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사 기반 VR 콘텐츠의 감성 반응 연구: 360 제품 이미지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Emotional Response of VR Contents Based on Photorealism: Focusing on 360 Product Image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3 no.2, 2020년, pp.75 - 88  

심현준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사진영상미디어학과) ,  노연숙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사진영상미디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보 기술 발전으로 인하여 제품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이 오프라인과 2D중심에서 온라인과 3D로 이동하면서 효율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실물이 부재된 온라인 공간에서 단순히 제품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소비자에게 가상의 체험을 제공하면서 온라인 쇼핑의 다변화 및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360 제품 이미지는 피사체를 회전시켜 촬영하여 대상을 다양한 시점에서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실사 기반의 VR이다. 360 제품 이미지는 기존의 정지 이미지와 비교하여 대상물에 대해 풍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360 제품 이미지는 다양한 제작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에 따라 이용자의 반응에 차이가 있으나 기술의 역사가 짧은 만큼 관련 연구 또한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60 제품 이미지의 제품의 형태와 소스 이미지의 수에 따라 변하는 이용자의 반응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쇼핑몰에서 많이 접할 수 있는 상품군 중 대표적인 제품들을 선정하여 360 제품 이미지를 제작하고 75인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의미분별법을 적용한 실험 설문을 통해 360 제품 이미지에 대한 감성 반응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360 제품 이미지에 대한 수용자의 감성을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ive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various methods for efficient information delivery have been constructed as the method of delivering product information moves from offline and 2D to online and 3D. These attempts not only are about delivering product information in an online space w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새로운 제품 프레젠테이션 방식에 대한 효과 및 반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60 제품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상품 판매에서 360 제품 이미지 제작 시에 고려해야 할 제품의 형태와 소스 이미지의 수가 360 제품 이미지의 선호와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360 제품 이미지의 효율적인 제작 방식과 이용자의 감성적 반응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360 제품 이미지의 감성 구조를 파악하고, 효율적인 360 제품 이미지 제작 방법을 구축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360 제품 이미지의 제품 형태와 소스 이미지 수에 따른 변화에 대한 이용자의 감성 언어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360 제품 이미지를 활용하여 이용자의 선호도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360 제품 이미지의 실질적인 감성 구조를 파악하고, 긍정적인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제작 방법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요인분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가설에 따른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360 제품 이미지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 제품의 형태와 소스 이미지의 수에 따라 이용자의 선호도 및 감성 반응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증명하기 위한 연구를 설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360 제품 이미지에 대한 이용자 감성을 언어적 평가 방법 중 하나인 의미분별법을 적용하기 위해 형용사 어휘를 도출하여 이용자의 감성 및 선호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할 감성 언어를 추출하기 위해 Jeong & Lee (2005)가 제시한 방법인 선행연구와 문헌연구를 사용하였다.
  • 예를 들어, 회전하는 제품의 형태나 렌더링(rendering)에 사용하는 소스(source) 이미지의 수에 따라 이용자는 부드럽게 또는 자연스럽게 느끼기도 하고, 어색하거나 어지럽게 느끼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360 제품 이미지에서 제품의 형태와 소스 이미지 수에 따라 변하는 이용자의 반응을 감성 언어를 활용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4. 360 제품 이미지의 감성 반응은 소스 이미지의 수에 영향을 받을 것이다.
  • 가설 3. 360 제품 이미지의 감성 반응은 제품의 형태에 영향을 받을 것이다.
  • 가설 2. 360 제품 이미지의 선호도는 소스 이미지의 수에 영향을 받을 것이다.
  • 가설 1. 360 제품 이미지의 선호도는 제품의 형태에 영향을 받을 것이다.
  • 가설 1의 제품 형태에 따른 360 제품 이미지의 선호도는 큰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다만 블루투스 스피커(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lba, J., Lynch, J., Weitz, B., Janiszewski, C., Lut, R., Sawyer, A., & Wood, S. (1997). Interactive home shopping: consumer, retailer, and manufacturer incentives to participate in electronic marketplaces. Journal of Marketing, 61, 38-53. DOI: 10.1177/002224299706100303 

  2. Akner-Koler, C. (2000). Three-dimentional visual analysis. Seoul: Johyunggyoyuk. 

  3. Edwards, S., & Gangadharbatla, H. (2001). The novelty of 3D product presentations online.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2(1), 10-18. DOI: 10.1080/15252019.2001.10722054. 

  4. Ho, Y. S., & Kang, S. Y. (2010). 3DTV 3D stereoscopic information processing. Seoul: Duyangsa. 

  5. Huh, J. (2010). Consideration of formal characteristics of graphic design based on semantic differential: Focused on the classification of Akira Unami.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3(5), 253-262. 

  6. Jeong, K. A. & Suk, H. J. (2016). Affective effect of video playback style and its assessment tool development.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19(3), 103-120. DOI: 10.14695/KJSOS.2016.19.3.103 

  7. Jeong, S. H., & Lee, K. P. (2005). Extraction of user's representative emotions expressed while using a product. Archives of Design Research, 18(1), 69-80. 

  8. Jeong, S. H. (2009). Comparison of emotional words by products.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12(2), 215-224. 

  9. Jung, H. W. (2008).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synesthetic design through the meaning od sensibility and vocabulary system: Focused on the evalution of the interior materials using visual-tactile sensibility. Docto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0. Kim, J. H., & Kim, J. M. (2016). Study on the preference of visual tactility sensibility vocabulary of image which varies depending on the change in photogra phing factors.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56, 86-99. 

  11. Kim, J. M. (2014). A change in preference for sensibility vocabulary according to difference in size of camera lens angle of view.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gin Culture, 20(1), 199-208. 

  12. Kim, J. M. (2014).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human sensibility by extracting the factors transmitted by tactility: Mainly on the basis of photographing factors and extracting tactility vocabulary.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0(4), 131-142. 

  13. Kim, K. Y. (2018).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chinese market of startup companies: Focusing on crossborder e-commerce. The Korea Entrepreneurship Society Conferences 2018, 79-125. 

  14. Kim, S. U. (2003). The application method in internet advertisement for using QTVR: Empais on internet advertising and internet shopping. Journal of Digital Design, 6, 19-25. 

  15. Lee, C. S., & Lee, J. H. (2006). Appropriateness of virtual reality (VR) to the reality sense of product design. Journal of Digital Design, 11, 315-323. 

  16. Lee, U. K. (2003). The effect of 3D graphics on the vitual reality experiences of the customer in the online-shopping mall.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7. Lee, K. H. (1998). Human sensibility and emotion in sensibility ergonomics.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1(1), 113-122. 

  18. Lee, Y. Y., Ryoo, H. Y., & Jeong, S. H. (2010). User’s emotion while browsing 3D web interfaces.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13(4), 659-668. 

  19. Li, H., Daugherty, T., & Biocca, F. (2001).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Virtual Experience: A Comparison of Verbalization in 3-D and 2-D Advertising. Experiential E-Commerce Conference 2001, 1-22. 

  20. Li, H., Daugherty, T., & Biocca, F. (2002). Impact of 3-D advertising on product knowledg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e mediating role of presence, Journal of Advertising, 31(3), 43-57. 

  21. Li, H., Kuo, C., & Rusell, M. G. (1999), The impact of perceived channel utilities, shopping orientations, and on the consumer's online buying behavior.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5(2), 1-23. DOI: 10.1111/j.1083-6101.1999.tb00336.x 

  22. Linchpinseo. (2020). The beginner's guide to spin and 360 product photography. Retrieved from https://linchpinseo.com/spin-360-product-photography/ 

  23. Liu, S. (2012). The effect of on-line product presentatio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3D product presentation and general product presentation.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sity, Jeonju, Korea. 

  24. Masaya, O., Hiroki, O., & Katsumi, Y. (2014). Photobased desktop virtual reality system implemented on a web-browser.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3(2), 88-95. DOI: 10.5573/IEIESPC.2014.3.2.88 

  25. Michael, A. (2016). The beginner's guide to 360 product photography. Retrieved from https://www.ecwid.com/blog/guide-to-360-productphotography.html 

  26. Noh, Y. S. (2010). The study of methods to subjectively evaluating pictorial images based on perceptual satisfaction measurements. Docto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7. Noh, Y. S., & Har, D. H. (2012). Linguistic Analysis of Human Sensibility in Various Pictorial Imag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2), 182-195. 

  28. Oh, J. S., & Shin, S. K. (2007). Analysis of satisfaction using the integrated e-catalogue & manual media of product online. Journal of Digital Design, 7(3), 227-236. 

  29. Osgood, C. E., Suci, G. J., & Tannenbaum, P. (1957). The measurement of meanin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30. Park, S. J., Jung, W. H., Han, J. H., & Shin, S, J. (2004). Analysis of affective words on photographic images and the effects of color on the images,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7(1), 41-49. 

  31. Park, Y. K., Lee, H. M., & Lee, S. H. (2015). Emotion Research of Paper-like E-ink E-book.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18(4), 119-128. DOI: 10.14695/KJSOS.2015.18.4.119 

  32. Sirv. (2007). Number of photos in a 360 spin. Retrieved from https://sirv.com/help/resources/images-for-a-360-spin/ 

  33. Son, M. K. (2001). Photographical approach to the ‘Photographic VR solution’. AURA, 8(1), 24-31. 

  34. Yoon, Y. K., & Kim, S. H. (2017). Sensitivity assessment research about smart watch design for the SD mothod.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60, 190-199.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