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술·가정과 교사의 학교교육과정 편성 참여와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of Participation in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2 no.1, 2020년, pp.15 - 34  

박미정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임윤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권유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이광재 (일산동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등학교 기술·가정과 교사의 학교교육과정 편성 참여와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의표집 방법으로 전국의 중등 기술·가정과 교사 345명의 설문 자료를 SPSS 24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F검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가정과 교사들은 현재 단위 학교에서 기술·가정과 교육과정 편성 시수가 부족하고(61.1%), 교사의 수도 부족(53%)하다고 인식하고, 학교교육과정 편성에 대부분 참여하고 있었으며(62.0%), 향후 학교교육과정 편성 과정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도 매우 높았다(4.47, 89.9%). 둘째, 기술·가정과 교사들은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해 보통 이상으로 알고 있었고(3.34) 긍정적인 인식(37.7%)보다 부정적인 인식(52.8%)이 많았다.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학생들의 진로 선택(3.88)과 전공 분야의 전문내용 심화(3.81)를 긍정적인 영향으로 인식한 반면, 비입시 과목으로 인한 선택 감소(3.90)와 이에 따른 교사 전보의 어려움(3.57) 등을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기술·가정과 교사들은 고교학점제 도입에 안정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진로선택과목의 조정(4.51), 선택과목의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보급(4.46), 기술과 가정의 분리(4.45), 평가방법 및 적용에 대한 연수 제공(4.44)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기술·가정 교과가 차기 교육과정 개정과 고교학점제에 지혜롭게 대비할 수 있는 기초 자료와 고등학교 기술·가정교육과정 편제에 대한 논의의 단초를 마련한 것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condary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data of 345 secondary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nationwide were analy...

주제어

참고문헌 (26)

  1. Choi, J. H. (2019). Teachers' perceptions on the integration of literature and science 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5(1), 421-447. 

  2. Gu, J. E., & Namgung, J. Y. (2011). Primary research for the introduction of credit-based curriculum system. Seoul: KEDI. 

  3. Han, H. C. (2012). A study on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subject-specialized high school.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0(1), 99-124. 

  4. Hong, H. J. (2018). Understanding and practical desig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1), 699-724. 

  5. Kim, J. S., Lee, K. W., Cho, B. K., Lee, M. H., & Lim, Y. N. (2018). A study on restructuring high school curriculum to adopt the credit system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RC 2018-8). Jincheon, Chungbuk: KICE. 

  6. Kim, M. H. (2010). A study on the school curriculum construction and implement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0(3), 47-72. 

  7. Korean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s. (2017, November 27). 교육부의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계획(안)' 발표에 대한 교총 입장 [Position of KFTA on the Ministry of Education's 'implementation direc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operation plan of research schools']. Retrieved from http://www.jnfta.or.kr/board/bodo?per_page18&moderead&write_id532 

  8. Kwon, S. H., & Kim, D. K. (2012). The legal characters of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school curriculu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2(3), 1-21. 

  9. Lee, K. W. (2018).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on implement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12), 543-567. doi:10.22251/jlcci.2018.18.12.54 

  10. Lee, K. W., Kim, J. S., Lee, K. H., Han, H. C., Kim, K. J., & Hyung, I. Y. (2017). 지능정보사회 대응을 위한 중장기 고교 교육과정 방향 탐색 연구-학습자 중심 고교학점제 실행 방향 및 과제 [A study on the direction of high school curriculum for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Direction and tasks of student-centered high school credit system].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CRC 2017-9), Jincheon, Chungbuk: KICE. 

  11. Lee, M. S. (2014). The perceptions of educational specialists about the competencies of teachers and principals for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school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2(4), 195-215. 

  12. Lim, Y.-J. (2018). Case study of organization and operation expansion in general high school technology course.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 43(2), 97-113. 

  13.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 A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07-79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Home Resources Development. 

  14. Ministry of Education. (2017).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 계획 [Direc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operation plan of research schools]. Retrieved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boardSeq72593&lev0&searchTypeS&statusYNC&page1&smoe&m020402&opTypeN 

  15.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A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1-361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16. Ministry of Education. (1997). A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Notification No. 1997-15 of Ministry of Education. 

  17. Ministry of Education. (2015). A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formation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5-74 of Ministry of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ncic.re.kr/mobile.dwn.ogf.inventoryList.do 

  18. Ministry of Education. (2018a). 202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편방안 및 고교교육 혁신방향 [2022 School admission system reorganization plan and high school education innovation direction]. Retrieved from https://www.moe.go.kr/sn3hcv/doc.html?fn12f1f89d29c4e0b66999378c2c37dab2&rs/upload/synap/202003/ 

  19. Ministry of Education. (2018b).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Introduction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8-162 of Ministry of Education. 

  20. 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2019). Retrieved from http://ncic.re.kr/mobile.dwn.ogf.inventoryList.do 

  21. National Legal Information Center. (2018). 초.중등교육법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Act No. 15961). Retrieved from www.law.go.kr/lsInfoP.do?lsiSeq205799&efYd20190619#J23:0 

  22. Park, M. J. (2017). Exploration on the organization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selective curriculum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5(5), 539-553. doi:10.6115/fer.2017.039 

  23. Shin, J. A. (2019). A study on the analysis of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24. Shin, Y., & Kwak, Y. (2019). Analysis of realities of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cienc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3(1), 64-78. 

  25. Sung, Y. K. (2019). 고교학점제의 성공적인 시행을 위한 정책 제언 Policy suggestion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교육개발 [Education development], 46(2). 17-19. 

  26. Yu, C. W. (2018).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 and organization on physical education elective courses.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9(3), 591-602.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