wiley & Sons, Inc. 

  3. S. B. Lee. (2016).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the Relation between Career Orient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9(2), 49-68.S. 

  4. B. H. Kim. (1997).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5. Mitchell, K. E., Levin, A. S., & Krumboltz, J. D. (1999). Planned happenstance: Constructing unexpected career opportunitie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7(2), 115-123. 

  6. Bornat, J., Henry, L., & Raghuram, P. (2011). The making of careers, the making of discipline: luck and chance in migrant careers in geriatric medicin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8, 342-350. 

  7. Bright, E., Pryor, R. G., & Harpham, L. (2005). The role of chance events in care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6, 561-576. 

  8. K. Y. Jang & B. W. Kim (2011). The Development of the Career Adaptability Scale for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Korea Journal Counseling, 12(2), 539-558. 

  9. B. W. Kim & K. H. Kim (1997).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9(1), 311-333. 

  10. E. Y. Son (2012). Effects of Happenstance in the Vocational Achievements of Female Career Counseling Professionals in 40’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3(2), 437-453. 

  11. M. A. Lee & B. W. Kim (2017). The difference in career adaptability, career optimism and job satisfaction by typology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Korean worker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8(1), 287-306. 

  12. W. J. Kim. (2018).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Autonomy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A thesis, Daegu Catholic University. 

  13. H. J. Park. (2016). Mediating Effects of Ego-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Adaptability in young job-seekers. MA thesis, Kyungsung University. 

  14. N. Y. Byun. (2017). The Mediating Effects and Moderating Effects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MA thesis, Dankook University. 

  15. Y. J. Sim. (2018).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Adaptability,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and Happanstance Coping Skills of College Students. MA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ty. 

  16. S. H. Yoo. (2016). Relationship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6(3), 149-168. 

  17. Y. S. Yun. (2019). The Effects of Job-seeking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on Career adaptability: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oderated by Planned Happenstance Skills. MA thesis, Hoseo University. 

  18. M. J. Kim. (2018).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Belief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MA thesis, Ajou University. 

  19. J. J. Jo & J. Y. Lee. (2017). The Relationships Among High School Students' Parental Nurturing Attitude, Self-Leadership,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Adaptation. 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8(1), 79-108. 

  20. S. O. Shin., S. Y. Park., & S. H. Lee. (2015). Qualitative Research on Happenstance in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of Coaches and Counselors in Career Transition. The Journal of Welfare and Counselling Education, 4(1), 1-27. 

  21. J. S. Kim. (2018). Study on influence relation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Adaptability of Travel Agency Employees: Focus on mediating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Ph.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22. Savickas, M. L., & Porfeli, E. J. (2012). The Career Adapt-Abilities Scale : Construction, reliability, and measurement equivalence across 13 countri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0, 661-673. 

  23. J. K. Tak. (2012). Career Adapt-Abilities Scale- Korea Form: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0, 712-715. 

  24. J. E. Jeong., & C. Y. Jyung. (2015). The Causal Relationship of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Social Suipport, Self-Esteem and Self-Directed Learning.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7(1), 79-96. 

  25. E. M. Lim., & M. S. Lee.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Students Counselling, 1, 101-113. 

  26. B. Kim., S. H. Jung., S. H. Jang., B. Lee., E. Rhee, S. H. Cho., & S. H. Lee, (2014). Construction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planned happenstance career inventory.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62, 239-253. 

  27. S. H. Jang. (2013). Role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barrie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vocational engagement. MA thesis, Korea University. 

  28.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