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산업의 현황과 발전 방향
The pres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Kimchi industry in Korea 원문보기

식품과학과 산업 = Food science and industry, v.53 no.2, 2020년, pp.166 - 182  

박완수 (단국대학교 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imchi industry in Korea has grown rapidly with the increasing domestic and overseas demand of Kimchi. Currently, there is an increase trend of consuming the commercial Kimchi products, although the Kimchi consumption/adult/year is decreasing (36.6 kg in 2018). The amount of commercial Kimchi consu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 산업화는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김치는 옛부터 각 가정에서 자가 제조하여 소비되어 왔으나, 1950년 한국전쟁을 시발점으로 군납김치의 수요 증가 등 김치 산업화가 시작되었다. 1960년대 베트남 전쟁시 파병군인용 김치의 제조 및 수출, 1970 년대 중동지역 건설노동자용 김치의 제조 및 수출 등본격적으로 김치 산업화가 시작되고 김치 수출에 대한 노하우도 축적되기 시작하였다.
한국의 김치산업의 규모는? 최근에 김치에 대한 국내외적인 수요 증가로 한국의 김치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18년 국내 김치 시장규모는 약 1조 3,980억 원으로 추산되 었고, 김치 총소비량은 1,892천톤으로 그중 757천톤이 상품김치로 상품화율은 40.0%로 추산되었다.2018년 국내 가동 중인 김치 제조업체 수는 452개소 파악되었다. 김치수출은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2019년 29,628톤의 김치가 78 개국에 수출되었고, 그중 일본이 수출대상국중 1위로 점유율은 53.
김치는 무엇인가? 김치는 절인 배추나 무, 오이 등의 주원료에 각종양념을 혼합하여 일정 기간 발효, 숙성시킨 채소 발효식품으로, 독특한 맛을 내는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식품이며 우리의 식생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찬이다(Park, 1996; Park, 1997; 박, 1997; Shin 등, 2016). 김치는 장, 국과 함께 일상 식생활에 애용되어 왔으며, 시설재배 및 월동배추가 없었던 시절에 겨울 동안 반찬으로 이용되었던 필수 식품 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강경훈, 김성현, 김상현, 김정균, 성낙주, 이수정, 정미자. 김치 저장 중 N-nitrosodimethylamine 생성에 젓갈의 함량과 종류의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5: 1302-1309 (2016) 

  2. 강경훈, 김성현, 김상현, 김정균, 성낙주, 임희경, 정미자. 국내 유통 김치 중 N-nitrosodimethylamine과 그 전구물질의 함량 분석 및 안전성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6: 244-250 (2017) 

  3. 고영태, 황자경, 백인희. 젓갈 첨가가 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36: 123-128 (2004) 

  4. 구경형, 조진숙, 박완수, 남영중. 솔비톨 및 당류 첨가가 김치발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31: 794-801 (1999) 

  5. 김남일. 자외선과 오존을 이용한 비열 식품살균시스템 개발. 석사논문, 경원대학교, 경기도 성남시. (2009) 

  6. 김다미, 김경희. 소금의 종류와 침지 농도에 따른 배추김치의 유산균의 생육과 품질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9: 286-297 (2014) 

  7. 김용휘, 권태은. Part 02 김치산업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젓갈의 현대화. WiKim 2019-03. pp. 45-75. 2019 김치산업론. 세계김치연구소, 광주광역시 (2019) 

  8. 김준환, 장영상, 신효선. 김치숙성 중 숙성온도, pH 및 소금농도가 니트로스아민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3: 332-336 (1998) 

  9. 김준환, 신효선. 김치 숙성 중 니트로스아민의 생성에 대한 주원료 및 젓갈의 영향. 식품위생학회지 12: 333-339 (1997) 

  10. 김지희, 박건영, 최혜선, 양지영. 시중 절임배추의 품질평가.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3: 659-663 (2010) 

  11. 문성원, 신현경, 지근억. 자일리톨과 자몽씨추출물이 배추김치의 관능성과 발효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35(2): 246-253 (2003) 

  12. 박건영, 최홍식. 김치와 니트로소아민.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1: 109-116 (1992) 

  13. 박경숙. 고춧가루 오염 미생물의 제어에서 방사선종별 조사 효과. 방사선학회학술지 8: 1-5 (2015) 

  14. 박덕천, 김은미, 김은진, 김영명, 김선봉. 젓갈 및 젓갈대용 부재료 첨가 김치의 유기산 및 핵산관련 물질의 함량. 한국식품과학회지 35: 769-776 (2003) 

  15. 박동민, 이정민, 이경희, 백인현. 김치종균 보급 및 확산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세계김치연구소 용역보고서. 특허법인 남촌 (2018) 

  16. 박민경, 인만진, 정영철. 프락토올리고당과 클로렐라가 김치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향과학회지 31(5): 760-764 (2002) 

  17. 박성훈, 정선화. 2018년도 김치산업동향. WiKim 2019-04. 세계김치연구소, 광주광역시 (2019) 

  18. 박성희, 민승기. Part 05 김치제조용 당류의 제안. WiKim 2019-03. pp. 147-167. 2019 김치산업론. 세계김치연구소, 광주광역시 (2019) 

  19. 박완수. 김치산업의 현황과 전망. 한국미생물학회 미생물과 산업지 23(2): 2-12 (1997) 

  20. 식품의약품안전처. 13. 절임류 또는 조림류. 식품의 기준 및 규격.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20-40호. p. 194 (2020) 

  21. 신상운, 김영숙, 김양희, 김한택, 엄경숙, 홍세라, 강효정, 박광희, 윤미혜. 젓갈류 및 배추김치에서의 바이오제닉 아민류 함량조사 연구. 한국수산과학회지 52: 13-18 (2019) 

  22. 안영훈. 시판 고춧가루의 품질특성 및 저장 중 주요 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23. 오픈서베이. 식품사가 알아야 할 대한민국 푸드 트렌드 (2019) 

  24. 이귀주, 한정하. 전분질 첨가 김치의 숙성중 물리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의 변화. 한국조리과학회지 14: 195-200 (1998) 

  25. 이영숙. 백련초 추출 첨가 배추김치의 저장성 증진 및 품질평가. 박사학위 논문, 전북대학교, 전라북도 전주시. (2019) 

  26. 이예영, 김유나, 유성은, 김관수, 안동환. 가구유형에 따른 한식 소비형태 분석. 동아시아 식생활학회지. 28(6): 453-462 (2018) 

  27. 이정상, 양성희. Part 06 트렌드변화에 대응하는 미래김치 연구. WiKim 2019-03. pp. 171-195. 2019 김치산업론. 세계김치연구소, 광주광역시 (2019) 

  28. 임현숙, 전현주. Part 04 고춧가루의 위생적인 품질관리. WiKim 2019-03. pp. 113-143. 2019 김치산업론. 세계김치연구소, 광주광역시 (2019) 

  29. 장심교. 김치, '건강기능식품'으로 변신. 식품음료신문, http://www.thinkkfood.co.kr/news/articlesView.html?idxno44044 (2011) 

  30. 장지윤. Part 01 종균 적용에 따른 김치발효 패러다임의 변화. WiKim 2019-03. pp. 21-41. 2019 김치산업론. 세계김치연구소, 광주광역시 (2019) 

  31. 정진주. 적외선 살균이 고춧가루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32. 최선아, 안성은, 정희경, 이서현, 문광호, 김중법. 시중 유통 중인 젓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25: 270-278 (2018) 

  33. 함선옥, 경민숙. Part 03. 소금의 위생.안전. WiKim 2019-03. pp. 79-109. 2019 김치산업론. 세계김치연구소, 광주광역시 (2019) 

  34. Cho JH, Lee DY, Yang CN, Jeon JG, Kim JH, Han HU. Microbial population dynamics of Kimchi, a fermented cabbage product. FEMS Microbiol. Lett. 257: 262-267 (2006) 

  35. Choi IK, Jung SH, Kim BJ, Park SY, Kim J, Han HU. Novel Leuconostoc citreum culture system for the fermentation of kimchi, a fermented cabbage product. Antonie Van Leeuwenhoek 84: 247-253 (2003) 

  36. Jeong SH, Lee SH, Jung JY, Choi EJ, Jeon CO. Microbial succession and metabolite] changes during long-term storage of Kimchi. J. Food Sci. 78: M763-M769 (2013) 

  37. Jung MY, Kim TW, Lee CS, Kim JY, So HS, Kim YB, Ahn SW, Kim JS, Roh SW, Lee MJ, Cho KH, Lee JH. Application of 16S rDNA PCR-RELP analysis for the rapid identification of Weiddella specie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8: 455-460 (2010) 

  38. Kim B. Mun EG, Kim D, Park Y, Lee HJ, Cha YS. A survey for research papers on the health benefits of kimchi and kimchi lactic acid bacteria. J. Nutr. Health 51: 1-13 (2018) 

  39. Kim JE, Lee DU, Min SC. Microbial decontamination of red pepper powder by cold plasma. Food Microbiol. 38: 128-136 (2014) 

  40. Lee JS, Heo GY. Lee JW, Oh YJ, Park JA, Park YH, Pyun YR, Ahn JS. Analysis of kimchi microflora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Int. J. Food Microbiol. 102: 143-150 (2005) 

  41. Lee SH. Role of jeotgal,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ish sauce, in microbial dynamics and metabolite profiles during kimchi fermentation. Food Chemistry 165: 135-143 (2018) 

  42. Mheen TI, Kwon TW.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1984) 

  43. Noh BS, Seo HY, Park WS, Oh SS. Chapter 19. Safety of Kimchi. pp. 369-394, In: Regulating safety of traditional and ethnic foods. edited by Prakash V, Martin-Belloso O, Keener L, Astley S, Braun S, Mcmahon H, Leieveld H. Acamemic Press. New York. (2016) 

  44. Park WS. Kimchi industry in Korea. Korea AgraFood. The Korea Agriculture Food Monthly Magazine 2: 13-15 (1996) 

  45. Park WS. Present status of kimchi industry in Korea and its prospect, in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Vegetable Quality, pp.10-15, Korea.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and International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Oct. 27-30, Seoul, Korea. (1997) 

  46. Raymond J. World's healthiest foods : Kimchi (Korea). Health [Internet]. Tampa: Health Media Ventures, Inc. (2006) 

  47. Shin DH, Jo EJ, Hong JS. Chemical composition of imported table salts and kimchi preparation test. Korean J. Food Hyg. Safety 14: 277-281 (1999) 

  48. Shin DH, Kim YM, Park WS, Kim JH. 11. Ethnic fermented foods and alcoholic beverages of Korea. pp. 263-308. In: Ethnic fermented foods and alcoholic beverages of Asia. Tamang JP ed. Springer, India. (2016) 

  49. Washington Post. To promote kimchi abroad, Korean scientists are trying to get rid of the smell (20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