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PTV 무료VOD이용자와 유료VOD이용자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Distinct Characteristics Between Free VOD and Paid VOD Use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5, 2020년, pp.467 - 475  

이선미 (KT경제경영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IPTV VOD 이용률이 증가하면서 VOD 이용패턴에 대한 심도깊은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 논문은 VOD이용자를 유료VOD이용자와 무료VOD이용자로 구분하고 이용동기, 다양한 이용행태, 인구통계학적 변인 등 요인들이 이 두 그룹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 유료VOD이용자와 무료 VOD이용자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동기, VOD 만족도, 홀드백 종료후 이용, 광고스킵 지불의향, VOD이용비중, VOD이용포기경험, TV시청시간, SVOD이용시간 등이었는데, VOD만족도를 제외한 모든 변인들이 유료VOD이용자의 특성을 정(+)적으로 예측했다. 추가로 VOD와 SVOD(유료OTT서비스) 이용간 관계를 분석결과 유료VOD이용자가 무료이용자보다 SVOD를 VOD의 대안서비스로 이용하는 비중이 더 높았다. 선행연구들에 비해 이 연구는 그동안 파편적으로 진행되었던 VOD 이용관련 변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growth rate of IPTV VOD usage increas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VOD usage patterns systematically. This study divides VOD users into free VOD and paid VOD users, then explores how VOD usage motivations, usage patterns, and demographic factors affect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여전히 VOD 관련 연구들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고 VOD이용자 세분화를 통한 특성 규명이나 이용행태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을 종합하고 경험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VOD 이용동기, 이용패턴, 인구통계학적 요인들이 IPTV 무료VOD이용자와 유료VOD이용자 간 차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였다. 이로써 이 연구는 그간 독립적으로 진행된 VOD 연구들의 결과들을 종합하고 이용자를 세분화하여 그룹별 특성을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등 연구영역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이 연구는 IPTV VOD이용을 분석하기 위해 무료VOD이용자와 유료VOD이용자로 구분하고 이용동기, 이용패턴, 인구통계학적 요인 등이 두 집단 간 차이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했다. 이 연구는 VOD 이용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합하여 영향 요인들을 도출했고, VOD 이용자를 세분화하여 이용자 특성을 명확하게 규명함으로써 연구의 정교화에 기여했다.
  • 이 연구는 IPTV VOD이용을 분석하기 위해 무료VOD이용자와 유료VOD이용자로 구분하고 이용동기, 이용패턴, 인구통계학적 요인 등이 두 집단 간 차이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했다. 이 연구는 VOD 이용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합하여 영향 요인들을 도출했고, VOD 이용자를 세분화하여 이용자 특성을 명확하게 규명함으로써 연구의 정교화에 기여했다. 실무적으로 이 연구결과는 이용자 혜택증진, 사업자 전략 수립 등에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13)[17]은 오락과 정서적 동기가 VOD이용동기라고 분석했다. 이에 이 연구는 VOD 이용동기가 두 집단 간 차이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한다.
  • TV시청행태는 성별, 연령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29], VOD 이용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가구소득, 가구원수, 소득 등으로 나타났다[9][10]. 이에 이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인구통계학적 요인이 무료와 유료이용자 간 차이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다.

가설 설정

  • 이현지(2018)[4]는 광고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유료VOD와 무료VOD이용지속성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유료VOD이용자는 콘텐츠 비용을 지불하므로 무료이용자보다 광고에 대한 불만이 더 클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년 상반기 유료방송 가입자 수 및 시장점유율". 

  2.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방송통신경쟁상황평가, 2019. 

  3. 박찬호, 권혜정, 곽현, "IPTV 이용자의 VOD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1호, pp.153-163, 2014. 

  4. 이현지, "방송 VOD 지속이용의도에 대한 연구:정보 시스템 지속이용 모델의 확장," 한국언론학보, 제62권, 제3호, pp.246-247, 2018. 

  5. 금현수, 김정기, "주문형 비디오 이용동기, 이용행위, 만족감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제91권, pp.7-40, 2018. 

  6. 석낙일, 곽은경, 이선미, "IPTV VOD 이용행태와 통합시청률: 실증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 제22권, 제3호, pp.1-31, 2015. 

  7. 이종희, 조지형, 조신, "IPTV에서 프로그램별 VOD 시청 건수 결정 요인에 관한 실증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 제25권, 제3호, pp.123-156, 2018. 

  8. 조석현, 이현지, "지상파 방송 실시간 시청과 OTT VOD 이용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8호, pp.315-325, 2018. 

  9. 조신, 김희선, "IPTV에서의 VOD 시청패턴 결정 요인에 관한 실증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4호, pp.153-167, 2015. 

  10. 강원영, 연보흠, 최성진, "D-CATV VOD 서비스 이용 현황과 사용자 특성 분석,"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0호, pp.1879-1885, 2018. 

  11. 강원영, 서창호, 최성진, "D-CATV VOD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분석과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방송공학회논문지, 제23권, 제6호, pp.931-938, 2018. 

  12. 조승제, 이영주, "유료방송 서비스 이용자의 미디어 이용특성과 가이드 채널에 대한 평가가 VOD 이용의 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방송공학회논문지, 제21권, 제2호, pp.210-218. 2016. 

  13. 조석현, 정동훈, "VOD 홀드백 정책 변화가 IPTV와 케이블TV VOD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142-150, 2015. 

  14. 임정수, "최신 영화 VOD 이용자의 선호도에 대한 컨조인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191-198, 2013. 

  15. 김정기, "대학생 수용자의 텔레비전 시청동기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35권, pp.37-70, 1995. 

  16. M. Pittman and K. Sheehan, "Sprinting a Media Marathon: Uses and Gratifications of Binge-Watching Television Through Netflix," First Monday, Vol.20, No.10, 2015. 

  17.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주문형 방송서비스(VOD)의 선택과 수용에 관한 연구, 2013. 

  18. 박소라, 황용석, "케이블 시청자와 지상파 시청자간의 시청능동성 차이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5권, 제4호, pp.277-311, 2001. 

  19. 김대한, 박남기, "OTT 서비스 이용자의 이용 동기가 이용만족과 지속사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방송통신연구, Vol.93, pp.77-110, 2015 겨울호. 

  20. 김수진, "모바일 OTT 서비스 수용에 사용자 특성이 미치는 영향: 이용빈도의 조절효과," 한국경영과학회지, 제44권, 제4호, pp.59-80, 2019. 

  21. 유지훈, 박주연, "글로벌 OTT 서비스 이용자의 지속적 이용 의도에 미치는 요인 연구:넷플릭스 사례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Vol.102, pp.46-79, 2018. 

  22. 강태중, 김재영, "극장 관객의 심리적 요인과 극장광고 태도 및 회피와의 관계성 연구: 심리적 반발, 공정성 지각 및 경험성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0권, 제3호, pp.197-223, 2008. 

  2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2017. 

  24. 박광순, "디지털위성방송의 초기수용자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1호, pp.84-111, 2004. 

  25. 김헌, 권신혜, 장병희, "국내 코드커팅 소비자 세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33권, 제2호, pp.67-103, 2019. 

  26. https://www.mediaplaynews.com/parks-ott-video-adoption 

  27. 김윤환, 최영, "IPTV 확산의 심리적 저항요인에 관한 연구: 변형된 혁신저항모형을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제69호, pp.163-191, 2010. 

  28. 지영수, 강문영, 한경석, "O2O 커머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이용 중단 의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5권, 제4호, pp.223-245, 2015. 

  29. 심미선, 김은미, 이준웅, "지상파방송의 프로그램 품질평가, 채널 브랜드 자산, 채널 충성도 간의 관계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49권, 제3호, pp.153-180, 2005. 

  30. 나스미디어, "IPTV VOD 이용행태 분석," 나스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201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