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적층가공과 절삭가공으로 제작한 의치상과 직접 첨상용 레진 간의 인장결합강도 비교
Tensile bond strength of chairside reline resin to denture bases fabricated by subtractive and additive manufacturing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8 no.3, 2020년, pp.177 - 184  

김효성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정지혜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배지명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치과생체재료학교실) ,  김정미 (원광대학교 치과병원 치과기공실) ,  김유리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절삭가공적층가공으로 제작한 의치상과 직접 첨상용 레진과의 인장결합강도를 열중합형 의치상과 직접 첨상용 레진의 인장 결합강도와 비교 및 평가하여 절삭가공과 적층가공으로 제작한 의치상의 직접 첨상을 임상에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열중합형 의치상 레진(Lucitone 199), 절삭가공용 의치상 레진(VITA VIONIC BASE), 적층가공용 의치상 레진(NextDent Base)을 이용해 가로 25 mm × 세로 25 mm × 높이 3 mm의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하였다. 제작한 의치상 레진 시편을 30일간 37℃ 증류수에 보관한 뒤, 건조하여 자가중합형 polyethyl methacrylate (PEMA) 직접 첨상용 레진(REBASE II Normal)을 사용해 결합하였다. 절삭가공과 적층가공용 의치상 레진을 실험군으로, 열중합형 의치상 레진을 대조군으로 설정하고 각 군 당 1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모든 시편을 24시간 동안 37℃ 증류수에 보관한 뒤 꺼내어 만능시험기를 이용해 10 mm/min의 cross head speed로 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고, 파절 양상을 관찰하여 접착 파절, 응집 파절, 혼합 파절로 분류하였다. 의치상의 제작 방법에 따른 직접 첨상용 레진과의 인장결합강도를 일원배치 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정(Bonferroni's method)을 시행하였다 (α= .05). 결과:절삭가공용 의치상 레진과 직접 첨상용 레진과의 인장결합강도(2.33 ± 0.39 MPa)는 열중합형 의치상과 직접 첨상용 레진과의 인장결합강도(2.45 ± 0.39 MPa)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P > .999). 적층가공한 의치상 레진과 직접 첨상용 레진과의 인장결합강도(1.23 ± 0.36 MPa)는 나머지 두 군보다 유의성 있게 낮았다 (P < .001). 열중합형과 절삭가공한 의치상에서는 혼합 파절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적층가공한 의치상에서는 혼합 파절과 접착 파절이 동일한 빈도로 나타났다. 결론:직접 첨상용 레진과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한 의치상의 인장결합강도를 비교하였을 때 적층가공으로 제작한 의치상은 절삭가공으로 제작한 의치상, 열중합형 의치상보다 유의하게 낮은 인장결합강도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evaluate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chairside reline resin to denture base resin fabricated by different methods (subtractive manufacturing, additive manufacturing, and conventional heat-curing). Materials and methods: Denture base specimens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절삭가공과 적층가공으로 제작한 의치상과 직접 첨상용 레진과의 인장결합강도를 열중합형 의치상과 직접 첨상용 레진의 인장결합강도와 비교 및 평가하여 절삭가공과 적층가공으로 제작한 의치상의 직접 첨상을 임상에 활용하고자 하는 것 이다.

가설 설정

  • 귀무가설은 절삭가공, 적층가공과 열중합 방식으로 제작한 의치상과 직접 첨상용 레진 간의 인장결합강도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이다.
  • 1. 절삭가공한 의치상의 인장결합강도는 열중합형 의치상과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적층가공한 의치상의 인장결합 강도는 나머지 두 실험군보다 유의성 있게 낮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수의 치아를 상실한 환자의 저작, 심미, 발음을 회복하는 데에 적절한 방법은? 가철성 보철을 이용한 치료는 다수의 치아를 상실한 환자의 저작, 심미, 발음을 회복하는 데에 적절한 방법이다. 적합도가 좋은 가철성 보철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방 잔존치조제가 흡수되면 가철성 보철물 안정의 감소, 의치상 지지와 유지력의 감 소, 수직고경의 붕괴가 일어난다.
가철성 보철물 안정의 감소, 의치상 지지와 유지력의 감 소, 수직고경의 붕괴가 일어나면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적합도가 좋은 가철성 보철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방 잔존치조제가 흡수되면 가철성 보철물 안정의 감소, 의치상 지지와 유지력의 감 소, 수직고경의 붕괴가 일어난다. 1,2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기적인 의치상 첨상이 필요하게 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방 잔존치조제가 흡수되면 가철성 보철물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가철성 보철을 이용한 치료는 다수의 치아를 상실한 환자의 저작, 심미, 발음을 회복하는 데에 적절한 방법이다. 적합도가 좋은 가철성 보철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방 잔존치조제가 흡수되면 가철성 보철물 안정의 감소, 의치상 지지와 유지력의 감 소, 수직고경의 붕괴가 일어난다. 1,2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기적인 의치상 첨상이 필요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Tallgren A. The continuing reduction of the residual alveolar ridges in complete denture wearers: A mixed-longitudinal study covering 25 years. J Prosthet Dent 1972;27:120-32. 

  2. Bowman JF, Javid NS. Relining and rebasing techniques. Dent Clin North Am 1977;21:369-78. 

  3. Leles CR, Machado AL, Vergani CE, Giampaolo ET, Pavarina AC. Bonding strength between a hard chairside reline resin and a denture base material as influenced by surface treatment. J Oral Rehabil 2001;28:1153-7. 

  4. Craig RG. Restorative dental materials. 8th ed. St. Louis: CV Mosby, 1989. p. 509-59. 

  5. Arena CA, Evans DB, Hilton TJ. A comparison of bond strengths among chairside hard reline materials. J Prosthet Dent 1993;70:126-31. 

  6. da Cruz Perez LE, Machado AL, Canevarolo SV, Vergani CE, Giampaolo ET, Pavarina AC. Effect of reline material and denture base surface treatment on the impact strength of a denture base acrylic resin. Gerodontology 2010;27:62-9. 

  7. Goodacre CJ, Garbacea A, Naylor WP, Daher T, Marchack CB, Lowry J. CAD/CAM fabricated complete dentures: Concepts and clinical methods of obtaining required morphological data. J Prosthet Dent 2012;107:34-46. 

  8. Bidra AS, Taylor TD, Agar JR. Computer-aided technology for fabricating complete dentures: Systematic review of historical background,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J Prosthet Dent 2013;109:361-6. 

  9. Kattadiyil MT, AlHelal A. An update on computer-engineered complete dentures: A systematic review on clinical outcomes. J Prosthet Dent 2017;117:478-85. 

  10. Goodacre BJ, Goodacre CJ, Baba NZ, Kattadiyil MT. Comparison of denture base adaptation between CAD-CAM and conventional fabrication techniques. J Prosthet Dent 2016;116:249-56. 

  11. Ohkubo C, Park EJ, Kim TH, Kurtz KS. Digital relief of the mental foramen for a CAD/CAM-fabricated mandibular denture. J Prosthodont 2018;27:189-92. 

  12. Steinmassl PA, Klaunzer F, Steinmassl O, Dumfahrt H, Grunert I. Evaluation of currently available CAD/CAM denture systems. Int J Prosthodont 2017;30:116-22. 

  13. Berman B. 3-D printing: The new industrial revolution. Business Horizons 2012;55:155-62. 

  14. Azari A, Nikzad S. The evolution of rapid prototyping in dentistry: a review. Rapid Prototyp J 2009;15;216-25. 

  15. Wu D, Zhao Z, Zhang Q, Qi HJ, Fang D. Mechanics of shape distortion of DLP 3D printed structures during UV post-curing. Soft Matter 2019;15:6151-9. 

  16. Alharbi N, Wismeijer D, Osman RB.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s in prosthodontics: Where do we currently stand? A critical review. Int J Prosthodont 2017;30:474-84. 

  17. Lee S, Hong SJ, Paek J, Pae A, Kwon KR, Noh K. Comparing accuracy of denture bases fabricated by injection molding, CAD/CAM milling, and rapid prototyping method. J Adv Prosthodont 2019;11:55-64. 

  18. Takahashi Y, Chai J. Shear bond strength of denture reline polymers to denture base polymers. Int J Prosthodont 2001;14:271-5. 

  19. Ahmad F, Dent M, Yunus N. Shear bond strength of two chemically different denture base polymers to reline materials. J Prosthodont 2009;18:596-602. 

  20. Mese A, Guzel KG. Effect of storage duration on the hardness and tensile bond strength of silicone- and acrylic resin-based resilient denture liners to a processed denture base acrylic resin. J Prosthet Dent 2008;99:153-9. 

  21. Hamanaka I, Shimizu H, Takahashi Y. Bond strength of a chairside autopolymerizing reline resin to injectionmolded thermoplastic denture base resins. J Prosthodont Res 2017;61:67-72. 

  22. Vallittu PK, Ruyter IE, Nat R. The swelling phenomenon of acrylic resin polymer teeth at the interface with denture base polymers. J Prosthet Dent 1997;78:194-9. 

  23. Vallittu PK, Ruyter IE. Swelling of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t the repair joint. Int J Prosthodont 1997;10:254-8. 

  24. Bunch J, Johnson GH, Brudvik JS. Evaluation of hard direct reline resins. J Prosthet Dent 1987;57:512-9. 

  25. Maeda T, Hong G, Sadamori S, Hamada T, Akagawa Y. Durability of peel bond of resilient denture liners to acrylic denture base resin. J Prosthodont Res 2012;56:136-41. 

  26. Lung CYK, Darvell BW. Minimization of the inevitable residual monomer in denture base acrylic. Dent Mater 2005;21:1119-28. 

  27. Tanasamanchoke C, Wiwatwarrapan C. Tensile bond strength between three hard reline materials and denture base resin influenced by methyl formate-methyl acetate. J Dent Assoc Thai 2019;69:8-19. 

  28. Vallittu PK, Lassila VP, Lappalainen R. Wetting the repair surface with methyl methacrylate affects the transverse strength of repaired heat-polymerized resin. J Prosthet Dent 1994;72:639-43. 

  29. Kim JH, Choe HC, Son MK. Evaluation of adhesion of reline resins to the thermoplastic denture base resin for non-metal clasp denture. Dent Mater J 2014;33:32-8. 

  30. Minami H, Suzuki S, Minesaki Y, Kurashige H, Tanaka T. In vitro evaluation of the influence of repairing condition of denture base resin on the bonding of autopolymerizing resins. J Prosthet Dent 2004;91:164-7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