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지역사회노인의 가상현실 기반 인지훈련시스템 사용의도 탐색
Exploring the Intention to Use of Virtual Reality-Based Cognitive Training System for the Elderly Residing in Community Based o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5, 2020년, pp.347 - 356  

최문종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 본부) ,  최재성 (선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  천승호 ((주)인더텍 & (주)휴메닉) ,  하영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건강과학연구원) ,  양승경 (경남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노인의 가상현실 기반 인지훈련시스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지역사회 거주하는 노인 100명을 대상으로 2020년 1월 2일부터 1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 노인의 가상현실 기반 인지훈련시스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영향, 지각된 유용성, 쾌락적 동기, 연령 이였으며, 설명력은 54.4%였다. 본 연구결과 지역사회 노인들의 가상현실 기반 인지훈련시스템 사용의도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한 기술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가상현실기기 사용의도 정도와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가상현실 기반 인지훈련시스템 기술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tention to use of virtual reality-based cognitive training system for the elderly residing in community based o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data were collected 100 elderly residing in community from January 2 to January 31, 2020. As a r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기반 인지훈련시스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가상현실 기반 인지훈련시스템 사용의도를 파악하고,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노인의 가상현실 기반 인지훈련시스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주요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기반 인지훈련시스템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외부변수는 주관적 규범, 지각된 즐거움, 지각된 비용, 자기효능감 등이 포함되었으며[20,21], 새로운 기술의 채택과 사용을 위해서는 사회적 변수와 인지적 도구 과정 변수를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2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영향과 쾌락적 동기를 추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하여 새로운 기술의 사용의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또한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장애 예방 및 재활훈련을 위한 가상현실기기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기반 인지훈련시스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Statistics Korea. (2019).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PA003&vw_cd&list_id&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B1&path%252Fconts%252FnsportalStats%252FnsportalStats_0102Body.jsp 

  2. J. J. Koh. (2018). A review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by access to an aging society. Low and Policy, 24(1), 27-61. DOI :10.36727/jjlpr.24.1.201803.002 

  3. E. S. Lee. (2017) The physical activity and smart health care of trend for the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8), 511-516. DOI: 10.14400/JDC.2017.15.8.511 

  4. Korean Dementia Association. (2012). Dementia a clinical approach. Seoul: Academia. 

  5. N. T. Lautenschlager & O. P Almeida. (2006). Physical activity and cognition in old age. Current Opinion in Psychiatry, 19(2), 190-193. DOI: 10.1097/01.yco.0000214347.38787.37 

  6. M. V. Sanchez-Vives & M. Slater. (2005). From presence to consciousness through virtual reality. Nature Reviews Neuroscience, 6(4), 332-339. DOI: 10.1038/nrn1651 

  7. H. Kim, M. Lee & Y. Yang (2018). Literature research on the clinical effect of the virtual real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 Journal of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12(1), 1-11. DOI: http://dx.doi.org/10.34263/jsotad.2018.12.1.1 

  8. J. H. Lee. (2019).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5(1), 357-366. 

  9. E. P. Cherniack. (2011). Not just fun and games: applications of virtual reality in the identification and rehabilitation of cognitive disorders of the elderly. Disability &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6(4), 283-289. DOI: 10.3109/17483107.2010.542570 

  10. F. D. Rose, E. A. Attree, B. M. Brooks, D. M. Parslow, P. R. Penn & N. Ambihaipahan. (2000). Training in virtual environments: transfer to real world tasks and equivalence to real task training. Ergonomics, 43(4), 494-511. DOI: 10.1080/001401300184378 

  11. A. Mirelman, B. L. Patritti, P. Bonato & J. E. Deutsch. (2010). Effects of virtual reality training on gait biomechanics of individuals post-stroke. Gait & Posture, 31(4), 433-437. DOI: 10.1016/j.gaitpost.2010.01.016 

  12. J. W. Yoo, D. H. Ahn, S. H. Choun & S. P. Heo. (2019). Dementia care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with non-wearable sensing technology.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27(1), 79-82. 

  13. T. F. Hughes, J. T. Becker, C. W. Lee, C. C. Chang & M. Ganguli. (2015). Independent and combined effects of cognitive and physical activity on incident MCI. Alzheimers & Dementia, 11(11), 1377-1384. DOI: 10.1016/j.jalz.2014.11.007 

  14. E. J. A. Scherder et al. (2005). Physical activity and executive functions i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ging & Mental Health, 9(3), 272-280. DOI: 10.1080/13607860500089930 

  15. W. S. Choi, D. Y. Kang & S. J. M. Choi. (2017). Understanding factors influencing usage and purchase intention of a VR device : an extension of UTAUT2. Information Society & Media, 18(3), 173-208. 

  16. J. An & K. Park. (2019). Influencing factors on pre-implementation acceptance of geron technology for the elderly residing in commun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7), 157-165. DOI: 10.14400/JDC.2019.17.7.157 

  17. S. Kathleen, Q. H. Anabel & M. Kim. (2017). Problematizing the digital literacy paradox in the context of older adults' ICT use: Aging, media discourse, and self-determination. Canadian Journal of Communication, 42(2), 359?377. 

  18. F. D. Davis.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Quarterly, 13(3), 319-340. DOI: 10.2307/249008 

  19. V. Venkatesh & F. D. Davis. (2000).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46(2), 186-204. DOI: 10.1287/mnsc.46.2.186.11926 

  20. F. Abdullah & R. Ward. (2016). Developing a general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e-learning (GETAMEL) by analysing commonly used external factor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6, 238-256. DOI: 10.1016/j.chb.2015.11.036 

  21. J. W. Moon & Y. G. Kim. (2001). Extending the TAM for a World-Wide-Web context. Information & Management, 38(4), 217-230. DOI: 10.1016/S0378-7206(00)00061-6 

  22. J. Ahn & S. H. Yi. (2015). Factors associated with usage intention of smart technolog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 TAM2).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68, 357-387. DOI: 10.21194/kjgsw.68.201506.357 

  23. Y. G. Kim. (2015). The effect of the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system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in strok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8), 5476-5484. 

  24. H. J. Jang & G. Y. Noh. (2017).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of VR head-mounted display in early stage of diffus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5), 353-361. DOI: 10.14400/JDC.2017.15.5.353 

  25. Q. Q. Chen & H. J. Park. (2018). Consumer study on the acceptance of VR headsets based on the extended TA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6), 117-126. DOI: 10.14400/JDC.2018.16.6.117 

  26. S. Syed-Abdul et al. (2019). Virtual reality among the elderly: a usefulness and acceptance study from Taiwan. BMC Geriatrics, 19, 223. DOI: 10.1186/s12877-019-1218-8 

  27. G. H. Lee. (2017). Effects of a virtual reality exercise program(Wii) on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people with alzheimer dementia.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ertified Exercise Professionals, 19(1), 35-44. 

  28. J. H. Hwang & M. S. Park. (2018). Effect of a dual-task virtual reality program for senior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50(4), 492-500. 

  29. V. Venkatesh, J. Y. L. Thong, & X. Xu. (2012). Consumer acceptance and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extend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Quarterly, 36(1), 157-178. DOI: 10.2307/41410412 

  30. J. Y. Na & M. Y. Wui. (2019). A study on the intention of using VR games : focusing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19(3), 53-64. 

  31. S. T. Peek, E. J. Wouters, J. V. Hoof, K. G. Luijkx, H. R. Boeije & H. J. Vrijhoef. (2014). Factors influencing acceptance of technology for aging in place: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83(4), 235-248. DOI: 10.1016/j.ijmedinf.2014.01.004 

  32. K. Renaud & J. Van Biljon. (2008. October). Predicting technology acceptance and adoption by the elderly: a qualitative study. In the Proceedings of the 2008 annual research conference of the South African Institute of Computer Scientists and Information Technologists on IT research in developing countries: riding the wave of technology. (pp. 210-219). New York: ACM. DOI: 10.1145/1456659.1456684 

  33. R. P. Bagozzi & K. H. Lee. (2002). Multiple routes for social influence: the role of compliance, internalization, and social identity.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5(3), 226-247. DOI: 10.2307/3090121 

  34. S. M. Moon. (2019). The effects on intention use by the service quality and social influence of the AI speaker: A survey analysis based on a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35. S. T. An, H. N. Kang & S. D. Chung. (2018). Older adults' adoption of health-related mobile application: the role of empowerment. Journal of Public Relations, 22(6), 53-74. DOI: 10.15814/jpr.2018.22.6.53 

  36. H. Sun & P. Zhang. (2006). The role of moderating factors in user technology accept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64(2), 53-78. 

  37. E. L. Shamy & K. Hassanein (2017, January). A meta-analysis of enjoyment effect on technology acceptance: the moderating role of technology conventionality. In Proceedings of the 50th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pp. 4139-4147). 

  38. J. O. Lee & Y. M. Kim. (2013).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app-book purchasing behavior of smart phone users in korea.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18(3), 45-67. 

  39. B. G. Chung & H. L. Dong. (2019). Influential factors on technology acceptance of augmented reality(AR).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14(3), 153-168. 

  40. A. Morris, J. Goodman & H. Brading. (2007). Internet use and non-use: views of older users. Universal Access in the Information Society, 6(1), 43-57. 

  41. H. J. Kim & J. Y. Rha. (2017). Consumer resistance to smartwatches : gender and age difference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7(12), 447-460. DOI: 10.5392/JKCA.2017.17.12.447 

  42. K. H. Han & H. T. Kim. (2011). The Cause and solution of cybersickness in 3D virtual environments.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23(2), 287-2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