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폭력대화(NVC)모델에 근거한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omprehensive Sex Education Program Based on Nonviolent Communication Model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6 no.1, 2020년, pp.80 - 90  

강현진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김주희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Sex education should be given priority to address dating violence. Comprehensive sex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based on a nonviolent communication model between couples for the smooth resolution of problems with the opposite sex.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Compreh...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비폭력대화 모델을 근거한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후를 비교한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Figure 1).
  • 연구자는 사전에 포괄적 성교육 지침의 사용에 대해 한국 UNESCO에 승인을 받았다. 본 연구는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과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을 융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므로 비폭력대화의 프로그램에 연구자가 수료하고 연구한 비폭력대화기반 아하 존중대화 ACC 1 프로그램을 검토하였다. 비폭력대화 기반 아하 존중대화 ACC 1의 사용에 있어 사전에 아하가족성장연구소의 허락을 받았다.
  • 본 연구는 혼전 연인을 대상으로 연인관계 향상을 위하여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과 비폭력대화 모델과 같은 대화 중재를 융합하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강의실 등의 물리적 공간과 시간적 제약을 고려하여 언제 어디서나 쉽게 습득할 수 있는 웹 기반으로의 접근으로 제공할 때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하였다.
  • 연인과의 갈등 해결과 친밀감 목적, 데이트폭력 해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분이 의사소통 문제라고 보았을 때 비폭력대화 모델을 활용한 연인간 연구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효과가 검증된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과 인간관계에 초점을 둔 비폭력대화 모델을 융합시킨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후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하고자 한다.
  • 이는 비폭력대화 모델의 도입에 있어서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은 실습 위주의 환경을 중요시 하고 있다[14]. 본 연구에서의 웹기반 위주의 프로그램의 구성에서 비폭력대화의 실습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웹기반 학습 후 비폭력대화 실습과정을 설계함으로써 연인 간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비폭력대화 모델을 근거한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개발된 연인 간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성 의사소통과 문제해결 의사소통, 연인관계 유능성이 향상되었다.
  • 연인관계인 미혼 20-30대 커플을 위한 비폭력대화 모델에 근거한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절제중심 성교육이 연인관계에 도움이 되는지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 프로그램의 목적은 미혼 20-30대의 연인관계의 향상과 유지이다. 미혼 연인에게 도움이 되는 추가 연구가 이루어져 데이트폭력의 근절과 발전된 관계 유지에 도움이 되어야 할 것이다.
  • 프로그램의 설계는 포괄적 성교육 요구도에서 나온 결과를 토대로 20-30대 성인의 기존 성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하지 못한 것과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의 처음 접근을 시간과 공간을 할애 해야 하는 강의실이라는 물리적 공간보다는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과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접근성을 고려한 웹 기반으로의 재생산을 목적으로 하였다. 웹 기반 프로그램으로 구성함에 있어서의 근거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다섯째, 포괄적 성교육이라는 단어를 들어보지 못했고 전혀 알지 못한다.여섯째, 개인 시간을 할애하며 매 주마다 강의실을 찾아 교육받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Violence" is not "love."-The National Police Agency runs a "date violence reporting period" for two months [Internet]. nulimang (Korea):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2019 [cited 2020 May 18]. Available from: https://www.police.go.kr/files/B0000011/201906/BBS_201906280200081791.hwp 

  2.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Date violence report period (July to August) Operation Results [Internet]. nulimang (Korea):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2019 [cited 2020 May 18]. Available from: https://www.police.go.kr/files/B0000011/201909/BBS_201909060923264161.hwp 

  3. Park AC. A Review of Erikson’s developmental frame-works on human development.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s. 2007;26(2):143-63. 

  4. Huh NS. A study on countermeasures and treatment techniques for wife beating. Comparative Social Welfare. 1993;2:277-320. 

  5. Eom HJ, Lee JW. Online sex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Family and Family Therapy. 2011;19(1):127-50. 

  6. Cha J, Kim S. The needs of sex education for recovering male alcoholic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5;29(2):272-84. https://doi.org/10.5932/JKPHN.2015.29.2.272 

  7. Shin YH, Chun YK, Cho SM, Cho YR. The effects of a sex 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related to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nd sexual autonomy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7):1304-13. https://doi.org/10.4040/jkan.2005.35.7.1304 

  8.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technical guidance on sexuality education: an evidence-informed approach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cited 2018 May 5].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reproductivehealth/publications/adolescence/comprehensive-sexuality-education/en/ 

  9. Kramer AS. Framing the debate: the status of US sex education policy and the dual narratives of abstinence-only versus comprehensive sex education policy. American Journal of Sexuality Education. 2019;14(4):490-513. https://doi.org/10.1080/15546128.2019.1600447 

  10. Keogh SC, Stillman M, Awusabo-Asare K, E Sidze E.Monzon A, Motta A, et al. Challenges to implementing national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curricula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case studies of Ghana, Kenya, Peru and Guatemala. PLOS ONE. 2018;13(7):e0200513. http://doi.org/10.1371/journal.pone.0200513 

  11. Huaynoca S, Chandra-Mouli V, Yaqub Jr N. Marie Denno D. Scaling up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in Nigeria: from national policy to nationwide application. Sex Education: Sexuality, Society and Learning. 2014;14(2):191-209. https://doi.org/10.1080/14681811.2013.856292 

  12. Rosenberg MB. Nonviolent communication-a language of life. 21th ed. Singer K. Korean center for nonviolent communication: Korean center for nonviolent communication; 2016. pp. 21-3. 

  13. Yang JW, Kim S. Integrative review of nonviolent communication intervention studie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6;13(1):36-47. https://doi.org/10.16952/pns.2016.13.1.36 

  14. Lee HJ, Kim SO. Th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n experiential couple group therapy program: integration of the Satir growth model and non-violent communication.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10;11(2):831-54. 

  15. Hutchinson MK, Cooney TM. Patterns of parent-teen sexual risk communication: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Family Relations. 1998;47(2):185-94. https://www.jstor.org/stable/585623 

  16. Cho SH. A study on sexual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reciprocal relationships [dissertation]. Seoul: Myongji University; 2012. 

  17. Kim KM. The relation between romantic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romantic competenc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9;19(6):135-47. https://doi.org/10.5392/JKCA.2019.19.06.135 

  18. Branch RM. Instructional design: the ADDIE approach [Internet]. Springer-verlag: Springer US; 2009 [cited 2018 July 1]. Available from: https://www.springer.com/gp/book/9780387095059 

  19. Long Live Love. Long live love the six lessons [Internet]. Nederland: Lang Leve de Liefde; 2018 [cited 2018 May 3]. Available from: https://langlevedeliefde.nl/docenten/english 

  20. Simon L, Daneback K. Adolescents' use of the Internet for sex education: a thematic and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Sexual Health. 2013;25(4):305-19. https://doi.org/10.1080/19317611.2013.823899 

  21. Shin KR, Park HJ, Hong CM.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about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on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from Kore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0;22(4):448-56. 

  22. Haberland N, Rogow D. Sexuality education: emerging trends in evidence and practice.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015;56(1):S15-21.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14.08.013 

  23. Ketting E, Winkelmann C. New approaches to sexuality education and underlying paradigms. Bundesgesundheitsblatt-Gesundheitsforschung-Gesundheitsschutz. 2013;56(6):250-5. https://doi.org/10.1007/s00103-012-1599-8 

  24. Herat J, Plesons M, Castle C, Babb J, Chandra-Mouli V. The revised international technical guidance on sexuality education-a powerful tool at an important crossroads for sexuality education. Reproductive Health. 2018;15(1):185. https://doi.org/10.1186/s12978-018-0629-x 

  25. Robinson DB, V MacLaughlin V. Sexual health education outcomes within Canada's elementary health education curricula: a summary and analysis. The Canadian Journal of Human Sexuality. 2019;28(3):243-56. https://doi.org/10.3138/cjhs.2018-0036 

  26. Kim YJ. A study on the limitations and values of convergence education with study of sex. Convergence Education Review. 2017;3:53-61. 

  27. Burgess V, Dziegielewski SF, Green CE. Improving comfort about sex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their adolescents: practice-based research within a teen sexuality group. Brief Treatment and Crisis Intervention. 2005;5(4):379-90. https://triggered.edina.clockss.org/ServeContent?rft_idinfo:doi/10.1093/brief-treatment/mhi023 

  28. Heels SW. The impact of abstinence-only sex educatio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on adolescent sexual outcomes. Perspectives. 2019;11(1):3. https://scholars.unh.edu/perspectives/vol11/iss1/3 

  29. Stanger-Hall KF, Hall DW. Abstinence-only education and teen pregnancy rates: why we need comprehensive sex education in the U.S. PLOS ONE. 2011;6(10):e24658. http://doi.org/10.1371/journal.pone.0024658 

  30. Pound P, Langford R, Campbell R. What do young people think about their school-based sex and relationship education? a qualitative synthesis of young people's views and experiences. British Medical Journal Open. 2016;6(9):e011329. http://dx.doi.org/10.1136/bmjopen-2016-01132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