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지피복도 분류체계와 연계한 모기 서식지와 적용가능 방제법 검토
The suggestion for mosquito control methods on mosquito habitat by land cover map classification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8 no.1, 2020년, pp.189 - 196  

김정은 (충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황구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동건 (삼육대학교 스미스학부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모기는 감염병을 매개하는 생물종으로서 인간생활에 불편을 야기하며, 교통 및 운송수단 등의 발달로 인해 새로운 질병 도입 및 질병 매개체의 확산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부 토지피복지도 분류체계와 연계하여 모기가 발생 가능한 서식지 유형을 파악하고, 각각의 서식지 유형 특성에 따라 출현 가능한 모기 종류를 함께 구분하였다. 또한 모기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서식지 유형별로 최적의 방제 방법을 제시하였다. 도심지역은 위생 해충의 발생원이 다양한 서식지가 분포하는 지역으로, 최소 환경 조건만 갖춰진다면 모기가 대량 발생하기 적합한 환경일 것으로 보인다. 발생원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유충과 성충 방제를 같이 수행하며, 시민들을 대상으로 방제 교육이나 홍보물을 배부하여 적극적인 방제의식을 함양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지역의 경우, 저수지나 늪지, 논 등의 정수역에서 모기 유충의 서식밀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천적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를 이용하면 개체수를 조절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산림지역은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의 주요 서식지로서 무분별한 산림벌채를 최소화하고 인근 거주민을 대상으로 물리적 방제를 실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기타지역은 수생태계를 중심으로 발생 가능한 모기 유충을 방제하기 위해 생물학적 방제와 Bti를 이용한 화학적 방제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서식지를 크게 4가지(도심지역, 농업지역, 산림지역, 기타지역)로 분류하여 모기에게 적합한 서식지를 고찰하였으며, 모기 서식지별로 적합한 방제법을 제시하였다. 모기의 개체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하고, 하절기 시민들의 불편과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quitos serve as vectors for diseases, causing inconvenience as well as a threat to human life and health. Concern about mosquitos introducing and spreading new diseases has been intensifying. We observed a variety of mosquito habitats based on land cover classification from Korea's Ministry of 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매년 여름철 기온에 따라 증가하는 모기 매개에 의한 감염병의 확산을 방지하고 매개체 전파질환에 대한 관리를 효율적으로 이행하기 위해서 모기의 생태특성을 고려하고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적용 가능한 적절한 방제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부 토지피복지도 분류체계와 연계하여 모기가 발생 가능한 서식지 유형을 파악하고, 각각의 서식지 특성에 따라 발생 가능한 모기 종류를 함께 구분하였다. 또한 유형별 서식지에 따라서 발생 가능한 모기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방제 방법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향후 모기 서식지도 제작 및 광범위한 지역으로 효율적인 모기 방제를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존에 제시되어 있는 유충 서식지를 확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한 모기 유충 서식지 발생 유형을 고려하여 토지피복도 분류체계의 대분류 7개 항목을 기준으로 시가화 지역과 농업지역, 산림지역, 그리고 상대적으로 토지분포면적과 발생밀도가 적고, 발생원 유형이 유사한 특성을 지닌 초지, 습지, 나지, 수역을 기타지역으로 통합하여 잠재 모기 발생 서식지와 각각 적용 가능한 방제 유형을 제시하였다.
  • 산림지역은 흰줄숲모기 (Aedes albopictus)의 주요 서식지로서 무분별한 산림벌채를 최소화하고 인근 거주민을 대상으로 물리적 방제를 실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기타지역은 수생태계를 중심으로 발생 가능한 모기유충을 방제하기 위해 생물학적 방제와 Bti를 이용한 화학적 방제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서식지를 크게 4가지 (도심지역, 농업지역, 산림지역, 기타지역)로 분류하여 모기에게 적합한 서식지를 고찰하였으며, 모기 서식지별로 적합한 방제법을 제시하였다. 모기의 개체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하고, 하절기 시민들의 불편과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 2016).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질병의 매개가 되는 모기의 서식지를 예측하고 효과적인 방제법을 제시하기 위해 환경부 토지피복도 분류체계를 연계하여 활용하고자 한다. 분류체계는 시가화건조지역, 농업지역, 산림지역, 초지, 습지, 나지 및 수역으로 구분된 총 7개의 대분류로 나뉘어져 있으며, 중분류 22개, 세분류 41개의 항목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토지유형을 연계하여 발생 가능한 모기서식지 특성에 따라 물리적, 생물학적, 화학적 방제방법 및 2가지 이상의 방제방법을 혼합한 종합적 방제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각 방제방법에 따라 본 연구에서 지향하는 세부 방제방안은 다음과 같다 (Table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merasinghe FP and TG Ariyasena.1990. Larval survey of surface water breeding mosquitoes during irrigation development in the Mahaweli Project, Sri Lanka. J. Med. Entomol. 27:789- 802. 

  2. Baek HM, DG Kim, MJ Baek, CY Lee, HJ Kang, MC Kim, JS Yoo and YJ Bae. 2014. Predation efficiency and preference of the Hydrophilid water beetle Hydrochara affinis (Coleoptera: Hydrophilidae) larvae on two mosquitoes Culex pipens molestus and Ochlerotatus togoi under laboratory conditions. Korean. J. Environ. Biol. 32:112-117. 

  3. Bren L. 2003. West Nile Virus: Reducing the risk. FDA Consumer 37:20-27. 

  4. Chae SM, DG Kim, SJ Yoon and HS Shin. 2014. The impact of temperature rise and regional factors on Malaria risk. Health Soc. Wel. Rev. 34:436-455. 

  5. Cho SM, YH Yoon, ER Ryu, BJ Park and WT Kim. 2009. The influence of land cover and zoning on the urban heat island in Cheongju. Korean J. Environ. Sci. 18:169-176. 

  6. Choi KS and HK Yu. 2015. A study on land use characteristics of the Ulsan civic center. Korean J. Assoc. Prof. Geo. 49:385-394. 

  7. Eshita Y and T Kurihara. 1979. Studies on the habitats of Aedes albopictus and Ae. riversi in the southwestern part of Japan. Jap. J. Sanit. Zool. 30:181-185. 

  8. Hawley WA. 1988. The biology of Aedes albopictus. J. Am. Mosquito Contr. 4:1-40. 

  9. Jeong BG. 2010.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wastes from fishing village in small island. J. Korean Soc. Mar. Environ. Energy 13:181-186. 

  10. KCDC. 2004. Development of Effective Integrated Control Against Mosquitoes including Malaria Vectors.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Korea. pp. 1-134. 

  11. KCDC. 2010. Current status of selected infectious diseases. pp. 902-907. In: Public Health Weekly Report Vol. 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Korea. 

  12. KCDC. 2013. Current status of selected infectious diseases. pp. 1069-1075. In: Public Health Weekly Report Vol. 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Korea. 

  13. KCDC. 2017. Current status of selected infectious diseases. pp. 427-439. In: Public Health Weekly Report Vol. 1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Korea. 

  14. KCDC. 2018. Mosquito-borne Infectious Diseases Control Guidelin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Korea. pp. 1-92. 

  15. KEI. 2008. A Small Stream Management Plan to Protect the Aquatic Ecosystem.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jong. pp. 1-149. 

  16. KEI. 2015.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Inaccessible Terrain: Focused on Construction of Land Cover Map.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jong. pp. 1-149. 

  17. Kim JH, CY Chang and HJ Lee. 2011. A study on the revitalizing community through corporate community investment: In case of 1 company: 1 Village campaign. J. Korean. Soc. Econ. Geo. 14:211-224. 

  18. Kim JH and SY Park. 2013a. The impact of land use structure and vector habitat conditions on the incidence of malaria-A case study in high-incidence areas. J. Korean Assoc. Geo. Info. Stud. 16:12-24. 

  19. Kim JS and SY Park. 2013b. Urban growth predictio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considering social economic development aspect of climate change scenario. J. Korean Assoc. Geo. Info. Stud. 21:53-62. 

  20. Kim YK, CM Lee, JB Lee and YS Bae. 2012. Seasonal prevalence of mosquitoe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opheline larval occurrence in Gimpo, Gyeonggi Province, Republic of Korea. Korean J. Appl. Entomol. 51:305-312. 

  21. Kwon CH, ST Lee, HC Shin, JC Choi and YG Chung. 2003. Studies on the factors for making forest land price of Sanchung county. J. Agri. Life Sci. 37:23-29. 

  22. Lee DK, JH Jeon, HS Kang and HS Yu. 1997. Analyses of aquatic ecosystems in organic and conventional farming rice fields and mosquito larval populations. Korean J. Entomol. 27:203-214. 

  23. Lee DK. 2006. Occurrence of Culex pipens (Diptera, Culicidae) and effect of vent net sets for mosquito control at septic tanks in south-ea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Appl. Entomol. 45:51-57. 

  24. Lee DK. 2017.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infectious disease vectors in South Korea. J. Korean Med. Assoc. 60:458-467. 

  25. Lee KJ and BH Han. 2002. Planting plan of ecological corridor at destroyed mountain area as a result of road construction. Korean J. Environ. Ecol. 16:321-337. 

  26. Lee MJ, SW Jeon, WK Song and BJ Kang. 2007. Improvement and application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of national land in Korea. Korean J. Remote Sens. 23:335-346. 

  27. Lee WS. 2012. Climate change and individual life history. Ocean Polar Res. 34:275-286. 

  28. Norris DE. 2004. Mosquito-borne diseases as a consequence of land use change. EcoHealth 1:19-24. 

  29. Oh KY, MJ Lee and WY No. 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ub-divided land cover map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land cover map by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J. Remote Sens. 32:105-118. 

  30. Park CC and HK Yuh. 2014. A study on the spatial boundary-setting of the old and new central distric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Korean J. Reg. Dev. Assoc. 26:141-160. 

  31. Park MJ, JB Jeon, JA Choi, EJ Kim and CS Im. 2016. Analysis of ecosystem value change using a land cover map.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7:681-688. 

  32. Parmesan C. 2006. Ecological and evolutionary responses to recent climate change. Annu. Rev. Ecol. Evol. Syst. 37:637-669. 

  33. Ree HI and SK Lee. 1993. Studies on mosquito population dynamics in Chollabug-do, Korea (1985-1990). Korean J. Entomol. 23:185-194. 

  34. Roff DA. 2002. Life History Evolution. Sinauer, New York 

  35. Sohn SR. 1996. Seasonal prevalence and composition rate of Culex pipens group occurring in the basement of an apartment, Taegu, Korea. Korean J. Entomol. 26:21-27. 

  36. Walther GR, E Post, P Convey, A Menzel, C Parmesan, TJC, Beebee, JM Fromentin, O Hoegh-Guldberg and F Bairlein. 2002. Ecological responses to recent climate change. Nature 416:389-395. 

  37. Walton WE, PD Workman, LA Randall, JA Jiannino and YA Offill. 1998. Effectiveness of control measures against mosquitoes at a constructed wetland in southern California. J. Vector Ecol. 23:149-160. 

  38. Yi GC, WH Lee, HS Yoon, CH Nam, GY Kim, SH Kim and SH Suh. 2004. A base study of an ecological mapping technique by sing GIS and remote sensing. J. Korean Assoc. Geo. Info. Stud. 7:57-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