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름철 수시차광에 의한 온실 환경변화가 오이의 광호흡, 엽온, Thermal breakdown 등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eenhouse Climate Change by Temporary Shading at Summer on Photo Respiration, Leaf Temperature and Growth of Cucumber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9 no.3, 2020년, pp.306 - 312  

김동억 (국립한국농수산대학 교양공통과) ,  권진경 (국립농업과학원 에너지환경공학과) ,  홍순중 (국립한국농수산대학 교양공통과) ,  이종원 (국립한국농수산대학 원예환경시스템학과) ,  우영회 (국립한국농수산대학 원예환경시스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 고온기 시설재배시 수시차광이 내부환경과 오이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온실차광이 오이의 고온 스트레스 완화 정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잎 온도, 엽기온차, 최대 카르복실화속도, 최대 전자전달 속도, 열파괴, 광호흡과 같은 오이의 생리적 반응을 측정 분석하였다. 오이 시설하우스의 차광율은 90% 수시차광, 40% 수시차광, 무차광 3수준의 실험 조건으로 하였다. 90% 수시차광은 외부 일사량이 650 W·m-2일 때 차광되도록 하였다. 기온, 일사량, 엽온, 엽기온차, 광호흡은 90%의 수시차광에서 40% 수시차광과 무차광 처리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최대 카르복실화속도, 광호흡율은 90% 수시차광 온실이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온저항성을 나타내는 thermal breakdown 값은 90%의 수시차광에서 다른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90% 수시차광이 여름철 오이 재배에 있어 고온스트레스를 덜받는 생육환경을 조성하였다는 결과를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ucumber plants response to greenhouse environments by solar shading in greenhouse in the summer. In order to estimate heat stress reduction of cucumber plants by solar shading in greenhouse, we measured and analyzed physiological conditions of cucumber pla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 고온기 시설재배시 수시차광이 내부환경과 오이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온실 차광이 오이의 고온 스트레스 완화 정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잎 온도, 엽기온차, 최대 카르복실화속도, 최대 전자전달 속도,열파괴, 광호흡과 같은 오이의 생리적 반응을 측정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50~70% 수시차광 보다 높은 90% 이상의 수시차광이 온실내의 작물 재배환경과 오이 엽온, Vcmax, Jmax, Thermal breakdown(high temp. inhibition),광 호흡(Rd, day light leaf respiration)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시차광은 무엇인가? 이러한 전일차광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 수시차광이다. 수시차광은 일사량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는 시기에 차광을 하여 여름철에 지나친 온도상승을 억제하여 고온기에도 작물의 개화, 수정불량, 광합성 저하 등 생육장해를 감소시켜 작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고품질의 작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수시차광에 이용되는 권장 차광율은 작물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50~70%이다.
여름철 고온기 시설재배 시, 수시차광이 내부환경과 오이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90% 수시차광은 외부 일사량이 650 W·m-2일 때 차광되도록 하였다. 기온, 일사량, 엽온, 엽기온차, 광호흡은 90%의 수시차광에서 40% 수시차광과 무차광 처리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최대 카르복실화속도, 광호흡율은 90% 수시차광 온실이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온저항성을 나타내는 thermal breakdown 값은 90%의 수시차광에서 다른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90% 수시차광이 여름철 오이 재배에 있어 고온스트레스를 덜받는 생육환경을 조성하였다는 결과를 얻었다.
한여름의 광합성 효율이 낮아지는 이유는? 그 결과 잎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저하 되어 캘빈회로에서 루비스코가 옥시게나아제로 작용하여 이산화탄소 대신 산소를 RuBP와 결합시키므로 광합성에서 만들어지는 PGA가 반으로 줄어들어 광합성 효율이 낮아지며 이런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광 조건에서 산소를 소모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광 호흡을 하게 된다. 광 호흡은 여름철 기온과 광도가 높고 건조할수록 증가하며, 일반적으로 한여름 광합성 효율이 낮아지는 이유는 기공이 닫혀 이산화탄소 흡수가 억제되고, 체내에 있는 산소를 소모하는 호흡을 하게 됨으로써 광합성 효율은 극히 낮아져 정상적인 생육을 하기가 어려워진다(Woo 등, 2014). 극 고온과 광포화점 이상의 과다한 일사량을 효과적으로 적정 수준의 차광율로 차단함으로써 기공 폐쇄를 억제하여 기공이 열리도록 하고 기공전도도를 높임으로써 작물 성장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ampos, H., C. Trejo, C.B. Pena-Valdivia, R. Garcia-Nava, F.V. Conde-Martinez, and M.R. Cruz-Ortega. 2014. Stomatal and non-stomatal limitations of bell pepper (Capsicum annuum L.) plants under water stress and re-watering: Delayed restoration of photosynthesis during recovery. Environ. Exp. Bot. 98:56-64. 

  2. Collatz, G.J., J.T. Ball, C. Grivet, and J.A. Berry. 1991. Physiological and environmental regulation of stomatal conductance, photosynthesis and transpiration: A model that includes a laminar boundary layer. Agri. and Forest Meteo. 54:107-136. 

  3. Farquhar, G.D., S. von Caemmerer, and J.A. Berry. 1980. A biochemical model of photosynthetic $CO_2$ assimilation in leaves of C3 species. Planta. 149:78-90. 

  4. Gent, M.P.N. 2007. Effect of degree and duration of shade on quality of greenhouse tomato. HortScience. 42:514-520. 

  5. Idso, S.B. 1982. Non-water-stressed baselines: a key to measuring and interpreting plant water stress. Agricultural Meteorology. 27:59-70. Agri. Meteo. 

  6. Jackson, R.D., S.B. Idso, R.J. Reginato, and P.J. Pinter Jr. 1981. Canopy temperature as a crop water stress indicator. Water Resources Res. 17:1133-1138. 

  7. SAS Institute. 1985. SAS/STAT User's Guide. SAS Institute, Cary, N.C. 

  8. Sharkey, T,D., C.J. Bernacchi, G.D. Farquhar, and E.L. Singsaas. 2007. Fitting photosynthetic carbon dioxide response curves for C3 leaves. Plant Cell Environ. 30:1035-1040. 

  9. Woo, Y.H., D. E. Kim, and J.W. Lee. 2019. The effect of photosynthesis, stomatal conductivity, thermotolerance and growth on foliar fertilization of carbonated water at lettuce hydroponic cultivation. Prac. Agri. & Fish., Res. 21:115-122 (in Korean). 

  10. Woo, Y.H., H.J. Kim, T.Y. Kim, K.D. Kim, Y. C. Huh, H. Chun, I. H. Cho, Y. I. Nam., K. D. Ko, K. H. Lee, and K. H. Hong. 2006. The influence of hydrogen peroxide treatment on water stress, photosynthesis and thermotolerance of cucumber (Cucumis sativus) in greenhouse cultivation during summer. J. Bio-Environ. Con. 15:39-45 (in Korean). 

  11. Woo, Y.H., H.J. Kim, Y.I. Nam, I.H. Cho, and Y.S. Kwon. 2000. Predicting and measuring transpiration based on phytomonitoring of tomato in greenhouse. J. Kor. Soc. Hort. Sci. 41:459-463 (in Korean). 

  12. Woo, Y.H., I.H. Cho, K.H Lee, K.H. Hong, D.K. Oh, and I.C. Kang. 2014. Effect of cucumber(Cucumis sativus) growth on mobile shading according to solar radiation in greenhouse during summer. Prac. Agri. & Fish., Res. 16:67-75 (in Korean). 

  13. Woo, Y.H., J.M. Lee and H.J. Kim. 1995. Effect of shading treatment on the growth of spinach (Spinacia oleracea) affected by different growing periods in summer greenhouse. J. Bio. Fac. Env. 4:211-222 (in Korean). 

  14. Woo, Y.H., J.M. Lee and H.J. Kim. 1996. Analysis of major environmental factors and growth response of spinach (Spinacia oleracea) as affected by fog system and shading in summer plasstic house. J. Kor. Soc. Hort. Sci. 37:638-644 (in Korean). 

  15. Woo, Y.H., K.H Lee, I.C. Kang. and D. E. Kim. 2015. The effect of water stress on carbon dioxide treatment during protected of tomato (Solanum lycopersicum) cultivation at summer. Prac. Agri. & Fish., Res. 17:93-10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