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공공서비스 전달 플랫폼의 활성화 요건: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사례연구
Activating Public Service Delivery Platforms: A Case of Social Service e-Voucher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7, 2020년, pp.21 - 29  

어광수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  남태우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플랫폼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기업들이 플랫폼으로 이주하는 요인과 플랫폼의 가장 중요한 특성인 수요-공급 양면 구축 전략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정부가 공공재인 사회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해 구축한 플랫폼인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를 분석하고자 한다.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는 수요자에게 전자바우처를 지급하고 서비스 선택권을 부여한 것을 핵심으로 하는 공공서비스 전달체계의 플랫폼 이주 사례이다. 분석 결과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에서 작동한 플랫폼 이주 동인은 사회 인구구조 변화와 그에 따른 복지서비스 수요의 변화로 사회서비스 전달체계의 혁신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아울러 수요-공급의 양면을 구축할 수 있었던 요인으로는 일자리 정책으로의 추진, 산업 차원으로의 육성, 짧은 시간에 양성된 제공인력, 사회서비스 이용자격의 요건 설정이 작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platform for social service delivery and the electronic voucher system as an instrument for the delivery. The paper discuss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latform and reviews the factors by which firms migrate to platform. Social service e-vou...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공공서비스 전달 플랫폼으로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사례를 분석하여 공공서비스 전달체계의 플랫폼 이주 동인과 공급-수요 양면을 구성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공공서비스도 수요의 다양화와 양적 증가로 인해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에서 기업의 플랫폼 이주 동인과 유사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공공서비스 전달체계에서 플랫폼의 역할을 제시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 것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반면 연구의 한계로 공공서비스 전달체계가 플랫폼으로 이주한 요인과 공급-수요 양면을 구축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춘 정성적 연구이기에 양적인 측면에서의 분석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 본 연구는 기업 혁신의 동력인 플랫폼을 정부가 구축 했던 사례를 고찰하여 공공부문 플랫폼 구축의 잠재성을 타진해본다. 먼저 플랫폼에 대한 개념적 논의를 통해서 플랫폼을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부의 공공서비스 전달 플랫폼 구축 사례로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를 심층 분석한다.
  • 본 연구에서 분석할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또한 플랫 폼을 통해 공공서비스인 사회서비스의 확산을 성공시킨 사례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에서 공급면과 수요면을 어떻게 구축해나갔는지를 살펴보고 그에 앞서 왜 사회서비스를 플랫폼을 통해 전달하도록 정책을 설계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재의 공급과 수요라는 측면에서 플랫폼을 조명하고자 한다. 공공재의 공급과 수요라는 측면 에서 연구가 진행된 사례는 그리 많지 않다.
  • 이를 통해 정부가 복지서비스 공급 확대를 위해 취한 전략과 복지 수요의 조정을 위해 취한 전략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아울러 지방자치단체에서 사회서비스공단이 설립되고, 복지서비스의 품질 관리에 대한 사회의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관련 정부 보고서, 법률 자료, 언론 보도자료, 관련 통계 등을 활용하여 사례연구를 진행한다.
  • 앞서 살펴본 플랫폼의 개념과 핵심적인 요소들을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 정부의 공공서비스 전달 플랫폼 구축 사례 중 하나인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전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분석할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또한 플랫 폼을 통해 공공서비스인 사회서비스의 확산을 성공시킨 사례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에서 공급면과 수요면을 어떻게 구축해나갔는지를 살펴보고 그에 앞서 왜 사회서비스를 플랫폼을 통해 전달하도록 정책을 설계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이렇게 정부의 직접 공급 방식으로는 분명히 한계가 있었기에 정부는 플랫폼으로의 이주를 통해 사회서비스 전달체계의 혁신을 이루고자 하였다. 여기서 앞서 논의한 플랫폼의 특성인 양면시장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사회서비스 전달체계의 혁신을 이룰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면시장이란? 그리고 플랫폼에서의 시장은 일반적인 시장과 구별하여 양면시장(two-sided market)으로 불리고 있다. 양면시장이란 공급과 수요라는 둘 이상의 사용자 집단이 만나도록 조성된 것으로 집단 간의 거래가 외부효과도 발생 시키는 것을 말한다.
파이프라인 기업들이 시장에서 차지하는 영향력이 줄어드는 이유는?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 에어비앤비와 같은 “플랫폼” 기반의 혁신적 기업들이 부상하면서 기존의 “파이프라인” 기업들이 시장에서 차지하는 영향력이 급격히 줄어 들고 있다. 플랫폼 기업들은 이전과는 다른 거래 방식으로 소비와 공급을 설계하면서 시장을 지배한다[1-4].
플랫폼 기업들이 소비와 공급을 설계하면서 시장을 지배하는 거래 방식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플랫폼 기업들은 이전과는 다른 거래 방식으로 소비와 공급을 설계하면서 시장을 지배한다[1-4]. 에어비앤비는 직접 운영하는 객실 없이 숙박업을 전개하며, 아마존은 생산시설 없이 상품을 판매하고, 구글은 자신이 생산하는 컨텐츠 없이 컨텐츠 시장을 석권하고 있다. 기존의 기업들은 그들이 만들어 놓은 시장에서 공급자 역할에 머물고 있는데 점차 이윤이 줄어드는 상황에 처해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G. G. Parker, A. Van, W. M & S. P. Choudary. (2016). Platform revolution: how networked markets are transforming the economyand how to make them work for you. Newyork : WW Norton & Company. 

  2. A. Tiwana. (2013). Platform ecosystems: aligning architecture, governance, and strategy. Boston : Newnes. 

  3. S. Galloway. (2017). The four: the hidden DNA of Amazon, Apple, Facebook and Google. Newyork : Random House. 

  4. C. H. Chang, K. H. Lee & K. S. Noh. (2016). A Study on Comparative Analysis for Competitiveness of Success Factors of the Platform Busines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3), 243-250. DOI : 10.14400/JDC.2016.14.3.243. 

  5. Y. M. Kim. (2017).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Social Service Corpor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Social Services. Welfare Trend, 222, 34-44. 

  6. S. K. Rhee. (2010). The Definition of Two-sided Market and Its Conditions. Korean telecommunications policy review, 17(4), 73-105. 

  7. J. C. Rochet & J. Tirole. (2004). Defining two-sided markets. Toulouse, mimeo, 1-28. 

  8. J. C. Rochet & J. Tirole. (2006). Two­sided markets: a progress report. The RAND journal of economics, 37(3), 645-667. 

  9. J. C. Rochet & J. Tirole. (2003). Platform competition in two-sided markets. Journal of the european economic association, 1(4), 990-1029. 

  10. D. S. Evans. (2003). The antitrust economics of multi-sided platform markets. Yale J. on Reg., 20, 325-381. 

  11. D. S. Evans & R. Schmalensee. (2008). Market with two-sided platforms. Issues in Competition Law and Policy, 1, 667-693. 

  12. Y. H. Kim. (2018). Platform Strategy in the Two-Sided Markets: Based on Agent-Based Modeling. The Korea Association for Futures Studies, 2018(2), 134-143. 

  13. G. G. Parker, A. Van, W. M, & S. P. Choudary. (2016). Pipelines, platforms, and the new rules of strategy. Harvard business review, 94(4), 54-62. 

  14. T. O'Reilly. (2011). Government as a Platform. Innovations: Technology, Governance, Globalization, 6(1), 13-40. 

  15. S. Y. Lee & M. J. Chung. (2014). A Study on 'Platform' e-Government for Reducing the digital divide in a Multicultural Society of S.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 1-12. 

  16. S. Y. Lee & Y. S. Ha. (2016). Unbundling the Government: Seeking the Framework of Innovating Government Operation. Innovation Studies, 11(3), 107-129. 

  17. Y. Shin. (2017). The case study of Platform Government Building: Focusing on Coporation certify One-Stop Service and Registration. Journal of Public Audit and Inspection Review, 29, 101-126. 

  18. Y. S. Ha & S. Y. Lee. (2019). Platform Governance: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latform model in governance operation Focusing on innovation school policy.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2019(1), 1-18. 

  19.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Act No.15885 (2018). 

  20. Act on the use of Social Service and the Management of Vouchers. Act No.15445 (2018). 

  21. J. W. Lee. (2012). Development Process and Revitalization Agenda for Social Service Policy : Social Service e-Voucher Program.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5(4), 333-359. 

  22. Korea Health and Welfare Information Service. (2014). A Case Study on the Bouture Business in Domestic Social Services. Sejong : Korea Health and Welfare Information Service 

  23. K. H. Jung & S. Y. Ahn. (2018). Review of Demand Side Financing System. Korean local administration review, 15(3), 81-108. 

  24. Y. S. Kim. (2007). A Case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Electronic Baucher System in Social Services.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2007(6), 289-304. 

  25. Social Services e-Bouchure. [Online], https://www.socialservice.or.kr/ 

  26. T. H. Eom, G. S. Jo, & G. R. Kim. (2008). Analysis of the Impacts of Policy Tool Changes on Administrative Efficiency.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ion, 48(2), 65-89. 

  27. J. W. Lee & Y. S. Kim. (2007). Innovating the Market and Demand-Oriented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2007(3), 1-19. 

  28.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 Whitepaper 2007. Seoul :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9. N. J. Yang. (2015). An Evaluation of Social Service Voucher Program in Korea. Korea Social Policy Review, 22(4), 189-223. 

  30. KIHASA. (2009). A Study on the Supply Status and Development of the Social Service Industry. Seoul : KIHASA. 

  31. KIHASA. (2015). A Survey on the Demand and Supply of Social Services 2015. Sejong : KIHAS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