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간호사의 연속 야간 교대근무와 근무시간이 불면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nsecutive Night-Shift Work and Working Time on Insomnia among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9 no.2, 2020년, pp.133 - 139  

신승화 (안동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김수현 (경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onsecutive night-shift work and working time on insomnia among hospital nurse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research designutilizing secondary data analysis was adopted. Data on consecutive night-shift work, working time, and insomnia ...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교대근무의 순환주기가 매우 빠르고 과중한 업무량에 시달리는 병원 간호사(Kim, Kim, Lee, & Choi, 2005)에게 연속 야간교대 근무일수와 주당 근무시간은 불면증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업무 관련 특성이지만,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러한 변수들이 불면증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가 어떠한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근무시기, 근무시간 및 근무기간의 업무 관련 특성으로 연속 야간 교대근무 일수와 근로시간이 불면증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병원 간호사의 불면증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근무특성이 불면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병원 간호사의 불면증을 감소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전체 대상자의 42.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수면효율을 확인하고, 연속 야간교대근무 시행일수와 주당 평균 근무시간 등을 포함하는 근무특성이 병원 간호사의 불면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속 야간교대근무 시행일수와 주당 평균 근무시간은 병원 간호사의 불면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야간교대 근무일수와 근로시간이불면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며,병원 간호사의 교대근무와 건강 생활습관에 따른 수면양상을 측정한 선행연구(Shin, 2019) 자료를 활용한 이차자료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웨어러블 전자기기인 Fitbit charge 3TM (FitBitInc, San Francisco, California, USA)을 이용하여 병원 간호사의 교대근무와 건강 생활습관에 따른 수면양상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집된 간호사의 수면양상 자료(Shin, 2019)를이차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 선정기준은 A시의 종합병원에서 정규직으로 6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이며, 교대근무자의 경우 야간 교대 근무를 포함하는 3교대 근무자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동 간호사의 연속 야간교대근무일수는 평균 몇일인가? 병동 간호사는 월 평균 6.2일의 야간 교대근무를 하고 있으며, 연속 야간교대근무일수는 평균 3일로 조사되었으며, 소속 병원의 특성에 따라 연속 야간 교대근무 일수는 최소 2일에서 최대 8일까지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HNA, 2019).
병동 간호사는 월 평균 몇일의 야간 교대근무를 하고 있는가? 1%가 야간 교대 근무를 포함하는 3교대 근무를 시행하고 있으며, 2교대, 낮번,당직번 등 다양한 형태의 교대근무를 시행하고 있다(Hospital Nurses Association, HNA, 2019). 병동 간호사는 월 평균 6.2일의 야간 교대근무를 하고 있으며, 연속 야간교대근무일수는 평균 3일로 조사되었으며, 소속 병원의 특성에 따라 연속 야간 교대근무 일수는 최소 2일에서 최대 8일까지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HNA, 2019).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근무특성이 불면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 병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근무 특성에 따른 불면증유병율을 비교한다. • 병원 간호사의 야간교대 근무일수와 근로시간이 불면증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력을 확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2014).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 3rd edition. https://j2vjt3dnbra3ps7ll1clb4q2-wpengine.netdna-ssl.com/wp-content/uploads/2019/05/ICSD3-TOC.pdf 

  2. An, M. J., Kim, J. S., Heo, S. K., Kim, S. H., & Hwang, Y. Y. (2018). Factors affecting sleep quality of clinical nurses working in a hospital.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0(2), 126-135. 

  3.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 Elissa, B., Keith, D. H., Nicola, T. L., Cecilie, T. N., Gill, L., Eileen, B., et al. (2018).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wo fitness tracker devices in the laboratory and home environment for older community-dwelling people. BMC Geriatrics, 18, 103. 

  5. Haines, V. Y., Marchand, A., Genin, E., & Rousseau, V. (2015). A balanced view of long work hours. International Journal of Workplace Health Management, 5(2), 104-119. 

  6.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9). Survey on hospital nurses working condition. Retrieved from https://khna.or.kr/home/pds/utilities.php 

  7. Jang, H. J., & Choi, E. S. (2020). The impacts of nurses' working environment on health problem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9(1), 1-7. 

  8. Jung, D. W., Lee, Y. J., Jeong, D. U., & Park, S. K. (2016). New predictors of sleep efficiency. The Journal of Chronobiology International, 14, 93-104. 

  9. Kim, C. B., Jung, T. Y., & Han, S. M. (2015). Association night-shift and long working-hours effects on subjective insomnia in korean workers: The third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9(1), 41-55. 

  10. Kim, J. H., Kim, M. S., & Kim, Y. H. (2017). A comparison of standard shiftwork index between night shift fixed nurses and rotating shift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3(1), 54-63. 

  11. Kim, J. Y., Kim, J. H., Lee, Y. W., & Choi, K. G. (2005). Prevalence of shift work sleep disorder and its impact on health and working function in rapid rotating shift worker nurses. Journal Korea Sleep Society, 2(1), 39-46. 

  12. Kim, S. J., & Gu, M. O.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ircadian types, sleep quality and adaptation to night shifts among nurses working on two or three day night duti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3), 309-320. 

  13.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16). Health management plan of shift worker. Retrieved from http://www.kosha.or.kr/kosha/data/jobHealthMain.do 

  14. Korean Sleep Research Society. (2020). Sleep disorder-insomnia. Retrieved from https://www.sleepnet.or.kr/sleep/disorder?contentinsomnia 

  15.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9).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2019. Retrieved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3032 

  16. Merkus, S. L., Holte, K. A., Huysmans, M. A., Mechelen, W., & Beek, A. J. (2015). Nonstandard working schedules and health: the systematic search for a comprehensive model. BMC Public Health, 15(1084), 2-15. 

  17. Morin, C. M. (1993). Insomnia: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New York: Guilford Press. 

  18.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2014). Sleep disorder investigation and its management for night shift workers 2014. Retrieved from http://oshri.kosha.or.kr/oshri/publication/researchReportSearch.do?modeview&articleNo408189&article.offset0&articleLimit10&srSearchVal%EC%88%98%EB%A9%B4%EC%9E%A5%EC%95%A0 

  19. Oh, B. H., Park, J. C., In, H. U., & Kim, K. W. (2017). The sleep disorders of nighttime fixed nurses and shift-work nurse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7(4), 551-556. 

  20. Olivier, V. R. (1998). Sleep and circadian disturbances in shift work: Strategies for their management. Hormone Research, 49, 158-162. 

  21. Seol, M. J., Lee, B. S., & Lee, S. K. (2018). Effects of labor intensity and fatigue on sleep quality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es Administration, 24(4), 276-287. 

  22. Rajaratnam, S. M., Howard, M. E., & Grunstein, R. R. (2013). Sleep loss and circadian disruption in shift work: health burden and management.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199, S11-S15. 

  23. Shin, S. H. (2019). Sleep patterns according to shift work and healthy lifestyle in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4. Shin, S. J., Lee, I. Y., Kim, J. H., & Bae, S. H. (2019). Work-related characteristics and sleep quality of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s of small-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6(4), 260-268. 

  25. Shin, S. W., & Kim, S. H. (2014). Influence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on quality of sleep in rotating-shif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Fundamental Nurses, 21(2), 123-130. 

  26. Shin, Y. S., Yoon, K. J., Kim, S. Y., Lee, N. K., Lim, J. W., Lee, J. H., et al. (2018). Survey on the status of health care providers.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8-38. 

  27. Zambotti, M., Goldstone, A., Claudatos, S., Colrain, I. M., & Baker, F. C. (2018). A validation study of Fitbit Charge $2^{TM}$ compared with polysomnography in adults. The Journal of Biological and Medical Rhythm Research, 35, 465-47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